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0

I. 서론 13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3

B. 연구문제 18

C. 연구의 범위 및 절차 19

II. 이론적 배경 21

A. 여성 기독교상담 전문가에 대한 이해 21

1. 여성에 대한 이해 21

2. 기독교상담 전문가의 특성 29

3. 전문 상담가의 개념 38

B. 부부갈등에 대한 이해 43

1. 부부갈등의 특성 43

2. 부부갈등의 요인 48

C. 선행연구 54

1. 한국 전통문화와 여성에 대한 선행연구 54

2. 부부갈등에 대한 선행연구 58

3. 상담자의 성장에 대한 선행연구 65

4. 연구의 방향성 72

III. 연구방법 및 연구진행 과정 76

A. 현상학적 연구방법 76

B. 연구 참여자 선정 81

1) 연구 참여자 선정 과정 81

2) 연구 참여자 82

3) 연구 참여자의 배경 83

C. 자료 수집 방법 88

D. 자료 분석 방법 89

E. 연구과정의 신뢰도와 타당도 평가 90

IV. 연구결과 94

A. 분석된 자료 제시 94

B. 여성 기독교상담 전문가의 부부갈등 현상 연구 107

범주 1. 내재된 부부갈등요인 107

범주 2. 부부갈등의 현실 116

범주 3. 부부갈등 대처현상 136

범주 4. 기독교상담 전문가로서의 성장 147

C. 참여자들의 진술에 대한 현상학적 기술 173

1. 여성 기독교상담 전문가들의 내재된 부부갈등의 요인 173

2. 극단의 부부갈등에 봉착함 174

3. 부부갈등에 대한 대처현상 177

4. 기독교상담 전문가로 성장 179

D. 연구 결과 모형 185

V. 논의 188

A. 여성 기독교상담 전문가의 부부갈등 요인과 전문성의 한계 188

B. 극단의 갈등과 고통의 현상 192

C. 극단의 갈등과 궁극의 가치 195

D. 갈등의 고통과 성장 198

1. 남편을 벗어나 상담자로 입문함 198

2. 한 개인으로서의 성장과 부부 상호간의 성장 200

3. 기독교상담 전문가의 정체성 202

4. 억압받는 여성에서 돌봄의 사명자로 승화 205

VI. 결론 및 제언 208

참고문헌 212

부록 228

〈부록1〉 연구 참여 동의서 228

〈부록2〉 연구 참여 동의서 229

〈부록3〉 인터뷰 질문지 230

Abstract 231

표목차

〈표1〉 연구 참여자의 기본 인적사항 82

〈표2〉 도출된 구성의미, 주제, 주제군, 범주 94

그림목차

〈그림1〉 여성 기독교상담 전문가가 경험하는 부부갈등의 현상 연구 진행과정 93

〈그림2〉 여성 기독교상담 전문가의 부부갈등 현상의 구조 185

초록보기

 본 연구는 여성 기독교상담 전문가들의 부부갈등 경험을 탐색하고 그들의 부부갈등의 경험의 본질과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현재 4대 상담학회(한국상담학회, 한국상담심리학회, 한국기독교상담심리치료학회, 한국목회상담학회)에서 전문가이상의 자격을 획득하고 10년 이상 상담경력이 있는 기독교신앙을 가진 9명의 여성 기독교상담 전문가를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으며, 그들의 진술내용을 분석하기 위하여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 기독교상담 전문가가 경험하였던 부부갈등의 현상 이면에는 내재된 부부갈등의 요인이 잠재되어 있으며, 부부갈등을 극복하는데 있어서 그들이 가진 전문성의 한계를 시사하고 있었다. 갈등의 개인 내적인 요인은 부정적인 부모를 경험한 것이 원인이 되어 배우자와 무의식적인 동기로 결혼을 선택하고, 배우자와의 성격차이, 시댁 및 친정과의 갈등, 자녀양육, 다양한 가정사라는 상호 관계성의 요인으로도 갈등이 일어나는데, 개인적 성장사와 더불어 한국의 가부장 문화를 배경으로 하는 정신적 특성을 지니고 부부갈등이 지속된다. 그러나 그들이 전문가로 성장한 이후에는 자기인식과 개별화과정을 겪으면서 부부갈등을 더 이상 두려워하지 않고 점차로 부부갈등에 유연해 진다. 그러나 여성 기독교상담 전문가들은 다른 한편으로는 기혼 근로여성이 경험할 수 있는 부부의 역할갈등이 일어나는데, 가사노동과 외부활동이라는 이중부담에 시달리며, 여성 기독교상담 전문가들의 전문적이고 어려운 상담용어를 사용한다거나, 서로에 대한 인식의 차이, 여성 기독교상담 전문가들이 전문성 획득과정에서 경제적인 비용조달의 문제로 남편과 불편함을 경험하기도 한다. 이러한 면에서 여성 기독교상담 전문가들에게 부부갈등의 현상은 아직은 끝나지 않은 문제였으며, 갈등이라는 현상을 극복함에 있어서 상담의 전문성만으로는 한계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여성 기독교상담 전문가들은 다른 사람의 아픔을 돌보는 상담전문가들이지만 부부갈등에 있어서는 그들도 예외는 아니었다. 그들의 부부갈등의 현상은 극단의 갈등이었다. 부부갈등은 그들에게 심한 심리적인 상처를 주었고, 대립으로 맞서 싸우는 극단에 치닫는 현상을 경험케 하였다. 그러나 여성기독교상담 전문가들이 극단의 부부갈등을 경험할 때 그들에게는 신앙이 있었고, 신앙은 그들의 고통을 궁극적인 가치감으로 연결시켜 주었다. 그리고 궁극적인 가치감은 기독교 상담자라는 사명감의 승화였다. 극단의 갈등과 위기속에서 활동하시는 하나님을 경험하게 되고 그들의 신앙은 그들을 또 다른 차원으로 이끌어 궁극적인 가치감인 따뜻한 돌봄의 사명자로 승화되어간다.

셋째, 극단의 갈등을 경험한 여성 기독교상담 전문가들은 더불어 성장을 함께 경험한다. 그들은 남편을 집착함에서 벗어나 한 인간으로 성장하며, 여성기독교상담 전문가로서 성장을 하였다. 가부장적인 문화 속에서 불평등과 억압을 경험한 여성, 피할 수 없는 부부갈등이라는 삶의 주제를 껴안은 여성들이, 갈등을 극복하고 개인적인 삶과 전문가적인 삶의 성장을 이루어 가는 모습을 보여 주었다. 돌봄의 현장에 있는 여성 기독교상담 전문가들에게 갈등은 대립이며 억압은 불일치라는 정서이기에 그들에게는 소진의 요소가 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극단의 갈등, 억압과 같은 고통의 정서는 그들에게 숨겨진 잠재력이 되었다. 그 잠재력이 사랑과 돌봄이라는 치료적 자원이 되었으며, 따뜻하고 양육적이며 헌신적인 여성 기독교상담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었던 잠재력이 되었다.

상담의 다양한 이론이 서점에 넘쳐나고 있으나 21세기의 사람들은 여전히고통스러워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성장을 지향하며 나아가는 기독교상담 전문가들에게 삶에서 직면하는 극단의 갈등이 성장과는 역설적인 상호작용이 있으며, 극단의 갈등이라는 위기는 궁극적인 가치감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시사함으로 말미암아 인간의 문제를 바라보는 기독교상담 전문가의 신앙적인 가치관을 새롭게 한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또한 여성 기독교상담 전문가들이 경험하는 체험적인 부부갈등을 추적하여 '인간의 갈등과 고통이 성장을 이끈다'는 사실을 문헌과 이론이 아닌 사실적이고 질적인 연구를 통하여 증명함으로 말미암아 상담자의 성장에 있어 이론적인 상담개입기술의 한계를 지적하고 삶에서 직면하는 부부갈등의 고통을 극복하도록 하여 균형 있고 전인적인 기독교상담 전문가의 성장을 도모하도록 하였다.

참고문헌 (21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어머니 수난사』 서울: 인물과 사상사, 2009. 미소장
2 『여성주의 교육학』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8. 미소장
3 『기독(목회)상담, 어떻게 다른가요, 심리학과 신학의 만남』 서울: 학지사, 2007. 미소장
4 『우리결혼할까요. 크리스천 예비부부를 위한 상담워크북』 서울: 주는 나무, 2007. 미소장
5 『대가에게 배우는 집단상담』 서울: 학지사 미소장
6 『여성, 사회 중심을 향한 도전』 서울: 풀빛, 2004. 미소장
7 『유교문화와 여성』, 살림출판사, 2004. 미소장
8 『유교적 전통과 현대한국』 철학문화연구소, 2001. 미소장
9 한국 가족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소장
10 『현대사회와 여성』 서울: 교문사, 2011. 미소장
11 『행복한 부부만들기』 서울: 고려원, 2004. 미소장
12 『정서중심적 부부치료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2008. 미소장
13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서울: 도서출판 원미사, 2004. 미소장
14 『우리 결혼했어요』 서울: 두란노, 2006. 미소장
15 『한국 여성 근대화의 역사적 맥락』 서울: 지식산업사, 2001. 미소장
16 『필란드 부모혁명』 서울: 비아북, 2010. 미소장
17 『개인상담의 실제』 서울: 학지사, 2007. 미소장
18 『행복한 결혼, 위기의 결혼』 서울: 태영출판사, 2006. 미소장
19 『가족치료 이론과 기법』 서울: 도서출판 하우, 2002. 미소장
20 『질적 연구 방법론』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 판 부 , 2004. 미소장
21 『기독교상담』 서울: 학지사, 2010. 미소장
22 『한국적 이마고 부부치료』 서울: 도서출판다세움, 2006. 미소장
23 『이야기 치료』 서울: 학지사, 2004. 미소장
24 『사랑과 행복에의 초대』 서울: HOME, 1982. 미소장
25 『목회상담학』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2002. 미소장
26 『딸에게 들려주는 엄마의 결혼이야기』 서울: 두란노, 1994. 미소장
27 『기독(목회) 상담학』 서울: 학지사, 2008. 미소장
28 『행복한 부부여행』 서울: 주는 나무. 2007. 미소장
29 『가족상실과 위기상담』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2007. 미소장
30 『개혁주의 목회상담학』 서울: 대서, 2007. 미소장
31 『현상학과 질적연구』 서울: 한길사, 2008. 미소장
32 『역동심리치료와 영적탐구』 서울: 학지사, 1992. 미소장
33 『이신건 교수의 조직신학 강의 1, 인간의 본질과 운명』 서 울: 신앙과 지성사, 2010. 미소장
34 『그리스도 요법입문』 서울: 상담신학연구소, 2007. 미소장
35 『목회상담 매뉴얼』 서울: 상담신학연구소, 2010. 미소장
36 『한국의 근대 가족윤리』 서울: 신정, 2002. 미소장
37 『질적 연구방법론』 서울: 교육과학사, 2006. 미소장
38 『현대목회상담학자연구』‘안톤 보이슨’ 서울: 도서출판 돌봄, 2011. 미소장
39 『사티어의 경험적 가족치료』 서울: 학지사, 22, 2003. 미소장
40 『한국여성운동과 젠더 정치』 광주: 전남대학교출판부, 2006. 미소장
41 『남성심리와 아버지학교』 서울: 주는나무, 2008. 미소장
42 『목회상담학 연구』 서울: 한국학술정보, 2002. 미소장
43 『아름다운 중년을 위한 외침 크리스천 중년기 부부를 위한 상담워크북』 서울: 주는 나무, 2007. 미소장
44 『내 아이의 미래를 결정하는 가정원칙』 서울: 카리스, 2011. 미소장
45 『위기목회상담』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5. 미소장
46 『상처를 힘으로 바꾸는 놀이 치료 심리학, 어린이 마음치료』 서울: 교양인, 2008. 미소장
47 『여성복지학』 서울:학지사, 2006. 미소장
48 『가족상담과 치료』 공동체, 2008. 미소장
49 『어린왕자에게서 배우는 삶을 사랑하는 지혜』 서울: 책이있는 마을, 2008. 미소장
50 가족, 가부장적 가족, 그리고 유학 소장
51 한국여성개발원. 『현대가정과 여성』 교육자료: 300-2, 107. 1984. 미소장
52 한국여성개발원. 『한국가족의 변화와 여성의 역할 및 지위에 관한 연구』 서울: 도서 출판 한학문화, 2000. 미소장
53 한국여성개발원. 『한국 여성교육의 변천과정 연구』 서울: 도서출판 한학문화, 2001 미소장
54 한국청소년연맹. 『인간관계의 이론과 실제』 서울: 양서원, 2001. 미소장
55 『상담패러다임의 이론과 실제』 서울: 교육아카데미, 2002. 미소장
56 『한국적다문화상담』 서울: 학지사, 2010. 미소장
57 『하인즈 코헛의 자기심리학이야기1』 서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1996. 미소장
58 『목회돌봄과 상담 사전』 장보철 역 서울: 한올, 2013. 미소장
59 『옛 이야기의 매력1』 김옥순, 주옥 역. 서울: 시공주니어, 1975. 미소장
60 『옛 이야기의 매력2』 김옥순, 주옥 역. 서울: 시공주니어, 1975. 미소장
61 『가족 : 진정한 나를 찾아 떠나는 심리여행』 오제은 역. 서울: 학지사, 2006. 미소장
62 『내 마음의 벽』 정소영 역. 서울: 예수전도단, 2011. 미소장
63 『부부갈등과 치유』 김진우 역.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96. 미소장
64 『사랑의 부부코칭 대화의 기술』 김기덕 역. 서울: 두란노, 2008. 미소장
65 『그리스도인 가정의 신비』 강안삼 역. 서울: 미션월드, 2002. 미소장
66 『향기나는 인격만들기』 김철해, 김진순 역. 서울: 순출판사, 2006. 미소장
67 『효과적인 상담』 정동섭 역. 서울: 두란노, 1998. 미소장
68 『질적 연구방법론 : 다섯가지 접근』 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 역. 서울: 학지사, 2013. 미소장
69 『성격에 관한 정신분석학적 연구』 이재훈 역. 서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03. 미소장
70 『여자들만 위하여』 윤혜란 역. 서울: 미션월드, 2005. 미소장
71 『질적 연구 방법』 임은미, 최금진, 최인호, 허문경, 홍경화 역. 서울: 한울, 2009. 미소장
72 『영적훈련과 성장』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78. 미소장
73 『부부를 위한 인지치료』 곽옥환, 김영란, 김윤정, 남주영, 박영애, 조정혜 공역, 서울: 학지사, 2010. 미소장
74 『가족관계와 의사소통: 응집성과 변화』 서동인, 원효종, 노영주 역. 서울: 학지사, 1995. 미소장
75 『살아있는 인간문서』 안석모 역. 서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1998. 미소장
76 『부부를 위한 사랑의 기술』정준희 역. 서울: 해냄출판사, 2007. 미소장
77 『행복한 부부 이혼하는 부부』 임주현역. 서울: 문학사상사, 2002. 미소장
78 『기독교 상담신학』 양유성 역, 서울: CLC, 2014. 미소장
79 『여성이해와 상담』 김연 역. 서울: 두란노, 1997. 미소장
80 『자기의 분석』 이재훈 역. 서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02. 미소장
81 『나에겐 정말 문제가 있다』 이명혜 역. 서울: 창작시대, 2008. 미소장
82 『기독교 상담과 가족치료 제1권』 정동섭, 정성준 역. 서울: 예수전도단, 2002. 미소장
83 『기독교 상담과 가족치료 제2권』 정동섭, 정성준 역. 서울: 예수전도단, 2002. 미소장
84 『기독교 상담과 가족치료 제3권』 정동섭, 정성준 역. 서울: 예수전도단, 2002. 미소장
85 『부부관계 패러다임』오제은, 이현숙 공역. 서울: 학지사, 2011. 미소장
86 『존재의 심리학』 정태연, 노현정 역. 서울: 문예출판사, 2005. 미소장
87 『부부 가족상담의 4단계 모델』 오진미, 신희천, 유계식, 김만권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2007. 미소장
88 『여성들을 위한 목회상담』 정석환 역. 서울: 한들출판사, 2002. 미소장
89 『상처 입은 치유자』 최원준 역. 서울: 두란노, 1999. 미소장
90 『영혼의 양식』 박동순 역. 서울: 두란노, 2000. 미소장
91 『아직도 가야할 길, 끝나지 않은 여행』 김영범 역. 서울: 열음사, 2007. 미소장
92 『비폭력 대화』 캐서린 한 역. 서울: 바오, 2004. 미소장
93 『생텍쥐페리의 글 모음집, 우리가 정말 사랑하고 있을까』 유혜자 역. 서울: 웅진닷컴, 2000. 미소장
94 『남자들만 위하여』 윤혜란 역. 서울: 미션월드, 2006. 미소장
95 『건강한 상담자만이 남을 도울 수 있다』 유성경, 유정이, 이윤주, 김선경 역. 서울: 학지사, 2003. 미소장
96 『목회상담과 영성지도의 새로운 전망』 문희경 역. 서울: 솔로몬, 2007. 미소장
97 『여성이 된 기쁨』 양은순 역.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91. 미소장
98 『그리스도 요법』 이정기 역. 서울: 상담신학연구소, 2005. 미소장
99 『실존주의 상담학』 이정기, 윤영선 역. 서울: 상담신학연구소, 2009. 미소장
100 『위기상담학』 전요섭, 황동현 역. 서울: 쿰란출판사, 1998. 미소장
101 『가족치료와 목회상담』 문희경 역.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2002. 미소장
102 『부부상담과 치료』 이정연 옮김. 서울: 시그마프레스, 2003. 미소장
103 Consequences associated with work-to-family conflict; a review and agenda for future research,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and Behavor, 5(2), 278-308. 2001. 미소장
104 Family interaction,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Co. 1989. 미소장
105 Surpassing Ourselves : An Inquiry into the Nature and Implications of Expertise. 1993. 미소장
106 Theory in the practice of psychotherapy, In P. J. Guerin(Ed), Family Therapy and Practive, New York: Gardner Press. 1976. 미소장
107 Family Therapy in Clinical Practice, Northvale, N.J. : Jason Aronson, Inc. 2004. 미소장
108 RELATE: Relationship Evaluation of the Individual, Family, Cultural, and Couple Contexts 네이버 미소장
109 Intimate relationships, marriage and family. Indianapolis : The Bobbs Merrill, 1984. 미소장
110 Critical incidents in counselor development: themes and pattems.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67. 131-132. 1988. 미소장
111 Marital tensions: clinical studies towards a psychoanalytic theory of Interaction. London: Routledge and Kegan Paul. 1967. 미소장
112 Structure-guided design of sialic acid-based Siglec inhibitors and crystallographic analysis in complex with sialoadhesin. 네이버 미소장
113 Towards a Theory of Social Work Expertise 네이버 미소장
114 Expertise and intelligent thinking: When is it worse to know better? In R. J. Stermberg (ED), Advances in the psychology of human intelligence (Vol, 5, 157-188).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89. 미소장
115 Critical Incidents in Student Counselor Development. 네이버 미소장
116 Overview. In M. T. H. Chi, R. Claser & M. J. Farr(Eds.). The nature of expertise(p25-28).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88. 미소장
117 Sources of Conflict between Work and Family Roles 네이버 미소장
118 Dictionary of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Nashville, TN: Abingdon, 860. 2005. 미소장
119 Child development, NY: Mcgraw-Hill. 1981. 미소장
120 Toward a behavioral profile of marital distress. 네이버 미소장
121 Searching for Mastery 네이버 미소장
122 The Cognitive, Emotional, and Relational Characteristics of Master Therapists. 네이버 미소장
123 Praxis des Evangeliums, Politik und Religion (Muenschen, 1974), 109. 1974. 미소장
124 The Contribution of Object Relations Theory in Pastoral Counseling 네이버 미소장
125 Predicting Marital Dissolution: A 5-Year Prospective Longitudinal Study of Newlywed Couples 네이버 미소장
126 "Establishing Trusworthiness" In Naturalistic Inquiry, Beverly Hills, CA: Sage, 1985. 미소장
127 Pastoral counseling: A crisis in identity, language and ethics. The Danielsen Institute Newsletter, Boston University, 1-2. 1988. 미소장
128 A qualitative study of experts' conceptualizations of supervisee reflectivity. 네이버 미소장
129 Themes in Therapist and Counselor Development. 네이버 미소장
130 The evolving professional self: stages and themes in therapist and counselor development, New York: John Wiley & Sons. 1995. 미소장
131 Critical Incidents: Catalysts for Counselor Development 네이버 미소장
132 On the Management of Conflict in Families 네이버 미소장
133 Measuring Intrafamily Conflict and Violence: The Conflict Tactics (CT) Scales 네이버 미소장
134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adjustment and the differentiation levels of the marital partners.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48-52. 1987. 미소장
135 Marital Quality and Physical Illness: A Latent Growth Curve Analysis 네이버 미소장
136 근거이론에 의한 아동상담자의 전문성 발달 연구 소장
137 (A)study on effects of the marital conflicts of old age and ecological system factors on divorce of elderly and motivation factors to commit a crime 소장
138 What are Inside the Korean - Chinese International Marriage ? : An Exploratory Study 소장
139 한국사회의 이혼실태 및 원인에 관한 연구 소장
140 학교폭력 피해에 대한 인식과 경험에 관한 연구 : 서울시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소장
141 한국 집단상담 대가의 발달과정 분석 소장
142 Interaction of Couple`s Personality Dimensions & Conflict Related to Marital Satisfaction and Divorce Intention 네이버 미소장
143 “한국의 상담, 변화해야 한다”. 한국상담학회 뉴스레터. 7. 2010. 미소장
144 아내의 대상관계에 근거한 부부갈등 변화과정에 대한 연구 소장
145 “슈퍼비전이 기독상담자 발달과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미소장
146 “유교 문화 속 여성의 존재적 단절”. 현학과 현실 제52호, 160-170, 2002. 미소장
147 “가족상담자의 상담관련 전문성이 부부관계와 가족의 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미소장
148 부부교육 프로그램이 부부갈등 해결에 미치는 효과 소장
149 An Overview of the Contents and Models of Integration in Christian Counseling 네이버 미소장
150 “한국노인부부의 부부폭력실태와 사회인구학 적 변인과의 관계연구”. 한국노년학회, 18(1), 170-183. 1998. 미소장
151 “상담전공 내담자가 지각한 효과적인 상담자 요인”. 상담학 연구, 10(1), 83-107). 2009. 미소장
152 결혼초기 부부관계향상 프로그램 개발 소장
153 현상학적 연구방법의 비교고찰 : Giorgi, Colaizzi, Van Kaam 방법을 중심으로 소장
154 대한질적연구학회. “질적 연구 수행을 위한 체계적인 길라잡이”. 대한 질적연구학회 및 서울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공동 주최 워크숍, 129. 2014. 미소장
155 “상담자 교육을 위한 인지기술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9. 미소장
156 부부갈등 예방과 치유를 위한 부부관계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 : 가족치료와 기독교 영성을 중심으로 네이버 미소장
157 그리스도요법 집단상담 참여자의 치유 경험 소장
158 노년기 부부친밀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소장
159 “기독교 상담의 효과성을 위한 아가페 위기 상담 연구”. 서울 기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미소장
160 아동기 학대 및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가 성인기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초기 성인기의 친밀한 대인관계의 질을 중심으로 소장
161 (The)effect of marital conflicts and role conflicts of married working women on the job satisfaction : 여가활동과 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소장
162 기독교 상담에서 내담자가 경험하는 효과적인 상담 요인에 관한 연구 소장
163 상담자 발달 수준별 사례 개념화의 차이 네이버 미소장
164 “가족과 가족치료”. 서울: 법문사. 2004. 미소장
165 Exploring pathways from acculturation attitudes to children's school adjustment of multicultural families : the mediating effects of marital conflict and parenting 소장
166 찰스 거킨의 목회신학 방법론 : 이야기 해석학 소장
167 중년여성우울증에 대한 여성주의 목회상담 : 이야기치료를 중심으로 소장
168 목회자 아내의 은퇴 적응 경험 연구 소장
169 상담자 발달에 신앙경험이 갖는 의미 소장
170 상담자 자기효능감 프로그램 개발 소장
171 “부부갈등과 심리적 부적응과의 관계에서 공감과 용서의 매개효과”. 숙명여자 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8. 미소장
172 “부부간 성적 갈등의 잠재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5. 미소장
173 은퇴한 노인의 성인애착과 결혼만족도의 관계 : 의사소통의 매개효과 및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소장
174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the Self and the Spouse and Marital Quality : Comparison between the Husband and the Wife 소장
175 Comparative Study of the Main Characteristics Between the Top Experts from General Experts in Company Context 소장
176 상담전문가 발달과정에서의 좌절극복경험 분석 소장
177 The Study on Factors Affecting Marital Satisfaction on Elderly Women 네이버 미소장
178 목회상담학의 새 모델 소장
179 상담자 소진과 관련된 위험요인 및 보호요인들 : 내적 보호요인을 중심으로 소장
180 “가족치료를 위한 실존주의 심리치료 집단 경험자의 영성체험에 관한 질적 연구”. 서울신학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미소장
181 도시부인의 부부갈등 제 요인과 성생활 불만족의 정도 소장
182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발간 규정 네이버 미소장
183 경험적 부부집단치료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성 검증 : Satir성장모델과 비폭력대화(NVC)모델의 통합 소장
184 (A)study on factors influencing on the marital satisfaction of the elderly : focusing on sex-role attitude and communication 소장
185 성격 차이로 인한 부부 갈등 해결을 위한 부부 집단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분석 : James M. Donovan의 대상관계 부부치료 모델을 중심으로 소장
186 (A)study related to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counselors, counseling relationships, and counseling outcomes 소장
187 Communication Among Parents and Children 소장
188 탄력성을 매개로 부부갈등과 스트레스가 청소년의 정서·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소장
189 초심 수퍼바이저의 전문성 발달과정 연구 소장
190 중년전환기 여성의 인생구조 변화와 신경증에 관한 기독교 상담학적 고찰 소장
191 일탈 청소년의 전인적 성장을 위한 기독교 집단상담 프로그램 연구 소장
192 The effects of family of origin variables on marital conflict 소장
193 Effects of Parental Differentiation form the Family-of-Origin and Childrearing Behavior on Child's Behavioral Problems 소장
194 “한 기독인 여성주의 상담자의 이야기”.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제8권. 2004. 미소장
195 대화를 통한 부부 갈등 해소 방안 소장
196 “결혼이민여성의 부부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대구 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미소장
197 학업중단 청소년 소장
198 Combination of Marital Attachment and Parenting Styles Related to Young Children`s Social-Emotional Development 네이버 미소장
199 맞벌이부부의 결혼만족도와 우울증에 관한 연구;학동기자녀를 둔 맞벌이부부를 중심으로 소장
200 미술치료사의 전문가 되기 여정에 관한 존재론적 탐구 소장
201 The Implications of Henri Nouwen's Spirituality for Pastoral Counselling : A Christian Response to Contemporary Secularistic Spirituality 네이버 미소장
202 한국 상담자의 전문직 정체성과 전문업무에 관한 연구 소장
203 “대학상담센터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과 회복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미소장
204 원가족 건강성과 자기분화의 세대간 전이 소장
205 어머니의 인구학적 특성, 정서성, 부부갈등 및 양육관련 변인이 유아의 애착에 미치는 영향 소장
206 Areas of Couple Conflict Associated with Marital Quality and Stability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mong Married Men & Women 소장
207 한국목회상담과 결합적 자기 소장
208 청소년 자녀가 인지한 부부갈등유형이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소장
209 통계청: http://www.kostat.go.kr 미소장
210 개역한글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