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초록 10
I. 서론 14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4
2. 연구 문제 17
3. 용어의 정의 18
4. 연구의 제한점 20
II. 이론적 배경 21
1. 혈액형과 성격 21
1) ABO식 혈액형 21
2) 성격 22
2. 고정관념 28
1) 고정관념의 개념 28
2) 고정관념의 형성과정 29
3. 혈액형별 성격특징에 관한 고정관념 31
1) 혈액형별 성격특징 고정관념의 기원 31
2) 혈액형별 성격 특징 고정관념 내용 38
3) 혈액형별 성격특징 고정관념의 지속 이유 42
4) 혈액형별 성격특징 고정관념의 영향 50
4. 선행연구 분석 55
1) 혈액형과 성격의 관계에 관한 연구 55
2) 혈액형별 성격특징 고정관념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63
III. 연구 방법 67
1. 연구 대상 67
1) 혈액형별 성격특징 고정관념 내용분석 대상 68
2) 혈액형별 성격특징 고정관념의 타당성 검증 대상 72
3) 설문조사 및 정신건강 척도 검사 대상 72
2. 연구 절차 73
1) 혈액형별 성격특징 고정관념 내용분석 절차 75
2) 추출된 고정관념 내용의 타당성 검증 절차 75
3) 혈액형별 성격특징 고정관념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검증 절차 76
3. 연구 도구 77
1) 이고그램 78
2) IDK진로탐색검사 79
3) 설문 조사 81
4) 대인관계스트레스 척도 82
5) 대인관계변화척도 (Relationship Change Scale, RCS) 83
6) 자아존중감 척도 84
7) 심리적 안녕감 척도 84
4. 자료 처리 및 분석 84
IV. 연구 결과 86
1. 혈액형별 성격특징 고정관념의 내용분석 86
1) 혈액형별 성격유형화에 관한 고정관념 실태 87
2) 혈액형별 성격(행동)특성에 관한 고정관념 실태 93
3) 혈액형별 진로성격에 관한 고정관념 실태 98
2. 혈액형별 성격특징 고정관념의 타당성 107
1) 혈액형별 성격유형화에 관한 고정관념의 타당성 검증 107
2) 혈액형별 성격(행동)특성 고정관념의 타당성 검증 110
3) 혈액형별 진로성격에 관한 고정관념의 타당성 검증 111
3. 혈액형별 성격특징 고정관념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115
1) 혈액형별 성격특징 고정관념으로 인한 혈액형간 정신건강의 차이 115
2) 혈액형별 성격특징 고정관념으로 인한 스트레스의 정도와 대인관계스트레스, 대인관계기술, 자아존중감 및 심리적 안녕감과의 상관관계 119
3) 혈액형별 성격특징 고정관념에 대한 믿음 정도와 혈액형별 성격특징 고정 관념으로 인한 스트레스, 대인관계스트레스, 대인관계기술, 자아존중감 및 심리적 안녕감 간의 상관관계 120
V. 논의 및 결론 129
1. 연구 결과 요약 129
2. 논의 132
3. 결론 및 제언 141
참고문헌 145
Abstract 156
부록 162
〈부록 1〉 혈액형별 성격특징 고정관념 관련 설문 163
〈부록 2〉 대인관계스트레스 척도 164
〈부록 3〉 대인관계변화 척도 165
〈부록 4〉 로젠버그 자아존중감 척도(RSES) 167
〈부록 5〉 심리적 안녕감 척도(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PWBS) 168
〈부록 6〉 청소년용 이고그램(Egogram) 점검표 169
〈부록 7〉 담임교사 설문조사 172
〈부록 8〉 혈액형별 성격특징 관련 도서 목록 173
〈부록 9〉 휴대폰(스마트폰 이전) 부가서비스 혈액형별 운세 191
[그림 1] 성격의 구조 26
[그림 2] ABO 혈액형의 분자구조 48
[그림 3] 연구 대상 67
[그림 4] 혈액형별 성격특징 고정관념의 내용분석 및 검증 과정 흐름도 73
[그림 5] 연구 절차 74
[그림 6] 연구 도구 77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1982). 혈액형 인간학. 서울: 중앙교육서관. | 미소장 |
2 | 한국형 도형심리유형과 혈액형의 상관관계 연구 | 소장 |
3 | 레크레이션 지도자의 프로그램 개발 실태 분석 | 소장 |
4 | (2008). 현대이상심리학. 서울: 학지사. | 미소장 |
5 | (2010). 란트슈타이너가 들려주는 혈액형 이야기. 서울: 자음과 모음. | 미소장 |
6 | (2006). 다문화가정 청소년(혼혈청소년)연구 : 사회적응실태조사 및 고정관념 조사. 서울: 국가청소년위원회 한국청소년상담원. | 미소장 |
7 | Relationships Among Self-Esteem, Self-Acceptance and Stress Coping Behavior | 소장 |
8 | 애니메이션 캐릭터 캐스팅에 있어 혈액형과 성격의 상관성 분석 연구 | 소장 |
9 | 초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정서인식 명확성의 조절효과 | 소장 |
10 | (2012). 교류분석 상담 입문. 안양: 도서출판 아카데미아. | 미소장 |
11 | 성격유형에 따른 고등학교 씨름선수들의 경쟁불안이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 소장 |
12 | 남자중학생의 혈액형별 운동능력과 생활환경 조건의 관련 | 소장 |
13 | (2010). 가족상담자의 상담관련 전문성이 부부관계와 가족의 심리적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 미소장 |
14 | 병원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 감정노동 및 자아 탄력성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 소장 |
15 | (2007). 교육심리학. 서울: 서현사. | 미소장 |
16 | 혈액형별 색채 선호에 관한 감성 연구 : 중·고등학생을 중심으로 | 소장 |
17 | (2003). 현대사회의 인간관계론. 서울: 학문사. | 미소장 |
18 | 직무스트레스가 사회복지사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지지의 효과를 중심으로 | 소장 |
19 | 여고생의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 및 마음챙김과 수용행동 간 관계 | 소장 |
20 | (1998). 현대심리치료.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 미소장 |
21 | 성인들의 혈액형과 성격 및 항 스트레스와의 관련성 연구 | 소장 |
22 | (2007). 혈액형성격론의 전파 확산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북악경영연구, 15, 89-122. | 미소장 |
23 | (2008). 혈액형성격상관론의 상품화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북악경영연구, 16, 79-99. | 미소장 |
24 | 고등학생의 학교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충남지역을 중심으로 | 소장 |
25 | The Effect of Regional Stereotypes on Attribution and Impression Judgment | 소장 |
26 | Stereotyopes, prejudice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 소장 |
27 | (2003). 성격심리학. 서울: 학지사. | 미소장 |
28 | 血液型 에 따른 檢査不安 程度 에 관한 硏究 | 소장 |
29 | Authoritarian Personality and Social prejudice among College Students | 소장 |
30 |
An Analysis on the Personality and Relation according to he Blood Types of Characters in the Comics |
소장 |
31 | (2009). 혈액형에 관한 간단한 고찰. 서울: 소담출판사. | 미소장 |
32 | (2000). 연령증가가 발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계명대학교 사회과 학연구소 사회과학논총, 19(1), 55-68. | 미소장 |
33 | (2002). 성격은 변하지 않는 것인가 서울: 교육과학사. | 미소장 |
34 | 성악 진로교육을 위한 혈액형 연구 : 성악전공을 중심으로 | 소장 |
35 | (2003). 유쾌한 심리학. 서울: 파피에. | 미소장 |
36 | (2011). 진로상담의 실제. 파주: 양서원. | 미소장 |
37 | (1975). 혈액형 인간학. 서울: 신화출판사. | 미소장 |
38 | A Study on the Effects of One's Blood Type on Determining Awarness and Emotional Character - for the Elementary Students - | 소장 |
39 |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간 관계 분석 | 소장 |
40 | 생활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방식,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소장 |
41 | 서울대학교 실천사회복지연구회 (2004). 실천가와 연구자를 위한 사회복지척도집. 서울: 사회복지전문 출판 나눔의 집. | 미소장 |
42 | 아동의 성별에 따른 색채선호와 연상에 관한 연구 : 서울시 강북구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을 중심으로 | 소장 |
43 | (A)study on the influencing variables on the effect of mindfulness : focused on constitution, character, blood type, and personality | 소장 |
44 | (2012). 소비자 구매행동은 혈액형과 연관이 있는가 한국소비자학회, 23(2), 107-134. | 미소장 |
45 | (2001). 교육의 해석학. 서울: 교육과학사. | 미소장 |
46 | 사용자 특성에 따라 인터넷 판매촉진이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소장 |
47 | Stereotype Threat and Cognitive Task Performance | 소장 |
48 | (The) effect on stress level by assertiveness and the way of stress coping | 소장 |
49 | (2008). 심리학과 생활. 서울: 서현사. | 미소장 |
50 | 도시주부 우울에 관한 실증적 연구 : 서울시 주부를 중심으로 | 소장 |
51 | (2007) 학습이론 및 심리. 서울: 도서출판 하우. | 미소장 |
52 | 상담에서 나타난 게임중독 청소년의 개인적 특성에 관한 연구 | 소장 |
53 | 소비자 특성에 따른 토탈 코디네이션 행동 및 관련 구매 행동 | 소장 |
54 | (2006). SBS스페셜 혈액형의 진실. 서울: 그루북스. | 미소장 |
55 | (2011). 혈액형과 성격. 서울: 다은출판사. | 미소장 |
56 | 저소득 결손가족 청소년의 적응 결정요인 | 소장 |
57 | (2006). 교류분석(TA)에 의한 청소년 인성개발 프로그램. 대구: 정암서원. | 미소장 |
58 | (2001). 에니어그램 이해 나를 찾아 떠나는 여행. 서울: 한국에니어그램연구소. | 미소장 |
59 | 태권도 선수들의 시합전 불안과 해소방안에 대한연구 | 소장 |
60 | A Question on the Research Findings of Attitude Change in Social Studies | 소장 |
61 | 부부갈등과 성적 친밀감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소장 |
62 | 결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소장 |
63 | 웨딩드레스 디자인 분석과 감성이미지 및 선호도에 관한 연구 | 소장 |
64 | (2010). 진로발달이론을 적용한 진로상담 제4판.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 미소장 |
65 | (2008). 관계의 심리학. 서울: 경향미디어. | 미소장 |
66 | 시뮬레이션 기법을 활용한 토털코디네이션 연출에 따른 헤어스타일 연구 | 소장 |
67 | 정신분열증 환자의 재활을 위한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 소장 |
68 | (2000). 가출 청소년의 부적응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 미소장 |
69 | 사회복지사와 보건직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에 관한 비교 연구 | 소장 |
70 | 성별과 성역할 고정관념에 따른 진로타협 과정에서 선호도 차이 | 소장 |
71 | (2011). 한글용 SPSS 14.0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서울: 무역경영사. | 미소장 |
72 | (2004). 성격심리학. 서울: 교육아카데미. | 미소장 |
73 | Exploratory Study Regarding an Advertisement Effect by a Blood Type | 소장 |
74 | 중·고등학생들의 학교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스트레스 대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소장 |
75 | 모발의 굵기·형태에 따른 성격 유형과 헤어스타일 태도 | 소장 |
76 | 생산적 활동이 여성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요구-조절-지지 모델의 적용 | 소장 |
77 | 혈액형별 성격특징에 대한 믿음과 실제 성격과의 관계 | 소장 |
78 | Does Love Depend on Blood Types?: Blood Types, Love Styles, and Love Attitudes ![]() |
미소장 |
79 | (2009).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2판. 서울: 학지사. | 미소장 |
80 | Teaching strategies for reducing students’ stereotypes toward north Korean refugee | 소장 |
81 | Stereotyping thinking for Chinese by hotel employee influencing service delivery level | 소장 |
82 | (2002). 여자 중학생의 혈액형별 체격과 체력의 상관. 경남대학교 교육문제 연구소 교육이론과 실천, 12(2), 363-395. | 미소장 |
83 | 韓國 大學生의 스트레스 現況과 認知-行動的 相談의 效果 | 소장 |
84 | 한국교육심리학회 (2000). 교육심리학용어사전. 서울: 학지사. | 미소장 |
85 | (2005), 사회심리학의 이해. 서울: 학지사. | 미소장 |
86 | (The)study for appreciation of the Ki-gong therapy for 20-30 ages people | 소장 |
87 | 일반 아동들의 다문화가정 아동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소장 |
88 | 기업체 구성원들의 사상체질 유형과 리더십 유형의 관계 연구 | 소장 |
89 | Blood type and the five factors of personality in Asia ![]() |
미소장 |
90 | (1997). 혈액형과 인간관계. 신정식 역. 서울: 보성출 판사. | 미소장 |
91 | (1999). 혈액형 인간학 : 알아두면 삶이 더욱 행복해지는 상성의 과학. 장진영 역. 서울 : 동서고금. | 미소장 |
92 | [No relationship between blood type and personality: evidence from large-scale surveys in Japan and the US]. ![]() |
미소장 |
93 | (2006). 심리학 콘서트. 장하영 역. 서울: 스타북스. | 미소장 |
94 | (1999). The social Animal(8th edition). New York: Worth Publishers. | 미소장 |
95 | (1964). Games Peple Play. New York:Grove Press. | 미소장 |
96 | African Americans and High Blood Pressure: The Role of Stereotype Threat ![]() |
미소장 |
97 | (1965). The scientific analysis of personality. Baltimore, MD: Penguin. | 미소장 |
98 | (1980). The relation of blood types tp primary and secondary personality traits. The mankind quarterly, 21, 35-51. | 미소장 |
99 | Personality, blood type, and the five-factor model ![]() |
미소장 |
100 | (2007). Personality What Makes You the Way You Are 김상우 역(2009). 성격의 탄생. 서울: 와이즈북. | 미소장 |
101 | (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lcal Bulletin. 95, 542-575. | 미소장 |
102 | Subjective Well-Being: Three Decades of Progress ![]() |
미소장 |
103 | Five robust trait dimensions: development, stability, and utility. ![]() |
미소장 |
104 | (1998). Stereotyping, prejudice, and discrimination(4th ed.). In D. Gilbert, S. T. Fiske,& G. Lindzey (Eds.).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2). | 미소장 |
105 | (1954). The nature of prejudice. New York, Addison-wesley. | 미소장 |
106 | (2008). Snoop: What Your Stuff Says About You. 김선아역(2010). 스눕. 서울: 한국경제신문사. | 미소장 |
107 | The BIAS map: behaviors from intergroup affect and stereotypes. ![]() |
미소장 |
108 | (1994). Stereotypes. In R. S. Wyer& T. K. Srull (Eds.), Handbook of social cognition(Vol. 2, 1-68). Hillsdale, NJ. : Erlbaum. | 미소장 |
109 | (1986). A theory and method of lov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7, 297-307. | 미소장 |
110 | (1992). 성격심리학. 이훈구 역. 서울: 법문사. | 미소장 |
111 | (1997). Making vocational choices: A theory of vocational personalities and work environments. 안창규ㆍ안현의 역(2004)홀랜드 직업선택이론. 서울: 한국가이던스. | 미소장 |
112 | (2009). 에릭 번: 교류분석의 창시자. 박현주 역. 서울: 학지사. | 미소장 |
113 | (Eds.), Well-being: The foundations of hedonicpsychology. New York: Russel Sage Foundation. | 미소장 |
114 | (1998). Generativity and adult development: Perspectives on caring for and contributing to the next generation. American Psychology Association, 240-241. | 미소장 |
115 | Stereotype Threat in Men on a Test of Social Sensitivity ![]() |
미소장 |
116 | (2005). Opening skinner's box : great psychological experiments of the twentieth century. 조증열 역(2008). 스키너의 심리상자 열기. 서울: 에코의 서재. | 미소장 |
117 | (1991). 존슨 생물학. 전남대 생물교재편찬회 역. 서울: 탐구당. | 미소장 |
118 | (1922). Public Opinion. 이충훈 역(2012). 여론. 서울: 까치. | 미소장 |
119 | (2009). 심리 상식 사전 : 자아도취에서 군중 심리까지멀쩡한 나를 속이는 37가지 심리 실험. 이현경 역. 서울: 웅진지식하우스. | 미소장 |
120 | Personality trait structure as a human universal. ![]() |
미소장 |
121 | Social-Cognitive Factors in Changing Health-Related Behaviors ![]() |
미소장 |
122 | (1958). The Measurement of Meaning, Urbanna, Ill.: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 미소장 |
123 |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 |
미소장 |
124 | (2005). 심리학의 즐거움. 김문성 역. 서울: 휘닉스. | 미소장 |
125 | (2003). Blood type and personality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4, 1099-1112. | 미소장 |
126 | (1979). Conceiving the Self. New York: Basic Books Instrument reproduced with permission of Morris Rosenberg. | 미소장 |
127 | ON HAPPINESS AND HUMAN POTENTIALS: A REVIEW OF RESEARCH ON HEDONIC AND EUDAIMONIC WELL-BEING ![]() |
미소장 |
128 | Hypothesis-testing processes in social interaction. ![]() |
미소장 |
129 | (2002). Personality adaptations : a new guide to human understanding in psychotherapy and counselling 오수희․이영대․안범현 공역(2012). TA이론에 의한 성격적응론. 서울: 학지사.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