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7

1. 연구의 목적과 의의 17

2. 연구의 방법과 범위 21

II. 이론적 고찰 23

1. 용어 정의 23

2. 신체담론 25

3. 문학과 예술에 나타난 그로테스크 담론 32

4. 그로테스크와 그로테스크 신체 이론 45

1) 그로테스크 이론 45

2) 그로테스크 신체 이론 48

3) 영국 현대미술에서 표현된 그로테스크 신체 61

III. 그로테스크 신체담론이 반영된 패션디자인 분석 84

1. 기괴(奇怪)한 신체 85

2. 파편화(破片化)된 신체 98

3. 유희적(遊戱的) 신체 106

4. 비하(卑下)된 신체 112

IV. 그로테스크 신체담론이 반영된 패션디자인의 미적특성 122

1. 시각적 이질성 (視覺的 異質性) 122

2. 형태의 전복성(全鰒性)) 128

3. 유희(遊戱)와 공포성(空砲性)) 133

4. 퇴폐(頹廢)와 혐오성(嫌惡性)) 138

V. 결론 142

참고문헌 145

부록 153

ABSTRACT 155

〈표 1〉 신체인식의 흐름 31

〈표 2〉 문학과 예술에 나타난 그로테스크 담론 43

〈표 3〉 그로테스크 이론의 표현양식 47

〈표 4〉 카이저의 언캐니 그로테스크 51

〈표 5〉 바흐친의 카니발 그로테스크 55

〈표 6〉 크리스테바의 애브젝트 그로테스크 60

〈표 7〉 영국 현대미술에 반영된 그로테스크 신체 도출 82

〈표 8〉 그로테스크 신체 형태분석 83

〈표 9〉 영국 현대패션디자인에 표현된 기괴한 신체의 형태분석 93

〈표 10〉 영국 현대패션디자인에 표현된 파편화된 신체의 형태 분석 103

〈표 11〉 영국 현대패션디자인에 표현된 유희적 신체의 형태분석 109

〈표 12〉 영국 현대패션디자인에 표현된 비천한 신체의 형태분석 117

〈표 13〉 그로테스크 신체담론이 반영된 패션디자인의 미적특성 121

〈표 14〉 시각적 이질성 127

〈표 15〉 형태의 전복성 132

〈표 16〉 유희와 공포성 137

〈표 17〉 퇴폐와 혐오성 141

〈그림 1〉 연구의 흐름도 20

〈그림 2〉 그로테스크 문양, 루카스 길리얀, 1607 23

〈그림 3〉 Leonardo da Vinci, 다섯명의 그로테스크한 머리, 1494 33

〈그림 4〉 Raphael, 교황청 로지아 기둥 장식, 1515년경 33

〈그림 5〉 Hieronymus Bosch, 세속적 쾌락의 정원, 1500~1501 34

〈그림 6〉 Giuseppe Arcimboldo, Winter, 1563 35

〈그림 7〉 Pieter Brueghel, 악녀 그리트, 1561~1562 35

〈그림 8〉 El Greco, 요한 묵시록의 다섯 번째 봉인의 개봉, 1608~1614 35

〈그림 9〉 John Henry Fuseli, The Nightmare, 1782 37

〈그림 10〉 F. Goya, 거인, 1818 37

〈그림 11〉 F. Goya, Saturn, 1820-1823 37

〈그림 12〉 Edvard Munch, Scream, 1893 39

〈그림 13〉 James Ensor, 음모. 1911 39

〈그림 14〉 Egon Schiele, Self Portrait, 1910 39

〈그림 15〉 Giorgio de Chirico, The great Metaphysician, 1917 40

〈그림 16〉 Magritte, Le Viol, 1934 40

〈그림 17〉 Salvador Dali, The Burning Giraffe, 1937 41

〈그림 18〉 Max Ernst, The Robing of the Bride, 1940. 41

〈그림 19〉 라캉과 크리스테바의 주체 형성 과정 57

〈그림 20〉 Marc Quinn, Self, 1991~2006 66

〈그림 21〉 Damien Hirst, A Thousand Year, 1990 66

〈그림 22〉 Damien Hirst, Jesus, H. Tap Dancing Christ, I've Seen the Light, Mixed media. 1999 66

〈그림 23〉 Chapman, Zygotic, Acceleration, Biogenetic De-Sublimated Libidinal Model, 1995 66

〈그림 24〉 Chapman, DNA Zygotic 1997 66

〈그림 25〉 Marc, Quinn, Buck & Allanash, 2009 67

〈그림 26〉 Sarah Lucas, Four Bunnies, 1998 67

〈그림 27〉 Marc Quinn. No Visible Means of Escape. 1996 67

〈그림 28〉 Marc Quinn. You Take My Breath Away. 1992 67

〈그림 29〉 MarQuinn, Marie Antoinette, 1989 67

〈그림 30〉 Damien Hirst, Some Comfort Gained From the Acceptance of the Inherent Lies ib Everything, 1996 71

〈그림 31〉 Damien Hirst, Mother & Child Part, 1993 71

〈그림 32〉 Damien Hirst, Wretched War, 2004 71

〈그림 33〉 Sarah Lucas, Get Hold of This, 1994 71

〈그림 34〉 Sarah Lucas, Figleaf in the ointment, 1991 71

〈그림 35〉 Francis Goya, Great Deeds, Against The Dead, 1863 72

〈그림 36〉 Chapman, Great Deed A Against The Dead, 1994 72

〈그림 37〉 Chapman, The Thing But Silver, 2007 72

〈그림 38〉 Marc Quinn, The Seven Deadly sins 1, 1994 72

〈그림 39〉 Marc Quinn, The Seven Deadly sins 2, 1995 72

〈그림 40〉 Chapman, The Sleep of Reason, 2001 76

〈그림 41〉 Chapman, The Chess Set Knight, 2003 76

〈그림 42〉 Chapman, Exquisite Corpse, 2000 76

〈그림 43〉 Damien Hirst, Jesus, H. Tap Dancing Christ, I've Seen the Light, Mixed media. 1999 76

〈그림 44〉 Damien Hirst, Skulduggery, 2000 76

〈그림 45〉 Damien Hirst, Hymn, 2000 76

〈그림 46〉 Noman Emms가 디자인한 교육용 장난감 76

〈그림 47〉 Chris Ofilli, The Holy Virgin Mary, 1996 81

〈그림 48〉 Chris Ofilli, No Woman, No Cry, 1998 81

〈그림 49〉 Marc Quinn, Zombie Boy, 2011 81

〈그림 50〉 Jenny Saville, Branded, 1992 81

〈그림 51〉 Jenny Saville, Plan, 1993 81

〈그림 52〉 Jenny Saville, Knead. 1994 81

〈그림 53〉 Chapman. Sex 1. 2003 81

〈그림 54〉 Damien Hirst, Matthew, Mark, Luke and John, 2002-2003. 81

〈그림 55〉 Damien Hirst. For The Love of God, 2007 81

〈그림 56〉 Alexander Mcqueen, 1999 s/s 94

〈그림 57〉 Rebecca Horn, High Moon, 1991 94

〈그림 58〉 Alexander Mcqueen, 1999-00 f/w 94

〈그림 59〉 Joel Peter Within, Sanitarium, 1998 94

〈그림 60〉 Alexander Mcqueen, 2000 s/s 94

〈그림 61〉 Alexander Mcqueen, 2010 s/s 94

〈그림 62〉 Alexander Mcqueen, 2010 s/s 94

〈그림 63〉 Alexander Mcqueen, 2009 s/s 94

〈그림 64〉 Alexander Mcqueen, 2006-07 f/w 95

〈그림 65〉 Robert Cary-Williams, 2006 s/s 95

〈그림 66〉 Alexander Mcqueen, 2006-07 f/w 95

〈그림 67〉 Alexander Mcqueen, 2008 s/s 95

〈그림 68〉 Gareth Pugh, 2010 s/s 95

〈그림 69〉 Gareth Pugh, 2010 s/s 95

〈그림 70〉 Alexander Mcqueen, 2008 s/s 95

〈그림 71〉 Vivienne Westwood, 2015-16 f/w 95

〈그림 72〉 Alexander Mcqueen, 2008 s/s 95

〈그림 73〉 Alexander Mcqueen, 1997 s/s 96

〈그림 74〉 Gareth Pugh, 2013-14 f/w 96

〈그림 75〉 Alexander Mcqueen, 2001-02 f/w 96

〈그림 76〉 Alexander Mcqueen, 2009-10 f/w 96

〈그림 77〉 Alexander Mcqueen, 1998-99 f/w 96

〈그림 78〉 Alexander Mcqueen, 2009-10 f/w 96

〈그림 79〉 Gareth Pugh, 2008-09 f/w 96

〈그림 80〉 Gareth Pugh, 2008-09 f/w 96

〈그림 81〉 Ann Sofie Back, 2009-10 f/w 96

〈그림 82〉 Gareth Pugh, 2007 s/s 97

〈그림 83〉 Alexander Mcqueen, 2000-01 f/w 97

〈그림 84〉 Gareth Pugh, 2014-15 f/w 97

〈그림 85〉 (좌) 후세인 살라얀의 전시, (우) Hussein Chalayan, 2009 s/s 97

〈그림 86〉 Alexander Mcqueen, 2007-08 f/w. 104

〈그림 87〉 Alexander Mcqueen, 2004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쇼 104

〈그림 88〉 Alexander Mcqueen, 2007-08 f/w 104

〈그림 89〉 Alexander Mcqueen, 2004s/s 104

〈그림 90〉 Hussein Chalayan, 2009-10 f/w 104

〈그림 91〉 Alexander Mcqueen, 1997-98 f/w 104

〈그림 92〉 Alexander Mcqueen, 1998 s/s 104

〈그림 93〉 Arkadius 2001s/s 104

〈그림 94〉 Hussein Chalayan, 2010 s/s 104

〈그림 95〉 Arkadius, 2001 s/s 105

〈그림 96〉 Alexander Mcqueen, 2002s/s 105

〈그림 97〉 John gailiano, 2007-08 f/w 105

〈그림 98〉 Arkadius, 2001-02 f/w 105

〈그림 99〉 Alexander Mcqueen, 2002-03 f/w 105

〈그림 100〉 Alexander Mcqueen, Bumster Skirt, 1995-96 f/w 105

〈그림 101〉 Hyssein Chalayan, 2005-06 f/w 110

〈그림 102〉 Vivienne Westwood, 2010 s/s 110

〈그림 103〉 John Galliano, 2009-10 f/w 110

〈그림 104〉 Hyssein Chalayan, 1998 s/s 110

〈그림 105〉 John Galliano, 2003 s/s. 110

〈그림 106〉 John Galliano, 2004-05 f/w 110

〈그림 107〉 Gareth Pugh, 2006-07 f/w 111

〈그림 108〉 Gareth Pugh, 2006-07 f/w 111

〈그림 109〉 Gareth Pugh, 2006-07 f/w 111

〈그림 110〉 Vivienne Westwood, 2010s/s 111

〈그림 111〉 (좌) Leigh Bowery, (우) Alexander Mcqueen, 2009-10 f/w. 111

〈그림 112〉 Gareth Pugh, 2008 s/s 111

〈그림 113〉 Gareth Pugh, 2015 s/s 111

〈그림 114〉 Robert Cary-Williams, 2006 s/s 118

〈그림 115〉 Robert Cary-Williams, 2006 s/s 118

〈그림 116〉 Hussein Chalayan, 2002s/s 118

〈그림 117〉 Giles, 2012 f/w 118

〈그림 118〉 John Galliano 2003 s/s 118

〈그림 119〉 John Galliano 2006 s/s 118

〈그림 120〉 Alexander Mcqueen, 2002 s/s 119

〈그림 121〉 Alexander Mcqueen, 2000-01 f/w 119

〈그림 122〉 Arkadius 2001 s/s 119

〈그림 123〉 Alexander Mcqueen, 1996 s/s 119

〈그림 124〉 Alexander Mcqueen, 1996 s/s 119

〈그림 125〉 Alexander Mcqueen, 2001-02 f/w 119

〈그림 126〉 The face, 맥퀸 인터뷰, Nov. 1996 119

〈그림 127〉 그로테스크 신체담론이 반영된 패션디자인의 형태분석과 미적 특성 도출 120

〈그림 128〉 Alexander Mcqueen, 2009-10f/w 126

〈그림 129〉 Alexander Mcqueen, 2008s/s 126

〈그림 130〉 Alexander Mcqueen, 2009-10f/w 126

〈그림 131〉 Alexander Mcqueen, 2003s/s 126

〈그림 132〉 Gareth Pugh 2007 s/s 126

〈그림 133〉 Alexander Mcqueen, 1999-00f/w 126

〈그림 134〉 Gareth Pugh, 2013-14 f/w 126

〈그림 135〉 Alexander Mcqueen, 1999-00s/s 126

〈그림 136〉 Alexander Mcqueen, 1998 s/s 126

〈그림 137〉 John Jalliano 2004-05 f/w 131

〈그림 138〉 Alexander Mcqueen, 1997 s/s 131

〈그림 139〉 Alexander Mcqueen, 1998 s/s 131

〈그림 140〉 Vivienne Westwood, 2011s/s 131

〈그림 141〉 Giles 2012-13f/w 131

〈그림 142〉 Robert Cary-Williams, 2006 s/s 131

〈그림 143〉 Gareth Pugh, 2006-07 f/w 136

〈그림 144〉 Alexander Mcqueen, 2009-10 f/w 136

〈그림 145〉 John Galliano, 2003 s/s 136

〈그림 146〉 Gareth Pugh 2012 s/s 136

〈그림 147〉 Alexander Mcqueen, 1998-99 f/w 136

〈그림 148〉 Gareth Pugh, 2008 F/w 136

〈그림 149〉 Alexander Mcqueen, 2000 s/s 140

〈그림 150〉 Alexander Mcqueen, 2006-07f/w 140

〈그림 151〉 Arkadius 2005-06f/w 140

〈그림 152〉 Arkadius, 2000 s/s 140

〈그림 153〉 Alexander Mcqueen 2000-01 f/w 140

〈그림 154〉 Alexander Mcqueen, 1996 s/s 140

초록보기

 패션은 동 시대의 미적 가치, 사회현상, 문화 등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예술적 영역으로 포함되고, 미술의 창조적 표현기법은 패션디자이너들에게 작품 표현의 창의적 영감을 제공해 왔다.

그로테스크(Grotesque)는 반미학적 용어를 지칭하는 대표적인 단어로 문학과 예술 등 다양한 창작 분야에서 수용되고 있다. 특히 그로테스크 표현은 독창적이고 실험적인 패션을 주도하는 영국 현대 패션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면서 영국 현대 미술작가들의 그로테스크 작품과도 연관성을 발견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현대패션디자인에 표현된 그로테스크 미적특성을 연구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그로테스크와 신체담론 철학자들의 이론을 바탕으로 현대미술에 반영된 그로테스크 신체를 패션을 분석하는 준거의 틀로 활용하여 고찰하였다. 나아가 그로테스크한 신체적 특성이 반영된 패션디자인을 '그로테스크 패션'이라 정의하고 현대미술과 패션의 공통점과 차이점에서 이론적 근거의 정립을 시도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의의를 두고 있다.

그로테스크 신체에 대한 철학적 배경을 바탕으로 현대미술에서 표현된 그로테스크 신체를 분석해 본 결과, 신체적 특징은 기괴한 신체, 파편화된 신체, 유희적 신체, 비천한 신체로 분류되었다.

첫째, 기괴(奇怪)한 신체는 첨단과학기술이 반영된 디지털 결합과 자웅동체, 샴쌍둥이, 변종 등 괴상하고 기이한 분위기를 연출한 변이된 형태로 나타난다.

둘째, 파편화(破片化)된 신체는 분해, 절단, 해체, 재조합 등 해부학적으로 변형된 형태를 말하며 왜곡되고 변형된 새로운 제 2의 신체를 출현시켰다.

셋째, 유희적(遊戱的) 신체는 왜곡되고 과장된 비정상적 형태에서 발생되는 상호 모순적인 감정인 쾌와 불쾌, 공포와 조롱이 섞인 웃음을 유발시켰다.

넷째, 비하(卑下)된 신체는 터부시되는 재료의 사용, 금기시된 신체를 사실적으로 표현하는 과장된 리얼리즘을 통하여 혐오스러운 신체이미지를 부각시켰다.

이렇듯 현대미술에 나타난 그로테스크 신체적 특성은 현대 패션디자인에서도 그대로 반영됨을 알 수 있었다. 다만 패션디자인은 미술과 달리 컬렉션의 기획과 연출, 이미지로 나타나며, 신체에 입혀지는 것으로 그 기능성이 고려되어야하기 때문에 미술보다는 미적 경험과 참여의 특성이 더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현대 패션디자인의 미적 특성은 시각적 이질성, 형태의 전복성, 유희와 공포, 퇴폐와 혐오성으로 도출되었다.

첫째, 시각적 이질성(視覺的 異質性)은 이미지와 소재의 이질성으로 분류되며 이미지의 이질성으로는 인간과 기계이미지, 인간과 동·식물 이미지, 여성과 남성의 이미지로 나타나고 소재의 이질성으로는 전통적인 의복의 재료가 아닌 낯선 소재의 사용으로 표현되었다.

둘째, 형태의 전복성(顚覆性)으로는 위치전복, 의복구성의 전복, 착장방식의 파괴, 봉재방식의 파괴, 전형적인 패션쇼의 형태에서 벗어난 패션이미지 연출로 표현되었다.

셋째, 유희(遊戱)와 공포(恐怖)는 비정상적인 실루엣, 복잡한 요소들 중첩, 과장되고 몽환적인 이미지, 삐에로 이미지, 카니발이미지, 기형적 이미지, 과장된 이미지 등에서 발생하는 유희의 감정과 죽음을 상징하는 오브제, 악마적 모티브 등에서 발생하는 악마적 공포로 표현되었다.

넷째, 퇴폐(頹廢)와 혐오성(嫌惡性)은 의도적인 성적인 노출과 섹슈얼이미지가 강조되는 퇴폐와 터부시·금기시하는 소재와 이미지에서 발생하는 혐오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미적 특성을 통해 현대패션에서 표현된 그로테스크 패션이 이질적인 형태의 결합으로 전통형식을 부정하고 인간 존재의 존엄성과 소외되고 억압된 것들에 대한 표출을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며, 형태의 전복을 통하여서는 고정관념을 파괴하고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서로 대립되는 감정, 악마적 공포, 쾌와 불쾌를 나타내는 유희와 공포성은 인간내면의 파괴적이고 공격적인 본능의 표출이며, 사회 부조리와 불안에 대한 표현으로 해석된다. 또한 신체의 물리적인 파괴, 신체의 해부학적 표현, 노골적인 성적 표현은 폭력이 만연한 현대사회에 대한 심리적 불안감이나 금기(禁忌)에 대한 자기 성찰적 심리 현상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현대패션디자인에 나타난 그로테스크 신체의 표현특성이 단순히 부정적 의미인 혐오스럽고 파괴적인 성질을 지닌다는 해석에서 벗어나 그 이상의 미학적 가치를 부여, 다양한 표현방법의 확장, 독창적인 패션디자인 전달방법의 하나로 인식하고자 하는데 긍정적 방향을 제시 할 수 있다고 본다. 또한 앞으로 그로테스크 패션이 예술적인 접근방법의 태도로 패션을 창조하는 새로운 방식으로 인식되고 예술과 산업의 중점적인 역할을 수행 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