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1. 서론 11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1

1.2. 연구 문제 14

1.3. 용어의 정의 14

1.3.1. 보육교사 14

1.3.2. 직무스트레스 15

1.3.3. 직무만족도 15

2. 이론적 배경 16

2.1. 어린이집 및 보육교사 16

2.1.1. 어린이집의 개념 16

2.1.2. 어린이집의 시설유형별 종류 17

2.1.3. 보육교사의 역할 18

2.1.4. 보육교사 대 아동 비율 18

2.2. 인천광역시 어린이집 현황 19

2.2.1. 인천광역시 시설유형별 어린이집 현황 19

2.2.2. 인천광역시 정원규모별 어린이집 현황 21

2.2.3. 인천광역시 시설유형별 보육교직원 현황 22

2.2.4. 인천광역시 어린이집 보육교사 현황 23

2.2.5. 인천광역시 시설유형별 보육아동 정원 현황 24

2.2.6. 인천광역시 연령별 보육아동 현황 25

2.2.7. 인천광역시 시간연장 어린이집 현황 26

2.3. 직무스트레스 27

2.3.1. 직무스트레스 개념 27

2.3.2. 직무스트레스 요인 29

2.3.3.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 개념 31

2.3.4.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 요인 32

2.4. 직무만족도 34

2.4.1. 직무만족도 개념 34

2.4.2. 직무만족도 중요성 35

2.4.3. 직무만족도 하위요인 36

3. 연구방법 40

3.1. 연구대상 40

3.2. 연구도구 42

3.2.1. 직무스트레스 검사 도구 42

3.2.2. 직무만족도 검사도구 43

3.3. 연구절차 44

3.3.1. 예비조사 44

3.3.2. 본 조사 44

3.4. 연구분석 45

4. 연구 결과 46

4.1.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도 기술통계 46

4.1.1.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기술통계 46

4.1.2.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기술통계 47

4.2. 보육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차이 48

4.3. 보육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직무만족도 차이 68

4.4.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 88

5. 결론 및 제언 90

5.1. 결론 90

5.2. 논의 93

5.3. 제언 95

참고문헌 97

ABSTRACT 102

부록 105

표목차

〈표 2.1〉 연령별 교사 대 아동비율 19

〈표 2.2〉 인천광역시 어린이집 현황 20

〈표 2.3〉 인천광역시 정원규모별 어린이집 현황 21

〈표 2.4〉 인천광역시 어린이집 유형별 보육교직원 현황 22

〈표 2.5〉 인천 광역시 보육교사 현황 23

〈표 2.6〉 인천광역시 시설유형별 보육 아동 정원 현황 24

〈표 2.7〉 인천광역시 연령별 보육 아동 현황 25

〈표 2.8〉 인천광역시 시간연장 어린이집 현황 26

〈표 2.9〉 직무스트레스 요인 분류 30

〈표 3.1〉 연구대상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40

〈표 3.2〉 직무스트레스 검사도구의 문항 구성 42

〈표 3.3〉 직무만족도 검사 도구의 문항 구성 43

〈표 4.1〉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기술통계 46

〈표 4.2〉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대한 기술통계 47

〈표 4.3〉 보육교사의 시설유형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차이 49

〈표 4.4〉 보육교사의 근무유형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차이 51

〈표 4.5〉 보육교사의 학력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차이 53

〈표 4.6〉 보육교사의 전공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차이 55

〈표 4.7〉 보육교사의 연령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차이 57

〈표 4.8〉 보육교사의 결혼유무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차이 59

〈표 4.9〉 보육교사의 취득자격증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차이 61

〈표 4.10〉 보육교사의 교사경력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차이 63

〈표 4.11〉 보육교사의 평균급여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차이 65

〈표 4.12〉 보육교사의 담당원아수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차이 67

〈표 4.13〉 보육교사의 시설유형에 따른 직무만족도 차이 69

〈표 4.14〉 보육교사의 근무유형에 따른 직무만족도 차이 71

〈표 4.15〉 보육교사의 학력에 따른 직무만족도 차이 73

〈표 4.16〉 보육교사의 전공에 따른 직무만족도 차이 75

〈표 4.17〉 보육교사의 연령에 따른 직무만족도 차이 77

〈표 4.18〉 보육교사의 결혼유무에 따른 직무만족도 차이 79

〈표 4.19〉 보육교사의 취득자격증에 따른 직무만족도 차이 81

〈표 4.20〉 보육교사의 교사경력에 따른 직무만족도 차이 83

〈표 4.21〉 보육교사의 평균급여에 따른 직무만족도 차이 85

〈표 4.22〉 보육교사의 담당 원아 수에 따른 직무만족도 차이 87

〈표 4.23〉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 89

초록보기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 관내에 있는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교직원 중 가장 많은 분포도를 보이고 있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서 근무환경에 대한 실상을 파악하고 근무환경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보육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보육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직무만족도의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중 인건비 지원시설(국·공립, 법인, 직장 어린이집)과 인건비 미지원시설(민간, 가정 어린이집) 104개 시설로부터 담임을 맡고 있는 185명의 보육교사가 참여하였다. 직무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Clark(1980)가 개발하고 D'Arienzo(1981)가 수정한 직무스트레스 요인 질문지(Modified Teacher Occupational Stress Factor Questionnaire)를 번안하여 사용한 선행연구(김남희, 1992; 김영선, 1999; 권기태, 1990; 성영혜, 1994; 장명숙, 2006)를 참고하여 사용하였다. 직무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Bently와 Remple(1970)가 제작한 PTO(Purdue Teacher Opinionaire)와 Jorde-Bloom(1989)이 제작한 유치원 직무만족도 측정도구(Early Childhood Job Satisfaction survey: ECJSS)를 수정·번안하여 사용한 선행연구들(송유진,1993;유정혜, 1996; 이희자 외, 2001; 조성연, 2004)을 참고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SPSS statistics 19.0을 이용하였다. 연구대상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기술통계를 산출하였고,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내적 합치도인 Cronbach's α 값을 분석하였다. 이어서 보육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독립표본 t-검증(Independent samples t-test)과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가 근무하는 기관의 인천시 어린이집의 시설유형에 따라 직무스트레스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였다. 국·공립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낮은 반면, 가정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가 근무하는 기관의 시설유형, 보육교사의 전공, 평균급여에 따라 직무만족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아동학을 전공한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더불어 평균 180만원 이상의 보수를 받는 교사들의 직무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간에 높은 부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즉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교사들의 직무만족도는 낮으며, 직무스트레스가 낮은 교사들의 직무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인천광역시에 근무하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현황을 파악하고, 보육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를 최소화 시켜줄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 모색과 더불어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한 대책이 마련되길 기대해본다. 이를 통해 보육교사로서의 역할을 재인식하고, 사명감을 신장시키는데 도움이 되리라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