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요약

목차

I. 서론 9

1. 연구목적 9

2. 연구 방법 및 범위 11

II. 본론 12

1. 감정에 대한 이해- 희로애락을 중심으로 12

(1) 감정에 대한 이론 13

(2) 감정의 인지와 신체반응 17

(3) 희로애락에 대한 이해 19

2. 예술 작품에서의 감정표현 21

(1) 예술과 감정표현 21

(2) 표현주의와 감정 22

(3) 표현주의 작품 사례 24

3. 작품 제작 및 설명 40

(1) 제작의도 40

(2) 제작방법 40

(3) 작품설명 42

(4) 작업결과 51

III. 결론 52

참고문헌 53

Abstract 54

〈표 1〉 Wallbott, H. C.,& Scherer, K, R (1989) 18

〈도판 1〉 플러칙의 여덟 가지 정서이론 15

〈도판 2〉 The Night Cafe In Arles 24

〈도판 3〉 Vincent Van Gogh, The... 25

〈도판 4〉 Vincent Van Gogh,... 25

〈도판 5〉 Vincent Van Gogh,... 26

〈도판 6〉 Vincent Van Gogh,... 26

〈도판 7〉 Edvard Munch, The Dead Mother... 27

〈도판 8〉 Edvard Munch, Vampire 27

〈도판 9〉 Edvard Munch, Madonna 27

〈도판 10〉 Edvard Munch, The... 28

〈도판 11〉 Edvard Munch, The... 28

〈도판 12〉 Emil Nolde, The Last Supper 29

〈도판 13〉 Emil Nolde, Autumn Sea XIX 30

〈도판 14〉 Emil Nolde,... 30

〈도판 15〉 Emil Nolde, Autumn Sea V 31

〈도판 16〉 Emil Nolde, Candle... 31

〈도판 17〉 Alberto Giacometti,... 32

〈도판 18〉 Alberto Giacometti,... 33

〈도판 19〉 Alberto Giacometti,... 33

〈도판 20〉 Alberto Giacometti,... 34

〈도판 21〉 Alberto Giacometti,... 34

〈도판 22〉 Alberto Giacometti,... 34

〈도판 23〉 Beverly Mayeri,... 35

〈도판 24〉 Beverly Mayeri,... 35

〈도판 25〉 Beverly Mayeri, Brain... 36

〈도판 26〉 Beverly Mayeri, Mosaic... 36

〈도판 27〉 Beverly Mayeri,... 36

〈도판 28〉 Jindra Vicova, Game with... 37

〈도판 29〉 Jindra Vicova, Game with Dice... 37

〈도판 30〉 Jindra Vikova, Silent 38

〈도판 31〉 Jindra Vikova, Joy 38

〈도판 32〉 Jindra Vikova, Looking... 38

〈도판 33〉 Jindra Vikova, Looking... 38

〈도판 34〉 Jindra Vikova,... 39

〈도판 35〉 Jindra Vikova, Touches and... 39

〈도판 36〉 Jindra Vikova, From The Series, Masks 39

초록보기

 감정의 표현은 인간의 본능에서 비롯되는 가장 자연스러운 반응이자 그 누구나 할 수 있는 행위이다. 그러나 흔한 인터넷 기사나 그에 대한 댓글의 일부만 보아도 알 수 있듯, 사뭇 극단적인 상황으로 치달은 사회적 분위기로 인해 현대인들은 자신의 감정을 한없이 숨기거나 완전히 폭발시키는 등의 이상행동을 보이고 있다. 이는 감정의 올바른 인지에 실패하거나 과잉반응을 할 때 일어나는 현상으로, 우리는 이런 사실을 자각하여 자신의 감정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보다 나은 표현을 하며 서로 공유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그 이유는 우리에게 주어진 사회적 동물이라는 수식어에 걸맞게 타인과의 원활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 뿐만 아니라, 일생동안 가장 가까이 하는 '나'라는 인간에게 건강한 형태의 감정 표현을 할 수 있게 하여 보다 나은 삶을 영위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기본 감정인 희로애락을 비롯하여 감정에 관한 이론적 사실을 탐구하고, 예술에서 감정이 의미하는 바와 표현주의 양식의 작품 사례를 돌아보며 본 주제의 구현 가능성에 대해 알아내고자 하였다. 또한 연구자 본인이 직접적으로 느끼는 감정과 타인의 감정을 관찰했을 때 받았던 느낌 등을 다양한 형태와 색감으로 시각화하여, 때때로 잊어버리던 자신의 감정 상태와 그 표현에 대해 다시금 인식할 수 있게 하였다.

위의 탐구 내용을 배경삼아, 다양한 장식적 묘사를 표현하기 좋은 페이퍼클레이를 이용하여 작품을 진행하였다. 인류 공통의 감정표현을 주제로 하고 있지만, 실제로 작품을 제작하고 그 인상을 풀어가는 것은 연구자 본인이기에 그 형태는 다소 주관적인 모습을 띠고 있다. 그러나 대중에게 융통되는 상징적 의미의 형태들을 적절히 사용함으로써 공감을 이끌어내는데 큰 무리가 없도록 제작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많은 이들의 감정표현에 대한 의식을 깨워 자신 뿐 아니라 타인의 감정 또한 이해할 수 있는, 보다 풍요로운 의식의 사회로 나아가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또한 추상적 주제를 실질적으로 구현하고자 한 본 연구가, 향후 이와 유사한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