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8
제1장 서론 20
1.1. 연구 배경 및 목적 20
1.1.1. 연구 배경 20
1.1.2. 연구 목적 21
1.2. 기존연구 분석 및 문제 제기 22
1.2.1. 기존연구 분석 22
1.2.2. 문제 제기 30
1.3. 연구 범위 및 방법 31
1.3.1. 연구 범위 31
1.3.2. 연구 방법 35
제2장 역대 궁궐과 도성 중층문루의 기능 38
2.1. 조선시대 이전의 중층문루 38
2.1.1. 삼국시대 및 통일신라시대 39
2.1.2. 고려시대 46
2.2. 조선시대의 중층문루 59
2.2.1. 궁궐 61
2.2.2. 도성 69
2.3 소결 72
제3장 고려와 조선시대의 중층문루 75
3.1. 고려시대 궁궐의 중층문루 76
3.1.1. 궁궐 배치의 특징 77
3.1.2. 단위공간과 동선의 다양성 79
3.1.3. 본궐의 중층문루 분석 82
3.2. 조선시대 궁궐과 도성의 중층문루 96
3.2.1. 법궁의 중층문루 97
3.2.2. 이궁의 중층문루 108
3.2.3. 도성형 중층문루 115
3.3. 소결 124
제4장 궁궐의 중층문루의 기능과 구조 변화 127
4.1. 국가제도의 확립과 중층문루 128
4.1.1. 조선 초기 광화문의 구조 129
4.1.2. 도성의 시간과 궁궐의 중층문루 140
4.1.3. 고려시대 구조의 계승 152
4.1.4. 궁궐의 등급제와 홍화문 166
4.2. 경복궁의 중건과 중층문루 172
4.2.1. 동선의 집중화와 중층문루 173
4.2.2. 왕권강화와 광화문의 부각 181
4.2.3. 아악 공간의 도입 197
4.3. 소결 205
제5장 도성 중층문루의 기능과 구조 변화 209
5.1 도성 중층문루 공간의 활용 209
5.1.1. 기본 기능의 수행 210
5.1.2. 기우제와 기청제의 거행 229
5.1.3. 헌괵례와 전좌의 거행 234
5.2. 예제에 의한 도성형 중층문루 구조의 변화 253
5.2.1. 행례의 동선과 문루의 공간 253
5.2.2. 예제의 거행과 숭례문의 개조 259
5.2.3. 숭례문 구조와 예제 거행의 문제 266
5.2.4. 예제와 팔달문의 공간 계획 273
5.3. 소결 299
제6장 기능 변천에 따른 중층문루의 계통 304
6.1. 중층문루 기능의 계승과 부가 304
6.1.1. 궁궐의 중층문루 306
6.1.2. 도성의 중층문루 316
6.2. 중층문루의 계통 321
6.2.1. 중층초루 322
6.2.2. 중층누문 330
6.3. 소결 340
제7장 결론 343
참고문헌 352
Abstract 361
그림 1.1. 연구 흐름도 37
그림 2.1. 약수리고분 성곽도 45
그림 2.2. 요동성총 성곽도 45
그림 2.3. 삼실총 성곽도 45
그림 2.4. 용강대묘 전각도 46
그림 2.5. 고려 도성의 성문 47
그림 3.1. 고려 본궐의 입지 환경 77
그림 3.2. 고려 본궐의 다양한 단위 공간 연계 구조 79
그림 3.3. 廣化門의 접근 동선 구조 80
그림 3.4. 승평문의 접근 동선 구조 80
그림 3.5. 신봉문의 접근 동선 구조 81
그림 3.6. 창합문의 접근 동선 구조 81
그림 3.7. 희경전문의 접근 동선 구조 82
그림 3.8. 개심사 대웅보전의 연봉 84
그림 3.9. 통도사 대웅전의 연봉 84
그림 3.10. 수덕사 대웅전의 배흘림기둥 88
그림 3.11. 관경변상도(고려 1312년) 90
그림 3.12. 창합문지 전면의 급경사 94
그림 3.13. 중묘조서연관사연도(1535년 추정) 102
그림 3.14. 북궐도형 중 근정전 확대("二層") 104
그림 3.15. 광화문, 흥례문, 근정문 원경 (19세기) 107
그림 3.16. 6.25전쟁 때 소실된 광화문 문루 (1951년) 107
그림 3.17. 창덕궁 돈화문 110
그림 3.18. 창경궁 홍화문 111
그림 3.19. 동궐도의 창경궁 정전 영역 확대 (1828~1830년) 112
그림 3.20. 삼승조망 (겸재 정선, 1740년) 113
그림 3.21. 숭례문 전경 115
그림 3.22. 흥인지문 전경 115
그림 3.23. 태조 연간 상량 묵서 116
그림 3.24. 팔달문 전경 122
그림 3.25. 장안문 전경 122
그림 3.26. 팔달문 외도 122
그림 3.27. 장안문 외도 122
그림 3.28. 팔달문 123
그림 3.29. 장안문 123
그림 4.1. 고종 연간 광화문 육축 지대석 배열 구조 131
그림 4.2. 태조 연간 광화문 육축 지대석 배열 구조 131
그림 4.3. 조선 초기 광화문 육죽 복원안-1 134
그림 4.4. 조선 초기 광화문 육축 복원안-2 134
그림 4.5. 조선 초기 광화문 육축 복원안-3 134
그림 4.6. 조선 초기 광화문 육축 복원안-4 134
그림 4.7. 미륵하생경변상도의 일부분(고려후기) 136
그림 4.8. 미륵하생경변상도의 일부분(고려 1294년) 136
그림 4.9. 종루를 중심으로 한 태조대의 시간 전파 143
그림 4.10. 태종대의 파루와 인정 전파 경로 144
그림 4.11. 세종대의 파루와 인정 전파 경로 145
그림 4.12. 보루각에서 광화문까지의 시간 전달 방식 148
그림 4.13. 종각에서 종루까지의 시간 전달 방식 149
그림 4.14. 중종대의 파루와 인정 전파 경로 151
그림 4.15. 임진왜란 이후 파루와 인정 전파 경로 152
그림 4.16. 돈화문(현재) 153
그림 4.17. 돈화문 153
그림 4.18. 돈화문('동궐도' 1828~1830년) 153
그림 4.19. 대방광불화엄경 변상도 161
그림 4.20. 근정전 전면 영역 163
그림 4.21. 문외위의 근정문 163
그림 4.22. 행례공간의 근정문 163
그림 4.23. 근정문조참지도 164
그림 4.24. 상로 165
그림 4.25. 대연 165
그림 4.26. 조선 초기의 상로와 연 교체 166
그림 4.27. 경복궁 광화문 전경 169
그림 4.28. 창덕궁 돈화문 전경 169
그림 4.29. 창경궁 홍화문 전경 169
그림 4.30. 광화문과 궁장 배치 170
그림 4.31. 돈화문과 궁장 배치 170
그림 4.32. 홍화문과 궁장 배치 170
그림 4.33. 홍화문 계단 구조 170
그림 4.34. 돈화문과 궁장의 위치 171
그림 4.35. 홍화문과 궁장의 위치 171
그림 4.36. 홍화문 외부 계단 현황 171
그림 4.37. '동궐도'의 돈화문과 궁장 배치 172
그림 4.38. '동궐도'의 홍화문과 궁장 배치 172
그림 4.39. 정지급탄일근정전조하지도 178
그림 4.40. 조선 후기 경복궁도 179
그림 4.41. 영조 연간 경복궁도 179
그림 4.42. 홍례문과 동·서편문 180
그림 4.43. 근정문과 일·월화문 180
그림 4.44. 경복궁의 일화문과 월화문 위치 변화 181
그림 4.45. 조선 후기에 조성한 광화문 월대 185
그림 4.46. 조선 후기 광화문 앞의 해치상 186
그림 4.47. 조선 후기 광화문 육축 구조 188
그림 4.48. 덕수궁 광명문에 전시된 홍천사 종 193
그림 4.49. 광화문 종 설치 시공 예상도 195
그림 4.50. 무신년진찬도병 중 인정전진하도(1848년) 198
그림 4.51. 무진진찬도병 중 근정전진하례도(1868년 12월 6일) 198
그림 4.52. 근정문 상층 공간 199
그림 4.53. 근정문과 홍례문 헌가 배설의 경우 200
그림 4.54. 돈화문 대문 202
그림 4.55. 홍화문 대문 202
그림 4.56. 근정문 대문 202
그림 4.57. 근정문 계단 204
그림 4.58. 창덕궁 인정문 대문 204
그림 4.59. 창경궁 명정문 대문 204
그림 4.60. 경희궁 홍화문 대문 204
그림 4.61. 덕수궁 대한문 대문 204
그림 5.1. 숭례문 211
그림 5.2. 흥인지문 211
그림 5.3. 돈의문 211
그림 5.4. 한양 지형의 경사 방향 212
그림 5.5. 성제도 213
그림 5.6. 수원능행반차도(일부) 214
그림 5.7. 장안문 적대 전경 217
그림 5.8. 장안문 적대의 화포 217
그림 5.9. 화성 팔달문의 상층 호로전안 판문 218
그림 5.10. 발인반차도 220
그림 5.11. 순종 국상 행렬 220
그림 5.12. 대여 221
그림 5.13. 흥인지문 중심에서 벗어난 외곽도로 221
그림 5.14. 조선시대에 중층문루가 건립된 부·목 227
그림 5.15. 명대 헌부레 거행 추정 배치도 242
그림 5.16. 청대 수부례 거행 추정 배치도 246
그림 5.17. 평정회부헌부도(淸, 건륭49년, 1760년) 247
그림 5.18. 소여 263
그림 5.19. 헌괵례 거행시 숭례문 외부공간 이용 계획 267
그림 5.20. 남지기로회도(이기룡) 268
그림 5.21. 한성부 지도(부분) 268
그림 5.22. 남지 흔적(1899년 이전) 268
그림 5.23. 전면으로 치우친 문루 배치와 후면부로 연결되는 외부동선 270
그림 5.24. 전면으로 치우친 문루 배치와 문루로 연결되는 외부동선 270
그림 5.25. 숭례문 내부 계단 270
그림 5.26. 팔달문의 귀잡이보와 상층 우주 279
그림 5.27. 상층 우주 밑으로 확보된 공간 279
그림 5.28. 고란층제와 곡란층제 281
그림 5.29. 팔달문 동쪽 내부계단 282
그림 5.30. 팔달문 동협칸의 어계 배치안 1 285
그림 5.31. 팔달문 동협칸의 어계 배치안 2 285
그림 5.32. 팔달문 어계 하부로 이어지는 서협문 285
그림 5.33. 팔달문 상층 창호 내부면 292
그림 5.34. '신풍루사미도'에 묘사된 어좌 293
그림 5.35. '홍화문사미도'에 묘사된 어좌 293
그림 5.36. 용교의 293
그림 5.37. 문당제에 의거한 배치 295
그림 5.38. 팔달문과 옹성의 배치 295
그림 6.1. 고려 본궐 중층문루와 조선 초기 궁궐 중층문루의 계승 관계 308
그림 6.2. 근정문의 전좌기능 형성 배경 314
그림 6.3. 인정문조참지도 314
그림 6.4. 고종 연간의 근정전 행례시 근정문 상층 공간의 이용 방식 315
그림 6.5. 고종 연간의 근정문 행례시 홍례문 상층 공간의 이용 방식 315
그림 6.6. 옹성의 평면 규모 확대에 따른 중층초루 건립의 필요성 분석 317
그림 6.7. 성문 연계 도로폭 변화와 문루 규모의 연관성(측면 출입 옹성 구조의 경우) 318
그림 6.8.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계동대나의 거행 영역의 차이 318
그림 6.9. 조선시대 구우영제국문의 제사처 변동 319
그림 6.10. 영조 연간의 헌괵례 거행 장소의 변화 321
그림 6.11. 헌괵례 거행 장소 선정 배경 321
그림 6.12. 기능에 따른 조선시대 궁궐 및 도성의 중층초루 구조 계통(1안) 328
그림 6.13. 기능에 따른 조선시대 궁궐 및 도성의 중층초루 구조 계통(2안) 329
그림 6.14. 조선시대 궁궐 및 도성 중층초루 구조 변화의 양상 330
그림 6.15. 기능에 따른 조선시대 궁궐 및 도성의 중층누문 구조 계통 336
도면 3.1. 고려 본궐, 고구려 안학궁, 발해 상경용천부의 궁궐 배치 78
도면 3.2. 고려 본궐 주출입 동선상의 단위 공간 79
도면 3.3. 『營造法式』의 화주 83
도면 3.4. 고려시대 도성 및 궁궐의 문루 추정 개략도 85
도면 3.5. 신봉문 기초 유구 현황 86
도면 3.6. 신봉문 추정 평면 88
도면 3.7. 고려시대 건물들의 기둥 굵기 비교 89
도면 3.8. 배흘림기둥을 이용한 신봉문 복원안 89
도면 3.9. 내고주를 이용한 신봉문 복원안 89
도면 3.10. 창합문 기초 유구 현황 91
도면 3.11. 고려 본궐 내의 경령전 일곽 92
도면 3.12. 경령전지와 18호 건물지 92
도면 3.13. 경령전 18호 건물 평면도(남창근 작) 93
도면 3.14. 경령전 18호 건물 입면도(남창근 작) 93
도면 3.15. 창합문 전면 법면 94
도면 3.16. 창합문 평면 95
도면 3.17. 창합문 기둥간의 직경 비교 95
도면 3.18. 창합문 종단면 구조 추정안-1(배흘림기둥) 95
도면 3.19. 창합문 종단면 구조 추정안-2(내고주) 95
도면 3.20. 강릉 객사문 종단면도 96
도면 3.21. 북궐도형 상의 광화문, 홍례문, 근정문 99
도면 3.22. 평양 보통문 종단면 구조 103
도면 3.23. 경복궁 근정전 종단면 구조 103
도면 3.24. 『營造法式』의 부계 해석도 105
도면 4.1. 숭례문 육축 통로 평면도 135
도면 4.2. 태조 연간 육축 통로의 문지도리 확석 135
도면 4.3. 반칸물림 중층건물 구조의 전각부 구조 기법의 종류 138
도면 4.4. 조선 초기 광화문 하층 평면 구조 추정 139
도면 4.5. 현재 돈화문의 하층 평면 구조 154
도면 4.6. 돈화문 하층 평면 구조 추정 복원 154
도면 4.7. 창덕궁 동선 구조 155
도면 4.8. 고려 본궐 동선 구조(우성훈 안) 155
도면 4.9. 고려 본궐의 어도 구조 156
도면 4.10. 신봉문 영향을 받은 돈화문 공간 구조 156
도면 4.11. 신봉문과 구정 157
도면 4.12. 광화문과 육조거리 157
도면 4.13. 돈화문과 외부공간 157
도면 4.14. 귓보와 계단 설치 면적 158
도면 4.15. 귀잡이보와 계단 설치 면적 158
도면 4.16. 귀고주와 계단 설치 면적 158
도면 4.17. 귀잡이보와 굴절 계단 159
도면 4.18. 귀고주와 굴절 계단 159
도면 4.19. 근정문 추정 구조-1 160
도면 4.20. 근정문 추정 구조-2 160
도면 4.21. 근정문 추정 구조-3 160
도면 4.22. 중국 盤龍城유지(BC 1300) 건물 복원도 161
도면 4.23. 황룡사 중금당 복원도(김동현·이형재) 161
도면 4.24. 경복궁 진입 공간 구조 167
도면 4.25. 창덕궁 진입 공간 구조 167
도면 4.26. 창경궁 진입 공간 구조 167
도면 4.27. 경복궁 근정전 169
도면 4.28. 창덕궁 인정전 169
도면 4.29. 창경궁 명정전 169
도면 4.30. 돈화문과 홍화문의 공간 구조 차이 170
도면 4.31. 조선 초기 경복궁 복원안 177
도면 4.32. 조선 초기 경복궁과 육조거리의 영역성 187
도면 4.33. 조선 후기 경복궁과 육조거리의 영역성 187
도면 4.34. 조선 후기 광화문 하층 동선 구조 189
도면 4.35. 조선 후기 광화문 상층 동선 구조 189
도면 4.36. 조선 후기 광화문의 층별 입면 구조 189
도면 4.37. 광화문의 외부동선 구조 189
도면 4.38. 광화문루와 등성계단 동선(개선안1) 190
도면 4.39. 광화문루와 등성계단 동선(개선안2) 191
도면 4.40. 광화문 개구부와 종의 크기 비교 194
도면 4.41. 협문과 종의 크기 비교 194
도면 4.42. 광화문 내 종의 설치 가능 위치 195
도면 4.43. 광화문 내 종 설치로 인한 하중의 흐름 195
도면 4.44. 광화문 하층 공간 계획 196
도면 4.45. 광화문 상·하층 공간 구조 196
도면 4.46. 근정문 종단 구조 201
도면 4.47. 횡축중심이 일치하는 월랑과 근정문 201
도면 4.48. 근정문 하층 동선 구조 202
도면 4.49. 근정문 상층 동선 구조 202
도면 4.50. 돈화문, 홍화문, 근정문의 대문 높이 비교 203
도면 4.51. 근정문 어칸과 퇴칸 대문 높이 비교 204
도면 5.1. 흥인지문의 상·하층 시야각 212
도면 5.2. 화성의 지형 212
도면 5.3. 팔달문의 상·하층 시야각 212
도면 5.4. 팔달문의 통로 구조 213
도면 5.5. 적대를 이용한 문루의 보호 216
도면 5.6. 외부에서 흥인지문을 향해 형성되는 조준각 217
도면 5.7. 홍예와 대여의 규모 비교 추정 221
도면 5.8. 현재 종로에 남은 과거 도로 형태 221
도면 5.9. 육축 통로 폭의 변화 223
도면 5.10. 육축의 내·외 홍예와 대문의 규모 223
도면 5.11. 당 대명궁 236
도면 5.12. 명 자금성(1627년) 236
도면 5.13. 중층초루의 하층 공간 이용 방식 257
도면 5.14. 숭례문의 외부동선 구조 260
도면 5.15. 흥인지문의 외부동선 구조 260
도면 5.16. 외부로 등성 계단을 늘릴 경우 262
도면 5.17. 내부로 등성 계단을 늘릴 경우 262
도면 5.18. 숭례문 동측 등성계단 263
도면 5.19. 숭례문 동측 등성계단과 협문 264
도면 5.20. 숭례문 동측 등성계단과 이동시의 협문 264
도면 5.21. 숭례문 하층 전좌시 전방 시야 확보 265
도면 5.22. 숭례문 동협문 이동 가능 위치 269
도면 5.23. 숭례문 하층의 동협문과 내부동선 구조 270
도면 5.24. 여장으로 가려진 숭례문 하층 입면 272
도면 5.25. 팔달문의 외부동선 구조 276
도면 5.26. 팔달문 등성 계단과 협문의 중심축 277
도면 5.27. 팔달문의 등성계단과 협문 입면 중심축 277
도면 5.28. 팔달문 육축 상부에서의 문루와 여장 배치의 중심 278
도면 5.29. 팔달문 하층 내부동선 구조 280
도면 5.30. 팔달문 상층 내부동선 구조 280
도면 5.31. 팔달문 내부 동계 281
도면 5.32. 팔달문 내부 서계(어계) 282
도면 5.33. 팔달문의 동선분기 공간 284
도면 5.34. 팔달문 내부 어계 배치안 284
도면 5.35. 팔달문 하층의 국왕 동선 286
도면 5.36. 팔달문 상층의 국왕 동선 286
도면 5.37. 숭례문의 입면 높이 조사 288
도면 5.38. 팔달문의 입면 높이 조사 288
도면 5.39. 숭례문의 입면 높이 조사 288
도면 5.40. 흥인지문의 입면 높이 조사 288
도면 5.41. 팔달문의 전면 여장 형식 290
도면 5.42. 숭례문의 전면 여장 형식 290
도면 5.43. 숭례문, 돈화문, 홍화문, 팔달문의 상층 개구부 구조 291
도면 5.44. 팔달문 상층 정좌시 눈높이와 시야각 시뮬레이션 294
도면 5.45. 흥인지문 내부계단과 옹성통로 위치 297
도면 5.46. 팔달문 상층과 옹성 내부의 외부공간과의 시야각 범위 298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景福宮營建日記』. | 미소장 |
2 | 『景福宮誌』. | 미소장 |
3 | 『宮闕志』, 1830년, 규장각본(규 3950). | 미소장 |
4 | 『宮闕志』, 1908년, 규장각본(규 11521). | 미소장 |
5 | 『國朝五禮儀』, 법제처, 1981년. | 미소장 |
6 | 『國朝續五禮儀』, 법제처, 1981년. | 미소장 |
7 | 『三國史記』, 파주 : 한길사, 2011년. | 미소장 |
8 | 『高麗史』. | 미소장 |
9 | 『高麗史節要』. | 미소장 |
10 | 『佔畢齊集』. | 미소장 |
11 | 『春秋左傳』, 서울 : 자유문고, 2003년. | 미소장 |
12 | 『唐六典』. | 미소장 |
13 | 『同文彙考』. | 미소장 |
14 | 『東京夢華錄』, 서울 : 소명출판, 2011년. | 미소장 |
15 | 『明實錄』. | 미소장 |
16 | 『武備志』. | 미소장 |
17 | 『北學議』, 파주 : 서해문집, 2006년. | 미소장 |
18 | 『史記列傳』, 서울 : 까치글방, 2010년. | 미소장 |
19 | 『三峯集』. | 미소장 |
20 | 『宣和奉使高麗圖經』. | 미소장 |
21 | 『硏經齋全集』(外集). | 미소장 |
22 | 『世宗實錄』「五禮」. | 미소장 |
23 | 『世宗實錄地理志』. | 미소장 |
24 | 『承政院日記』. | 미소장 |
25 | 『旅菴遺稿』. | 미소장 |
26 | 『輿地圖書』. | 미소장 |
27 | 『三才圖會』. | 미소장 |
28 | 『玉海』. | 미소장 |
29 | 『新編經國大典』, 서울 : 신서원, 2005년. | 미소장 |
30 | 『營造法式』. | 미소장 |
31 | 『五洲衍文長箋散稿』. | 미소장 |
32 | 『燃藜室記述』. | 미소장 |
33 | 『靑莊館全書』. | 미소장 |
34 | 『新完譯禮記』, 서울 : 명문당, 2003년. | 미소장 |
35 | 『新增東國輿地勝覽』. | 미소장 |
36 | 『益齋集』. | 미소장 |
37 | 『日省錄』. | 미소장 |
38 | 『三國遺事』, 파주 : 한길사, 2012년. | 미소장 |
39 | 『朝鮮經國典』. | 미소장 |
40 | , 『茶山詩文集』. | 미소장 |
41 | 『朝鮮王朝實錄』. | 미소장 |
42 | 『中和殿營建儀軌』. | 미소장 |
43 | , 『周禮』, 서울 : 자유문고, 2002년. | 미소장 |
44 | 『華城城役儀軌』. | 미소장 |
45 | 『華城志』. | 미소장 |
46 | 『조선시대 중층목조건축의 통주형 중층체계』, 충북대학교 박사논문, 1997년. | 미소장 |
47 | 전통 중층목조건축에 관한 연구 | 소장 |
48 | 高麗 本闕 景靈殿 一郭의 性格과 建築遺構를 통한 復原 | 소장 |
49 | 전통 중층목조건축의 구성체계 연구 | 소장 |
50 | 조선시대 도성 성문의 수리 특성에 관한 연구 : 숭례문 수리사례를 중심으로 | 소장 |
51 | 조선시대 궁궐의 의례운영과 건축형식 | 소장 |
52 | 숭례문과 흥인지문의 구조체계 비교 연구 | 소장 |
53 | 『宮闕運營을 通하여 본 朝鮮前期景福宮의 配置特性에 關한 硏究』, 성균관대학교 석사논문, 1999년. | 미소장 |
54 | 『조선시대 중층목조건축물의 구조적 특징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석사논문, 2011년. | 미소장 |
55 | 朝鮮時代 城門의 建築形式에 關한 硏究 | 소장 |
56 | (A)study on the joint part of the lower story and the upper story in the multi-story buildings in the Joseon dynasty | 소장 |
57 | 『조선시대 궁궐문의 운영체계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논문, 2014년. | 미소장 |
58 | 『朝鮮時代都城崇禮門과 興仁之門의 建築計劃에 關한 硏究』, 홍익대학교석사논문, 2002년. | 미소장 |
59 | (A)study on the background and function of multi-floored gates in Joseon dynasty | 소장 |
60 | 성곽문루의 건축적 특징에 관한 연구 : 읍성문루를 중심으로 | 소장 |
61 | 『조선시대 예제건축의 공간구성에 따른 문(門) 형식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논문, 2015년. | 미소장 |
62 | 조선시대 중층목조건축의 전각부 가구법에 관한 연구 ![]() |
미소장 |
63 | 韓國城郭의 城門建築樣式에 關한 硏究 ![]() |
미소장 |
64 | 고려시대 구정에 관한 연구 | 소장 |
65 | 『朝鮮前期景福宮의 建築型式에 關한 硏究』, 한양대학교 석사논문, 2004년. | 미소장 |
66 | 『조선시대 중층건물의 상층마루 조영기법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논문, 2015년. | 미소장 |
67 | 多包系 重層建物의 간살構成技法에 관한 硏究 | 소장 |
68 | 重層建物 層構造의 類型變遷에 관한 硏究 | 소장 |
69 | [자료] 경복궁 건물배치의 '三門三朝'설에 대한 의문 | 소장 |
70 | 11,12세기 고려(高麗) 정궁(正宮)의 건물구성과 배치 ![]() |
미소장 |
71 | The architecture of the Kyongbok Palace in the early years of the Chosun Dynasty | 소장 |
72 | 유형과 비례로 본 전통건축 중 중층 목조건축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 소장 |
73 | 고려시대 개경 궁성 안 건물의 배치와 의미 | 소장 |
74 | 고려전기 도읍과 동아시아 도읍의 비교연구 : 중국 당송 도읍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소장 |
75 | 「16~17세기 조선의 무기발달과 전략전술의 변화-南漢山城을 중심으로」,『남한산성 연구총소』Vol.4 No.7, 남한산성문화관광사업단, 2013년. | 미소장 |
76 | 조선후기 城制 변화와 華城의 城郭史的 의미 | 소장 |
77 | Study on an Alternative Idea of ‘Opinion of Roof Style & Structure Changes of Sung-Rye-Mun’ Following the first Construction in Cho-Sun Dynasty | 소장 |
78 | A Study on the Cause and the Effect of the Widths of Sung-Rye-Mun Gate Arches | 소장 |
79 |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Evolution of Multi-storied Buildings in Hanyang, the Capital of Josun Dynasty | 소장 |
80 | study on typical characters of Moonru with Multi roofs ![]() |
미소장 |
81 | 高句麗 壁畵에 나타난 高句麗의 城과 築城術 | 소장 |
82 | 高句麗時代 城郭 門樓에 關한 硏究 | 소장 |
83 | 「重層門樓및 將臺의 木造階段에 관한 硏究」, 『전통문화논총』Vol.9,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2011년. | 미소장 |
84 | study on the change of royal cart in early Joseon dynasty | 소장 |
85 | (A)Study on the Multi-Floored Structural Differences Between Sungnyemun and Paldalmun Caused by the Royal Ritual | 소장 |
86 | A Study on the Restoration of the Layout of the Main Palace of Goryeo Dynasty | 소장 |
87 | 高麗 宮闕建築의 硏究史와 그 意義,1 | 소장 |
88 | 崇禮門 연구,1 :修理史와 復元의 意義 | 소장 |
89 | Timber Structure of Corner Part an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Multi-Storied Buildings of the Chosun Dynasty | 소장 |
90 | 水原 華城築造計劃의 分析 槪略 | 소장 |
91 | 경국대전(經國大典)의 성립배경과 체제 | 소장 |
92 | 조선시대의 시간과 일상생활 : 시간의 앎과 알림 | 소장 |
93 | 「만월대유적에 대하여(1)」, 『조선고고연구』제70호, 사회과학원 고고학연구소, 1989년. | 미소장 |
94 | 조선왕실의 가마[輦輿] 연구 | 소장 |
95 | A Research on the Use and Architectural Changes of Sungnyemun in King Yeongjo's Reign | 소장 |
96 | On the Proportion of Sungnyemun Arch Related with the Changes of Ground Level | 소장 |
97 | 「조선 중·후기의 신장 추세, 1547-1882」, 『경제사학』제53호, 경제사학회, 2013년. | 미소장 |
98 | King's Movement during the Political Ceremony and the Architectural Norm of JeongJeon, the Palatial Main Pavilion of Joseon Dynasty ![]() |
미소장 |
99 | Analytical Study on the Susceptible Part of Structure types of Multi-roofed Historic Wooden Building - Focused on the part of deflection and reinforcement | 소장 |
100 | Ritual and Religious Interpretations on the Gate(Mun) | 소장 |
101 | 경국대전이 조선의 헌법인가? | 소장 |
102 | Constructional Tradition and Meaning of the Corner High Column Method | 소장 |
103 | Construction of A Palace and Management Aspect of Gaegyeong in Goryeo Dynasty | 소장 |
104 | 「18세기말 華城八達門문루의 건축 형식 분석」, 『팔달문 해체보수 준공기념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수원화성박물관, 2013년. | 미소장 |
105 | 「팔달문의 장인과 건축기술」, 『팔달문 해체보수 준공기념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수원화성박물관, 2013년. | 미소장 |
106 | 「팔달문과 숭례문의 건축구조 특성 비교」, 『팔달문 해체보수 준공기념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수원화성박물관, 2013년. | 미소장 |
107 | 고당건축사사무소, 『水原八達門解體·補修工事修理報告書』, 경기: 수원시·화성사업소, 2013년. | 미소장 |
108 | 봉정사극락전 수리·실측보고서 ![]() |
미소장 |
109 | 국립문화재연구소, 『경복궁 : 발굴조사 보고서. 1, 光化門址·月臺址, 御道址』, 대전:국립문화재연구소, 2011년. | 미소장 |
110 | 국립문화재연구소, 『北闕圖形』, 대전 : 국립문화재연구소, 2006년. | 미소장 |
111 | 국립문화재연구소, 『北韓文化財解說集3(일반건축편)』, 대전 : 국립문화재연구소,2002년. | 미소장 |
112 | 금성종합건축사사무소, 『창경궁 홍화문 정밀실측조사보고서』, 문화재청, 2010년. | 미소장 |
113 | 대원고건축연구소, 『景福宮勤政門修理報告書』, 문화재청, 2001년. | 미소장 |
114 | 도시건축사사무소, 『숭례문 지반 복구공사 實測調査報告書』, 문화재청, 2015년. | 미소장 |
115 | 문화재관리국, 『昌慶宮重建報告書』,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89년. | 미소장 |
116 | 삼성건축사사무소, 『景福宮광화문 및 기타권역 복원·정비계획 보고서』, 문화재청,2002년. | 미소장 |
117 | 삼성건축사사무소, 『‘98年度京畿道指定文化財實測調査報告書』, 경기도, 1998년. | 미소장 |
118 | 삼성건축사사무소, 『崇禮門精密實測調査報告書』, 서울특별시중구, 2006년. | 미소장 |
119 | 서홍건축기술사사무소, 『浮石寺無量壽殿實測調査報告書』, 문화재청, 2002년. | 미소장 |
120 | 아름터건축사사무소, 『景福宮光化門圈域重建報告書』, 문화재청, 2011년. | 미소장 |
121 | 아름터건축사사무소, 『崇禮門復舊및 城郭復元工事修理報告書』, 문화재청, 2013년. | 미소장 |
122 | 예그린건축사사무소, 『興仁之門精密實測調査報告書』, 종로구청, 2006년. | 미소장 |
123 | 유성종합건축사사무소, 『修德寺大雄殿實測調査報告書』, 문화재청, 2005년. | 미소장 |
124 |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숭례문 목부재 연륜연대 분석 및 기증목재 기초조사 연구보고서』, 문화재청, 2011년. | 미소장 |
125 | 『유교 정치사상의 한국적 변용』, 서울 : 백산서당, 2009년. | 미소장 |
126 | 『조선시대 건축의 이해』, 서울 : 서울대학교출판부, 2013년. | 미소장 |
127 | 『한국건축의 역사』, 서울 : 기문당, 2008년. | 미소장 |
128 | 『실학정신으로 세운 조선의 신도시 수원화성』, 파주 : 돌베개, 2006년. | 미소장 |
129 | 『고종황제가 사랑한 정동과 덕수궁』, 서울 : 도서출판 발언, 2004년. | 미소장 |
130 | 『고려 개경의 편제와 궁궐』, 서울 : 경인문화사, 2011년. | 미소장 |
131 | 대한건축학회, 『한국건축통사』, 서울 : 기문당, 2014년. | 미소장 |
132 | 『1587, 만력15년 아무 일도 없었던 해』, 서울 : 새물결출판사, 2004년. | 미소장 |
133 | 『Vitruvius 建築十書』, 서울 : 기문당, 1997년. | 미소장 |
134 | 『조선의 무기와 갑옷』, 서울 : 가람기획, 2009년. | 미소장 |
135 | 『한권으로 읽는 조선왕조실록』, 서울 : 들녘, 1997년. | 미소장 |
136 | 『熱河日記』, 파주 : 돌베개, 2014년. | 미소장 |
137 | 『《營造法式》解讀』, 남경 : 南京大學出版社, 2005년. | 미소장 |
138 | 『서양건축사』, 서울 : 대우출판사, 1998년. | 미소장 |
139 | 『中國古代建築史第五卷』, 북경 : 中國建築工業出版社, 2002년. | 미소장 |
140 | 『한국의 성곽』, 서울 : 주류성, 2009년. | 미소장 |
141 | 『朝鮮時代都市社會硏究』, 서울 : 일지사, 1980년. | 미소장 |
142 | 『아틀라스 한국사』, 파주 : 사계절출판사, 2015년. | 미소장 |
143 | 『韓國の中世建築』, 동경 : 相模書房, 1984년 | 미소장 |
144 | 『建築計劃論』, 서울 : 기문당, 2000년. | 미소장 |
145 | 『중국 고전건축의 원리』, 서울 : 시공사·시공아트, 2006년. | 미소장 |
146 | 『梁思成全集第七卷』, 북경 : 中國建築工業出版社, 2001년. | 미소장 |
147 | 『韓國의 建築』, 서울 :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년. | 미소장 |
148 | 『조선의 禮治와 왕권』, 서울 : 민속원, 2012년. | 미소장 |
149 | 『궁궐·유교건축』, 서울 : 솔, 2005년. | 미소장 |
150 | 『한국중세도량형제연구』, 서울 : 혜안, 2001년. | 미소장 |
151 | 『조선의 예치와 왕권』, 서울 : 민속원, 2012년. | 미소장 |
152 | 『고구려 고분벽화 연구』, 서울 : 사계절출판사, 2000년. | 미소장 |
153 | 『한·중 두나라의 문과 상징』, 파주 : 시월, 2009년. | 미소장 |
154 | 조선총독부, 『朝鮮古蹟圖譜』, 동경 : 審美書院, 1930년. | 미소장 |
155 | 『한국의 문과 창호』, 서울 : 대원사, 2003년. | 미소장 |
156 | 『인간척도와 실내공간계획』, 서울 : 대건사, 1991년. | 미소장 |
157 | 『조선시대 유교문화』, 서울 : 사계절출판사, 1997년. | 미소장 |
158 | 『숭례문 세우기』, 파주 : 돌베개, 2014년. | 미소장 |
159 | 『중국 도성제도의 이론』, 서울 : 이화문화사, 1995년. | 미소장 |
160 | 한국역사연구회, 『고려의 황도 개경』, 파주 : 창비, 2009년. | 미소장 |
161 | 『정조의 화성행차, 그8일』, 파주 : 효형출판, 2006년. | 미소장 |
162 | 『우리 궁궐 이야기』, 파주 : 청년사, 2005년. | 미소장 |
163 | 『東闕圖』. | 미소장 |
164 | 『說文解字』. | 미소장 |
165 | 승정원일기 사이트, http://sjw.history.go.kr | 미소장 |
166 | 程光裕·徐聖謨主編, 『中國歷史地圖下冊』, 대북 : 中國文化大學出版部, 1984년. | 미소장 |
167 | 조선왕조실록 사이트, http://sillok.history.go.kr | 미소장 |
168 | 한국고전번역원 사이트, http://itkc.or.kr | 미소장 |
169 | 한국사데이터베이스 사이트, http://db.history.go.kr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