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제1장 서론 7
제2장 본론 11
제1절 동양문화에서 청색의 의미 11
I. 청색의 산수화표현사례 15
제2절 고요함의 미학적 개념 22
I. 고요함의 산수화 표현사례 22
제3장 연구작품분석 30
제1절 내용 30
I. 내적 고요함과 본인작품의 연관성 30
II. 한국의 청색과 본인작품의 관계 33
제2절 형식 36
I. 동양채색의 기법과 표현주의적 표현의 혼용 36
II. 동양채색화기법 '덧칠(重彩)'의 시각성 강화표현 41
제4장 결론 44
참고문헌 46
Abstract 47
[표-1] 동양의 전통적인 색채관 11
[그림-1] 전(傳) 이소도(李昭道), 〈명황행촉도 明皇幸蜀道〉, 당, 비단에 채색,... 13
[그림-2] 왕희맹(王希孟), 〈천리강산도 千里江山圖〉, 1113년, 비단에 채색,... 13
[그림-3] 작가미상, 〈수렵도 狩獵圖〉, 4세기말 ~ 5세기 초, 고구려 무용총(舞踊塚),... 15
[그림-4] 〈여인군상樹木圖〉, 일본의 아스카, 7세기말~8세기초,... 16
[그림-5] 서구방(徐九方), 〈수월관음도 水月觀音圖〉, 고려(高麗), 1323년, 비단에 색,... 17
[그림-6] 전(傳) 이사훈(李昭道), 〈강범누각도 江帆樓閣道〉, 당, 비단에 채색,... 19
[그림-7] 전(傳) 왕유(王維), 〈강간설제도 江干雪霽圖〉, 당(唐), 견본담채,... 25
[그림-8] 전(傳) 이징(李澄), 〈만학쟁류 萬壑爭流〉, 조선(朝鮮), 17세기 전반,... 27
[그림-8] 전(傳) 이징(李澄), 〈유정방방도 遊艇訪芳圖〉, 조선(朝鮮), 17세기 전반,... 28
[그림-10] 에드바르 뭉크(Edvard Munch), 〈절규 The Scream〉, 1910년, Tempera on... 31
[그림-11] 오승훈, 〈이어주다〉, 2015년, 장지에 채색, 130.3 x 162.2㎝ 32
[그림-12] 오승훈, 〈아우성〉, 2015년, 장지에 채색, 97 x 130.5㎝ 34
[그림-13] 오승훈, 〈흐르다〉, 2015년, 장지에 채색, 130.5 x 97㎝ 34
[그림-14] 안료의 발색원리 37
[그림-15] 중색효과의 원리 37
[그림-16] 오승훈, 〈빛나다〉, 2015년, 장지에 채색, 73 x 91㎝ 38
[그림-17] 빈센트 반 고흐(Vincent Van Gogh), 〈별이 빛나는 밤에 The Starry... 39
[그림-18] 〈열리다〉, [그림-19] 〈月光〉 부분 확대도 39
[그림-18] 오승훈, 〈열리다〉, 2015년, 장지에 채색, 162.2 x 260.6㎝ 40
[그림-19] 오승훈, 〈月光〉, 2015년, 장지에 채색, 130.5 x 81.5㎝ 40
[그림-20] 덧칠의 효과 41
[그림-21] 오승훈, 〈밀려오다〉, 2015년, 장지에 채색, 130.3 x 324.4㎝ 42
본인 작품의 주제의식은 靑色으로 연상되는 새벽의 분위기에서 전해지는 고요함에서 비롯되었다. 현대 사회는 빠르고 끊임없이 변화되어 간다. 현대인들은 이러한 산업화 시대에서 발생하는 부정적인 정서 즉 두려움과 불안을 안고 살아가며 이로 인하여 스트레스와 정신적 압박으로 새롭고 자극적이며 화려함을 쫒아간다.
본인 또한 이러한 삶에서 정신적 공허함과 내면의 갈증이 존재하였는데 자연과 풍경이라는 매개체로 내적 고요함을 경험하였다. 이런 내적 고요함의 경험을 시각적으로 전달할 수 있을까 고심하였고 ,바로 색을 통하여 형상 전달이 가능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그러므로 청색표현을 활용해 봄으로서 고요함에 대한 연구로 이어졌다.
표현 형식으로는 현대인이 살고 있는 도시와 잠시 도시를 떠나 평화로움을 느낄 수 있는 자연풍경에서 그 고요함의 근원을 찾아보고 싶었다. 그것은 도시와 자연풍경의 새벽의 모습이었다.
예로부터 청색은 다양한 상징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다. 본인은 청색을 고요함으로 인식하여 내면적 안정을 줄 수 있는 색으로 표현해 보고자 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본인 작품이 청색을 활용하여 고요함으로 표현되어지는 과정을 제시하고자 하며 청색이 내포한 여러 색채관 중에서 고요함의 효과표현에 연구중점을 두었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道家의 은일사상과 불가의 禪宗으로 두고 고요함의 미학적 개념에 대해 고찰하였다. 또한 동양회화 중 청색이 사용되어진 청록산수화에 대해 살펴봄으로서 동양문화의 청색의 의미와 청색의 표현으로 인한 시각적 효과를 제시하며 전통 산수화에서 보여주는 고요함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이후 근·현대회화 중 대표할 수 있는 표현주의와 본인의 작품표현에 관한 연관성을 다루었으며 기법적 측면에서는 전통 채색화의 "덧칠"을 본인만의 형식으로 재창조 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전통회화의 정신적 배경 중 "고요함"의 미학을 청색으로 대입시켜 도시와 자연의 새벽풍경으로 시각화 하고자 한 것 이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