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國文抄錄 12
Abstract 14
I. 序論 16
1. 연구 대상과 목적 16
2. 연구 방법 20
II. 崔致遠 書藝의 形成 背景 24
1. 崔致遠의 生涯와 時代的 背景 24
1) 家系 24
2) 留唐 시절 26
3) 歸國 이후의 활동 29
4) 時代的 배경 34
2. 思想的 背景 40
1) 儒敎思想 40
2) 佛敎思想 48
3) 道敎思想 54
4) 三敎融合의 風流思想 60
III.〈眞鑑禪師碑〉의 槪觀과 樣式 66
1. 碑의 槪觀 66
2. 碑의 樣式 76
1) 龜跌의 형태 77
2) 螭首의 형태 82
IV. 〈眞鑑禪師碑〉 書風의 淵源과 特徵 87
1. 〈眞鑑禪師碑〉 題額 書風의 연원과 특징 87
2. 〈眞鑑禪師碑〉 碑文 書風의 연원 100
1) 唐 書風과의 비교 101
2) 統一新羅 〈高仙寺誓幢和上碑〉와의 書風 비교 126
3. 〈眞鑑禪師碑〉碑文 書風의 특징 135
V. 〈眞鑑禪師碑〉와 統一新羅 禪師碑 書風의 類似性 155
1. 〈寶林寺普照禪師碑〉와의 비교 157
2. 〈聖主寺朗慧和尙碑〉와의 비교 161
3. 〈鳳巖寺智證大師碑〉와의 비교 167
VI. 崔致遠의 思想과 書風과의 연관성 173
1. 儒家思想을 표현한 體制 173
2. 禪思想이 드러나는 書風 181
3. 風流的 색채의 多樣性 186
VII. 結論 192
參考文獻 195
附錄 212
附錄 I. (제목없음) 212
附錄 II. (제목없음) 213
附錄 III. (제목없음) 214
附錄 IV. 〈진감선사비〉 동일자 분류 215
(그림 1) 〈眞鑑禪師碑〉와 拓本 70
(그림 2) 〈武烈王陵碑〉 龜跌·螭首 77
(그림 3) 〈성덕왕릉비〉 귀부 79
(그림 4) 〈서당화상비〉 귀부 79
(그림 5) 〈보조선사비〉 귀부 79
(그림 6) 〈진감선사비〉 귀부 81
(그림 7) 〈지증대사비〉 귀부 81
(그림 8) 〈무열왕릉비〉 이수 82
(그림 9) 〈보조선사비〉 이수 82
(그림 10) 〈홍각선사비〉 이수 83
(그림 11) 〈원랑선사비〉 이수 83
(그림 12) 〈진감선사비〉 이수 84
(그림 13) 〈지증대사비〉 이수 84
(그림 14) 〈眞鑑禪師碑〉 題額 탁본·螭首 90
(그림 15) 〈포항중성리비〉 501, 105X50X15㎝ 128
(그림 16) 〈포항냉수리비〉前面, 503, 60X70X30㎝ 128
(그림 17) 〈단양적성비〉 550년경, 93X109㎝ 129
(그림 18) 〈마운령순수비〉 130
(그림 19) 〈황초령순수비〉 130
(그림 20) 〈남산신성 1비〉 130
(그림 21) 〈진감선사비〉 133
(그림 22) 〈서당화상비〉 133
(그림 23) 최치원 〈진감선사비〉 158
(그림 24) 김언, 김언경 〈보조선사비〉 158
(그림 25) 최치원 〈진감선사비〉 163
(그림 26) 최인연 〈낭혜화상비〉 163
(그림 27) 최치원 〈진감선사비〉 168
(그림 28) 석혜강 〈지증대사비〉 168
(그림 29) 〈진감서사비〉의 '聖唐' 부분 174
(그림 30) 〈진감서사비〉의 '王聞' 부분 174
(그림 31) 〈진감서사비〉의 '王人' 부분 176
(그림 32) 〈진감서사비〉의 '王土' 부분 176
(그림 33) 〈진감서사비〉의 '君貯 '綸言' 부분 177
(그림 34) 〈진감서사비〉의 '洹當'·'龍遽' 부분 178
(그림 35) 〈진감서사비〉의 '獻康大王'·'文聖大王' 부분 178
(그림 36) 〈진감서사비〉의 '致遠' 부분 180
(그림 37) 〈문무왕릉비〉 183
(그림 38) 〈흥덕왕릉비편〉 183
(그림 39) 〈흥덕왕릉비편〉 '克ᅳ' 184
(그림 40) 〈흥덕왕릉비편〉 '盛化' 184
(그림 41) 〈흥덕왕릉비편〉 '式是皆' 184
(그림 42) 〈흥덕왕릉비편〉 '損傷目此' 184
(그림 43) 〈진감선사비〉 184
최치원(857-?)이 撰書하고 釋奐榮이 새긴 쌍계사 〈진감선사비〉는 서예사와 불교사의 귀중한 자료로서 서풍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진감선사비〉의 서풍에 대한 기왕의 주장을 검토하여 이 비의 서풍에 대한 연원과 특징을 밝히고자 했다. 이에 〈진감선사비〉의 서자인 최치원 서예의 형성배경, 비의 개관과 양식, 서풍의 연원과 특징, 통일신라 선사비와의 유사성, 최치원의 사상과 서풍과의 연관성에 대한 고찰을 시도하였다.
〈진감선사비〉 서풍의 연원과 특징을 제액과 비문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진감선사비〉의 제액은 蝌頭篆으로 縱橫의 장법에 구애 받지 않는 不定形의 체세를 취하는 특이한 구조로 인해 서로 한 몸처럼 有機的으로 어우러져 있으며 필획은 선율적으로 조화롭게 서사되어 있어, 漢 또는 魏晉南北朝·隋·唐의 제액과는 차별되는 최치원의 독창적인 서풍임을 확인했다.
〈진감선사비〉의 비문 서풍의 연원과 특징을 고찰했다. 서풍의 연원을 고찰함에 있어 기존의 연구에서 언급된 구양순, 안진경, 유공권과 선행연구에서 지금까지 언급되지 않았던 晩唐의 재상이자 서예가인 배휴가 撰書한 〈규봉선사비〉와 〈진감선사비〉의 글씨가 유사성이 있어 연원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배휴와 최치원의 글씨에서 行書의 筆意로 운필하듯 縱劃을 길게 강조하는 점 등의 유사점을 파악했다. 그러나 〈진감선사비〉의 특징인 同形反復을 절제한 多樣性에 대한 유사점을 찾을 수 없어 다양성의 연원을 통일신라의 〈서당화상비〉와 古新羅碑에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최치원은 唐의 글씨를 배우고 익혔지만 자신에게 내재되어 있는 신라인의 美意識을 融合하여 〈진감선사비〉를 서사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진감선사비〉는 해서와 행서가 병용되고, 字法의 변화를 통한 변화추구와 동형반복을 절제한 다양화로 인해 비문의 글씨는 靈活하면서도 활달하고 생동감이 넘친다. 〈진감선사비〉는 形은 唐의 글씨에 基盤을 두었으나 그 像은 신라의 글씨에 근거함을 알 수 있었고 필획에 행기를 더한 경쾌함과 속도감, 曲直의 절묘함, 필획의 高低, 長短, 太細, 强弱의 변화와 加減을 통한 변화와 變容으로 創新의 自家風을 형성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진감선사비〉와 통일신라 禪師碑와의 유사성을 고찰해 보았다. 김원과 김언경이 쓴 해행서의 〈보조선사비〉, 최인연이 쓴 〈낭혜화상비〉, 석혜강이 쓴 〈지증대사비〉, 이 선사비들은 〈진감선사비〉의 서풍과 맥락이 닿아 있으며 통일신라 말기에 성행한 선사비들의 이러한 서풍이 새로운 서예사조임을 확인하게 해준다.
마지막으로 최치원의 사상과 서풍과의 연관성을 고찰해 보았다. 비문의 書寫 體制에서 儒家思想을 확인할 수 있었고, 행서와 행기를 더한 활달한 필세는 다름의 구조를 融會貫通하여 통일성 가운데 다양함을 추구하여 禪과 風流的 색채를 드러냈다. 이를 통해 최치원의 〈진감선사비〉는 내용뿐만 아니라 그의 글씨에서도 유·불·도 三敎融合을 合一한 사상이 드러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舊唐書』 | 미소장 |
2 | 『桂苑筆耕集』 | 미소장 |
3 | 『孤雲先生文集 | 미소장 |
4 | 『大東金石名攷』 | 미소장 |
5 | 『大東金石書』 | 미소장 |
6 | 『東國金石評』 | 미소장 |
7 | 『大東韻玉』 | 미소장 |
8 | 『大東韻府群玉』 | 미소장 |
9 | 『大學』 | 미소장 |
10 | 『道德經』 | 미소장 |
11 | 『東文選』 | 미소장 |
12 | 『東史纂要』 | 미소장 |
13 | 『三國史記』 | 미소장 |
14 | 『三國遺事』 | 미소장 |
15 | 『續金石遺文』 | 미소장 |
16 | 『新唐書』 | 미소장 |
17 | 『新增東國輿地勝覽』 | 미소장 |
18 | 『淸虛堂集』 | 미소장 |
19 | 『貞觀政要』 | 미소장 |
20 | 『中庸』 | 미소장 |
21 | 『崔文昌候文集』 | 미소장 |
22 | 「論書剩語」 | 미소장 |
23 | 「題衛夫人筆陣圖後」 | 미소장 |
24 | 「藝槪-書槪」 | 미소장 |
25 | 「書譜」 | 미소장 |
26 | 광예주쌍집 상, 다운샘, 2014. | 미소장 |
27 | 서론용어소사전, 다운샘, 2007. | 미소장 |
28 | 중국사 탐구와 사산비명 찬술, 韓國史學, 2005. | 미소장 |
29 | 고운국제교류사업회편찬, 최치원 연구총서 2, 고운 최치원의 철학 · 종교사상, 도서출판 문사철, 2009. | 미소장 |
30 | 국립경주박물관편저, 문자로 본 신라, 2002. | 미소장 |
31 | 국사편찬위원회, 한국 서예문화의 역사, 경인문화사, 2011. | 미소장 |
32 | 韓國美學試論,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1994. | 미소장 |
33 | 서예학 개론, 계명대학교 출판부, 2007. | 미소장 |
34 | 新稿 韓國書藝史, 正音社, 1975. | 미소장 |
35 | 「孤雲의 道敎觀」, 孤雲 崔致遠, 민음사, 1989. | 미소장 |
36 | 海東高僧傳 外, 동국대학교출판국, 1994. | 미소장 |
37 | 신라하대 선종사상사 연구, 일조각, 2007. | 미소장 |
38 | 美學의 理解, 문예출판사, 1989. | 미소장 |
39 | 佛脈-한국의 선사들, 우리출판사, 2004. | 미소장 |
40 | 韓國古代史 佛敎 硏究, 민족사, 2002. | 미소장 |
41 | 書藝文化史 1, 원광대학교출판국, 1998. | 미소장 |
42 | 한국민족대백과사전 1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 미소장 |
43 | 韓國書藝史1, 正音社, 1975. | 미소장 |
44 | 한국미의 이해,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8. | 미소장 |
45 | 新羅佛敎思想史硏究, 民族社, 1994. | 미소장 |
46 | 「孤雲의 文學思想」, 孤雲 崔致遠, 민음사, 1989. | 미소장 |
47 | 「上古의 書藝」, 韓國美術總攬, 書藝院, 1964. | 미소장 |
48 | 東方書藝講座, 이화문화출판사, 1995. | 미소장 |
49 | 書與其人, 동방연서회, 1995. | 미소장 |
50 | 孤雲 崔致遠, 민음사. 1989. | 미소장 |
51 | 국왕의 불교관과 치국책, 한국학술정보, 2013. | 미소장 |
52 | 「崔致遠의 文學思想」, 韓國文學思想史, 계명문화사, 1991. | 미소장 |
53 | 崔孤雲의 詩世界, 현대문학, 통권430호, 현대문학사, 1990. | 미소장 |
54 | 四山碑銘 集註를 위한 硏究,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 미소장 |
55 | 한국 고대 불교고고학의 연구, 서경문화사, 2007. | 미소장 |
56 | 佛敎大辭典, 홍법원, 1998. | 미소장 |
57 | 한국유학사, 유교문화연구원, 2009. | 미소장 |
58 | 유가철학과 동방사상, 유교문화연구원, 2010. | 미소장 |
59 | 한국조각사, 열화당, 1997. | 미소장 |
60 | 민족사학술총서 54, 한국 고대불교사 연구, 민족사. 2002. | 미소장 |
61 | 통일신라 석조미술 연구, 학연문화사, 2002. | 미소장 |
62 | 韓國의 美術論, 일지사, 1987. | 미소장 |
63 | 哲學槪論, 博英社, 1964. | 미소장 |
64 | 中國書法藝術史(上· 下), 梨花文化出版社, 2000. | 미소장 |
65 | 書藝의 歷史, 열화당, 1978. | 미소장 |
66 | 성균관대학교박물관, 신라 금석문 탁본전, 2008. | 미소장 |
67 | 한국 금석문의 두전, 서화미디어, 2011. | 미소장 |
68 | 동양인의 철학적 사고와 그 삶의 세계, 명문당, 1993. | 미소장 |
69 | 書藝通論, 원광대학교출판국, 1996. | 미소장 |
70 | 풍류, 보고사, 1999. | 미소장 |
71 | 新羅史,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85. | 미소장 |
72 | 신라사,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7. | 미소장 |
73 | 新羅初期佛敎史硏究, 民族社, 1992. | 미소장 |
74 | 韓國佛敎思想史硏究, 아세아문화사, 1997. | 미소장 |
75 | 「崔孤雲의 思想과 文學」, 韓國文學論, 日月書閣, 1981. | 미소장 |
76 | 孤雲 崔致遠 硏究, 한불문화출판, 1995. | 미소장 |
77 | 국역 근역서화징 상, 1998. | 미소장 |
78 | 韓國思想과 現代, 동방학술연구원, 1988. | 미소장 |
79 | 예술의 전당, 옛 탁본의 아름다움 그리고 우리의 역사 논문집, 1998. | 미소장 |
80 | 예술의 전당, 崔致遠 風流誕生, 2014. | 미소장 |
81 | 동양사상과 한국사상, 을유문화사, 1984. | 미소장 |
82 | 韓國의 思想, 열음사, 1985. | 미소장 |
83 | 新羅石碑, 美術文化院, 1989. | 미소장 |
84 | 최고운의 문학과 삶, 국학자료원, 1995. | 미소장 |
85 | 한국서예사Ⅰ, 이화문화출판사, 2004. | 미소장 |
86 | 한국의 명비를 찾아서, 書藝文人畵, 2007. | 미소장 |
87 | 新羅時代의 國家佛敎와 儒敎, 한국연구원, 1978. | 미소장 |
88 | 新羅思想史, 일조각, 1986. | 미소장 |
89 | 한국사신론, 일조각, 2008. | 미소장 |
90 | 고운집, 한국고전번역원, 2009. | 미소장 |
91 | 新羅四山碑銘, 아세아문화사, 1995. | 미소장 |
92 | 서예 감상법, 대원사, 1999. | 미소장 |
93 | 校勘譯註 歷代高僧碑文-新羅篇 伽山文庫, 1993. | 미소장 |
94 | 歷代高僧碑文-新羅篇, 한국불교금석문교감역주 권1, 가산문고, 1994. | 미소장 |
95 | 「孤雲의 生涯와 정치 활동」, 신라 최고의 사상가 최치원 탐구, 주류성, 2001. | 미소장 |
96 | 崔致遠 硏究, 백산자료원, 1999. | 미소장 |
97 | 이천시립월전미술관, 옛 글씨의 아름다움, 2010. | 미소장 |
98 | 「孤雲의 儒敎觀」,『孤雲 崔致遠, 민음사, 1989. | 미소장 |
99 | 韓國紋樣史, 미진사, 1998. | 미소장 |
100 | 동양과 서양, 그리고 미학, 푸른숲, 1999. | 미소장 |
101 | 서예 미학과 기법, 교우사, 2009. | 미소장 |
102 | 崔致遠의 社會思想 硏究, 신서원, 2008. | 미소장 |
103 | 한국의 불교미술, 민족사, 1997. | 미소장 |
104 | 한국 불교미술 연구, 시공사, 2004. | 미소장 |
105 | 新羅 石塔硏究 | 소장 |
106 | 「新羅書畵의 對外交涉」, 新羅美術의 對外交涉, 예경, 2001. | 미소장 |
107 | 禪의 歷史와 禪思想, 三圓社, 1994. | 미소장 |
108 | 新羅禪宗의 硏究, 民族社, 1995. | 미소장 |
109 | 금석문과 신라사, 지식산업사, 2002. | 미소장 |
110 | 韓國 金石文 大系, 원광대학교 출판국, 1983. | 미소장 |
111 | 雙溪寺眞鑑禪師大空塔碑: 韓國金石文法書選集 2, 이화문화출판사, 2003. | 미소장 |
112 | 聖住朗慧和尙白月葆光塔碑: 韓國金石文法書選集 3, 이화문화출판사, 2003. | 미소장 |
113 | 鳳巖寺靜眞大師圓悟塔碑: 韓國金石文法書選集 4, 이화문화출판사, 2003. | 미소장 |
114 | 鳳巖寺智證大師寂照塔碑: 韓國金石文法書選集 5, 이화문화출판사, 2003. | 미소장 |
115 | 구산선문의 원류를 찾아서-1, 동국대학교출판부, 2014. | 미소장 |
116 | 韓國道敎思想硏究, 서울대학교출판부, 1978. | 미소장 |
117 | 孤雲의 思想과 文學, 坡田學堂, 1997. | 미소장 |
118 | 朝鮮常識問答續篇, 삼성문화재단, 1947. | 미소장 |
119 | 풍류정신으로 보는 중국문학사, 예문서원, 1998. | 미소장 |
120 | 韓國文學과 道敎思想, 세문사, 1990. | 미소장 |
121 | 崔致遠의 思想硏究, 아세아문화사, 1990. | 미소장 |
122 | 譯註 崔致遠全集 1, 아세아문화사, 1998. | 미소장 |
123 | 譯註 崔致遠全集 2, 아세아문화사, 1999. | 미소장 |
124 | 崔致遠의 哲學思想, 아세아문화사, 2001. | 미소장 |
125 | 韓國古代社會硏究所 編, 譯註 韓國古代金石文 Ⅱ,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1992. | 미소장 |
126 | 한국미술사학회 편, 新羅 美術의 對外交涉, 예경, 2000. | 미소장 |
127 | 한국미술사학회 편, 統一新羅 美術의 對外交涉, 예경, 2001. | 미소장 |
128 | 한국역사연구회 고대사 분과, 고대로부터의 통신, 푸른역사, 2004. | 미소장 |
129 | 한국역사연구회 편, 나말여초의 금석문 상 · 하, 혜안, 1996. | 미소장 |
130 | 한국철학사연구회, 한국철학사상사, 한울아카데미, 1997. | 미소장 |
131 | 韓國禪思想硏究 | 소장 |
132 | 고운 최치원, 민음사. 1989. | 미소장 |
133 | 삼국과 통일신라의 불교사상, 서울대학교출판부, 2005. | 미소장 |
134 | 신라의 미, 을유문화사, 1971. | 미소장 |
135 | 韓國佛敎史의 硏究, 敎文社, 1988. | 미소장 |
136 | 中國書法思想史, 鄭州: 河南美術出版社, 1997. | 미소장 |
137 | 書藝術全集 2, 秦· 漢Ⅰ, 웅산각출판사, 1992. | 미소장 |
138 | 中國書法藝術-第四卷 隋唐五代, 北京: 文物出版社, 2000. | 미소장 |
139 | 中國書法藝術-第二卷 秦· 漢, 北京: 文物出版社, 2000. | 미소장 |
140 | 中國書法藝術-第三卷 魏晉南北朝, 文物出版社, 1996. | 미소장 |
141 | 中國美學史, 上海: 上海人民出版社, 2000. | 미소장 |
142 | 書法之美的本原与創新, 北京: 人民美術出版社, | 미소장 |
143 | 顔眞卿書法集 上, 北京: 北京工藝美術出版社, 2005. | 미소장 |
144 | 歷代書法論文選, 上海書畵出版社, 2007. | 미소장 |
145 | 書法學槪要, 北京: 華夏出版社, 2004. | 미소장 |
146 | 崔致遠 佛敎詩의 文學的 意味 | 소장 |
147 | 「韓國 龜趺의 時代的 變遷에 따른 造形美 硏究」,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0. | 미소장 |
148 | 「歐陽詢 楷書 硏究-結構를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 미소장 |
149 | 최치원의 삶과 <진감선사비>의 서예연구 | 소장 |
150 | 「崔致遠의 四山碑銘 撰述에 대한 試論」, 역사와 실학 19, 역사실학회, 2001. | 미소장 |
151 | 「韓國佛敎禪門의 形成史硏究-九山禪門形成을 中心으로-」, 新羅下代의 禪傳來 불교학논집 2, 불교사학회, 1986. | 미소장 |
152 | 「진감선사와 신라의 범패」, 진감선사의 역사적 재조명, 조계종 총무원, 2000. | 미소장 |
153 | 「崔致遠의 神仙思想」, 孤雲 崔致遠의 韓國思想 24, 성균관 유교사상연구원, 1996. | 미소장 |
154 | 歸國期 崔致遠 漢詩의 自負와 壯心에 대하여 : 『桂苑筆耕』 卷20에 수록된 漢詩 30수에 대한 독해 | 소장 |
155 | 朗慧와 그의 禪思想 | 소장 |
156 | 최치원(崔致遠)의 사산비명(四山碑銘) 연구(硏究) -실태조사(實態調査)와 내용(內容) 및 문체분석(文體分析)을 중심(中心)으로- ![]() |
미소장 |
157 | 비문에 새겨진 최언위의 삶, 사유, 문학 | 소장 |
158 | 新羅 下代 華嚴宗硏究: 崔致遠의 佛敎關係著述과 關聯하여 | 소장 |
159 | 崔致遠과 崔承老 | 소장 |
160 | 「崔致遠의 經世觀」, 孤雲 崔致遠과 韓國思想, 성균관 유교사상연구원, 1996. | 미소장 |
161 | 眞鑑禪師(774-850)의 생애와 불교사상에 관한 연구 | 소장 |
162 | On the Hwa-om Thought and Zen Thought in the Last Period of the Silla | 소장 |
163 | 「孤雲 崔致遠의 書體 硏究」,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 미소장 |
164 | 新羅 無垢淨光大다羅尼經 書體의 藝術哲學的 照明 ![]() |
미소장 |
165 | 「5-6세기 서예사를 통해본 한국서예의 정체성」, 서예학연구, 2004. | 미소장 |
166 | 「최치원과 최언위 서체의 공통점과 차이점」, 신라사학보 5, 신라사학회, 2005a. | 미소장 |
167 | 崔彦위 「聖住寺址郎慧和尙碑」의 書體美 | 소장 |
168 | 新羅通過唐朝的軍事支援成功征服高句麗和百濟. 于此同時, 統一新羅積极接受唐朝文化, 在書法方面則受到王羲之, 歐陽詢, 虞世南, 禇遂良, 顔眞卿, 柳公權等人的影響 | 소장 |
169 | 「崔致遠 <雙磎寺 眞鑑禪師碑> 전액연구」, 중국 중앙미술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 미소장 |
170 | 「孤雲 崔先生의 四山碑銘에 대하여」, 孤雲의 思想과 文學 부산 : 坡田韓國學堂, 1997. | 미소장 |
171 | 「孤雲의 生涯」, 孤雲 崔致遠, 1989. | 미소장 |
172 | 최고운(崔孤雲) 문학의 시대적 배경 ![]() |
미소장 |
173 | 최고운문학의 비교문학적 연구 | 소장 |
174 | 「崔孤雲의 文學思想」, 韓國文學思想史, 계명문화사, 1991. | 미소장 |
175 | 「新羅崔致遠撰 四山碑考」, 제4회 국제불교학술회의 논문집, 대한전통 불교연구원, 1981. | 미소장 |
176 | 崔致遠의 三敎思想 | 소장 |
177 | 「四山碑銘集註를 위한 硏究」,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3. | 미소장 |
178 | 고운 최치원의 진감선사비 서체연구 | 소장 |
179 | 「上古의 書藝」, 韓國美術總攬書藝院, 1964. | 미소장 |
180 | 「신라 경문왕대의 修造役事의 정치사적 고찰」, 민병하정년기념논총, 1988. | 미소장 |
181 | 나말려초 국왕과 불교의 관계 | 소장 |
182 | 孤雲 崔致遠의 晩唐詩壇에서의 位相 : 唐나라 詩人과의 在唐期 交遊樣相을 中心으로 | 소장 |
183 | 「崔致遠의 道禪思想」, 제4회 국제불교학술회의 논문집, 대한전통불교연구원, 1981. | 미소장 |
184 | 崔致遠의 儒敎思想 | 소장 |
185 | 「통일신라 석비양식과 비액의 서풍변화에 관한 연구」, 대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 미소장 |
186 | The Study on a Form of a Stone Monument of Unified Shilla ![]() |
미소장 |
187 | 「高句麗 牟頭婁塚의 墨書 墓誌 硏究」, 書藝學硏究 10, 한국서예학회, 2007. | 미소장 |
188 | 「진감선사 범패의 음악적 특징에 관한 연구」, 진감선사의 역사적 재조명, 조계종 총무원, 2000. | 미소장 |
189 | 「韓國佛敎 經典信仰 硏究」,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 미소장 |
190 | 고려후기 게송을 통해 본 禪과 일상 | 소장 |
191 | 「統一新羅時代의 美術 - 書藝」, 韓國美術史, 書藝院, 1984. | 미소장 |
192 | A Comparative Study on Calligraphy between the Unified Silla and the Tang Dynasty | 소장 |
193 | 「한비전액연구」, 서학논집 5, 대구서학회, 1999. | 미소장 |
194 | 「眞鑑禪師碑 篆額攷」, 제9회 전국서학연구발표회, 2002. | 미소장 |
195 | 孤雲 崔致遠의 書藝硏究 : 雙溪寺 眞鑑禪師大空塔碑를 중심으로 | 소장 |
196 | 「孤雲 崔致遠의 書體硏究」, 신라 최고의 사상가 최치원 탐구, 한국사학회 ·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01. | 미소장 |
197 | 신라시대의 서체에 관한 연구 | 소장 |
198 | 「新羅 書藝의 特徵」, 文字로 본 新羅, 국립경주박물관, 2002. | 미소장 |
199 | 石碑의 標題樣式과 書體 考察,1 :통일신라시대와 고려시대를 중심으로 | 소장 |
200 | Transmission Process and Traditional Pattern of < Baekwolseowuntabbi> ![]() |
미소장 |
201 | 「<槿域書彙> 특별전을 계기로 돌아본 20세기 한국의 서예」, 월간까마, 2002. | 미소장 |
202 | 韓國 道敎思想에 관한 硏究 | 소장 |
203 | 고운 최치원의 사상 연구 | 소장 |
204 | 新羅時代에 있어서 儒·佛·道 三敎의 交涉에 關한 硏究 | 소장 |
205 | 「崔致遠의 東人意識에 관한 고찰」, 한국사상과현대동방학술연구원, 1989. | 미소장 |
206 | 「四山碑銘」 硏究 | 소장 |
207 | 「崔孤雲의 삶과 文學 硏究」,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 미소장 |
208 | 崔致遠의 '眞鑑禪師碑名'攷 | 소장 |
209 | 崔致遠의 '大崇福寺碑銘'攷 | 소장 |
210 | 「鳳巖寺智證大師寂照塔碑의 槪觀」, 鳳巖寺智證大師寂照塔碑, 원광대학교출판국, 2003. | 미소장 |
211 | The Study of Kim Saeng's Calligraphy | 소장 |
212 | 崔致遠의 眞鑑禪師碑 연구 : 碑文 書體를 중심으로 | 소장 |
213 | A Study on the Calligraphic Style Beauty of King Muryeong's Memorial Stone in Baekje | 소장 |
214 | 「孤雲 崔致遠의 生涯 硏究」, 전주사학 3, 전주대학교, 1995. | 미소장 |
215 | 신라 <영일냉수리비> 서풍 연구 | 소장 |
216 | A Study of the Calligraphic Style of the Yeongilnangsurisillabi | 소장 |
217 | 최치원의 <雙磎寺眞鑑禪師大空塔碑> 서풍 연구 | 소장 |
218 | 「통일신라시대의 唐代 書風의 수용」, 統一新羅美術의 對外交涉, 예경, 2001. | 미소장 |
219 | 「한국의 명서가 - 고운 최치원」, 월간까마, 石曲室, 2001. | 미소장 |
220 | 「孤雲 崔致遠의 生涯」, 孤雲의 思想과 文學, 坡田韓國學堂, 1997. | 미소장 |
221 | A Study on the Calligraphic Script of the Uljinbongpyeongribi of the Silla | 소장 |
222 | 高麗書藝의 對外交涉 | 소장 |
223 | 孤雲 崔致遠의 思想과 歷史認識 硏究 | 소장 |
224 | 「孤雲의 생애와 정치 활동」, 신라 최고의 사상과 최치원 탐구, 주류성, 2001. | 미소장 |
225 | 「新羅의 梵唄」, 韓國音樂硏究, 한국국악연구회, 1957. | 미소장 |
226 | 「孤雲의 儒敎觀」, 孤雲 崔致遠, 민음사, 1989. | 미소장 |
227 | 韓國의 金石과 書藝 | 소장 |
228 | (A)study on bronze inscription calligraphy of Shang and Zhou dynasties | 소장 |
229 | 高句丽书法美学硏究 | 소장 |
230 | 孤雲 崔致遠과 四山碑銘에 대하여 | 소장 |
231 | A Study of the Calligraphic Style of the Geokseongbi of the Silla Dynasty | 소장 |
232 | 「孤雲 崔致遠의 文學思想 新論」, 龍淵語文論集 5, 경성대학교, 1991. | 미소장 |
233 | A Comparative Study of the Calligraphy of Silla and Northern Wei, Sui, and Tang Dynasties | 소장 |
234 | 「통일신라시대 <무구정광대다라니경> 서풍의 연원」, 한류와 한사상, 2009. | 미소장 |
235 | 「삼국시대의 서풍」, 옛글씨의 아름다움, 이천시립월전미술관, 2010. | 미소장 |
236 | Variety of Calligraphy and Characteristics of Calligraphic Style in the United Silla Period | 소장 |
237 | 창녕지역 신라금석문의 서풍 | 소장 |
238 | 신라 서예의 다양성과 일관성 고찰 | 소장 |
239 | 신라하대 寶林寺 금석문의 서체와 그 서풍 | 소장 |
240 | 「신라 금석문에 대한 이해」, 신라 금석문 탁본전, 성균관대학교 박물관, 2008. | 미소장 |
241 | (A)study on Whaeomseokgyeong of the Silla dynasty | 소장 |
242 | 「朗慧無染과 聖主山門」, 서강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7. | 미소장 |
243 | 新羅 下代 儒學者의 禪宗 佛敎 認識 : 崔致遠의 四山碑銘과 관련하여 | 소장 |
244 | 新羅 下代 體澄 禪師와 迦智山門의 개창 | 소장 |
245 | 「孤雲 崔致遠의 書體特徵과 東人意識」, 書藝硏究 창간호, 원광서예학회, 2005. | 미소장 |
246 | Characteristics of Go-un Choe Chi-won's Seoye(書藝 ; Korean Colligraphy) and DongIn-uisik(東人意識; Choe Chi-won's personal view on the nation) | 소장 |
247 | 「孤雲 崔致遠의 四山碑銘에 관한 연구」,『묵주 4, 원광대학교, 1995. | 미소장 |
248 | 崔致遠 撰述 碑銘의 註釋에 대한 一考 | 소장 |
249 | 나말여초(羅末麗初)의 비액서풍(碑額書風) | 소장 |
250 | 新羅下代 禪宗九山派의 成立 : 崔致遠의 四山碑銘을 中心으로 | 소장 |
251 | 統一新羅時代龜趺 및 이首의 樣式연구 | 소장 |
252 | 「韓國書藝史綱」, 澗松文華, 澗松美術館, 1987. | 미소장 |
253 | 「興德王陵碑片」, 譯註 古代金石文 3, 한국고대사연구, 1992. | 미소장 |
254 | 「崔致遠의 道敎思想 硏究」, 道敎의 韓國적 受用과 轉移, 1994. | 미소장 |
255 | 「崔致遠의 歷史認識 硏究」, 韓國思想史學 11, 한국사상사학회, 1998. | 미소장 |
256 | 최치원의 철학사상 연구 : 삼교관과 인간주체를 중심으로 | 소장 |
257 | 崔致遠 哲學思想 硏究 序說 : '人間主體' 문제를 중심으로 | 소장 |
258 | 「韓國書藝史綱」, 澗松文華, 澗松美術館, 1987. | 미소장 |
259 | 「우리나라 고대 · 중세 서예의 흐름과 특질」, 옛 탁본의 아름다움 그리고 우리역사, 예술의 전당, 1998. | 미소장 |
260 | 최치원의 철학사상 연구 : 삼교관과 인간주체를 중심으로 | 소장 |
261 | 「崔孤雲의 文學的 地位」, 춘추 2, 1941. | 미소장 |
262 | 「孤雲 최치원의 유학사적 위치」, 韓國儒學思想論文選集68, 불함문화사, 1997. | 미소장 |
263 | 新羅 下代 眞鑑禪師의 活動과 梵唄 敎化의 意義 | 소장 |
264 | 崔致遠傳承의 硏究 | 소장 |
265 | 麻線 高句麗碑의 書體와 金石學的 問題點 | 소장 |
266 | 九成宮醴泉銘, 中國名帖精印選 Ⅰ, 杭州: 西泠印社出版社, 2007. | 미소장 |
267 | 九成宮醴泉銘, 中國書法選 31, 東京: 二玄社, 2010. | 미소장 |
268 | 圭峰定慧禪師碑, 武漢: 武漢市古籍書店影印, 1988. | 미소장 |
269 | (合本)書藝大字典, 敎育出版公社, 1999. | 미소장 |
270 | 多宝塔碑, 中國書法選 40, 東京: 二玄社, 2008. | 미소장 |
271 | 書道大字典, 서울 : 미술문화원, 1983. | 미소장 |
272 | 書藝大字典, 서울 : 교육출판공사, 1985. | 미소장 |
273 | 視聽覺敎育社 編, 歐陽詢九成宮醴泉銘, 視聽覺敎育社, 1999. | 미소장 |
274 | 隸書變異字典, 北京:文物出版社, 2008. | 미소장 |
275 | 顔眞卿書法集 上· 下, 北京: 北京工藝美術出版社, 2005. | 미소장 |
276 | 雁塔聖敎序, 中國書法選 34, 東京: 二玄社, 2008. | 미소장 |
277 | 歷代名家書法字典: 王羲之 書法字典, 武漢: 湖北美術出版社, 2010. | 미소장 |
278 | 歷代名家書法字典: 顔眞卿 書法字典, 武漢: 湖北美術出版社, 2010. | 미소장 |
279 | 中國書法大辭典, 香巷: 書譜出版社, 1987, | 미소장 |
280 | 中國異體字大系· 楷書編, 上海: 上海書畵出版社, 2008. | 미소장 |
281 | 張猛龍碑 北魏 中國書法選 23, 東京: 二玄社, 2008. | 미소장 |
282 | 中國異體字大系· 楷書編, 上海: 上海書畵出版社, 2008. | 미소장 |
283 | 化度寺碑· 溫彦博碑, 中國書法選 30, 東京: 二玄社, 2008. | 미소장 |
284 | 皇甫誕碑, 中國書法選 29, 東京: 二玄社, 2010. | 미소장 |
285 | 玄秘塔碑, 中國書法選 45, 東京: 二玄社, 2008. | 미소장 |
286 | 楷字編, 北京: 文物出版社, 1998. | 미소장 |
287 | 行書字典, 哈尒濱: 黑龍江美術出版社, 2006.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