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최인훈 전집 1~15, 문학과지성사, 2010. |
미소장 |
2 |
최인훈 소설의 죽음충동과 플롯의 상관관계연구
|
소장 |
3 |
「반식민의 이중성을 넘어-최인훈의 <광장>을 중심으로」, 탈식민의 텍스트, 저항과 해방의 담론, 이회, 2004. |
미소장 |
4 |
감시와 위장 : 최인훈의 「크리스마스캐럴」론
|
소장 |
5 |
「한국적인 것의 摸索-젊은 지성인들의 고백적 평가서」, 아세아 창간호, 1962.2. |
미소장 |
6 |
「테러리즘의 문학-50년대 문학 소고」, 김현문학전집2, 문학과지성사, 1992. |
미소장 |
7 |
최인훈의 <태풍>에 대한 탈식민주의적 연구
|
소장 |
8 |
최인훈의 고현학, '소설노동자'의 위치 :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연구
|
소장 |
9 |
4·19와 5·16, 자유와 빵의 토포스
|
소장 |
10 |
Revolution in 1960s' Literature
|
소장 |
11 |
「60년대 비평문학의 세대론적 전략과 새로운 목소리」, 1960년대 문학연구, 예하, 1993. |
미소장 |
12 |
최인훈의 에세이에 나타난 문학론 연구
|
소장 |
13 |
서사론과 서사형식 : 즈네트와 메타픽션
|
소장 |
14 |
「1964년 담론의 자형」, 대중서사연구22, 대중서사학회, 2010. |
미소장 |
15 |
자기반영성, 혹은 새로운 문학형식의 예고  |
미소장 |
16 |
최인훈 소설의 이데올로기비판 담론 연구
|
소장 |
17 |
최인훈 소설 연구 : 최인훈의 예술론과 창작이론을 중심으로
|
소장 |
18 |
최인훈 소설에 나타나는 신화적 이미지 고찰
|
소장 |
19 |
최인훈 소설의 환상성 연구
|
소장 |
20 |
자율성의 운명과 우리의 현실 : 서구 자율성 이론과 연계하여
|
소장 |
21 |
「칸트 ‘시민’의 현대적 의의」, 칸트연구 제9집, 칸트학회, 2004. |
미소장 |
22 |
롤랑 바르트의 문학 유토피아
|
소장 |
23 |
근대성의 구현을 위한 고전의 방법적 변용  |
미소장 |
24 |
최인훈 초기 중단편 소설의 현대성
|
소장 |
25 |
「1960년대 한국 모더니즘 소설 연구: 최인훈과 이청준의 소설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박사논문, 2002. |
미소장 |
26 |
「최인훈 소설의 기원과 존재방식: 원체험의 재현을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연구3, 한국근대문학회, 2002. |
미소장 |
27 |
「한국적 근대와 성찰의 난경-최인훈의 크리스마스 캐럴 연구」, 반포어문연구29, 2010. |
미소장 |
28 |
「1960년대 문학과 6·25의 기억」, 세계문학비교연구제35집, 세계문학비교연구학회, 2011. |
미소장 |
29 |
혁명, 언어, 젊음 : 4·19의 불가능성과 4·19세대 문학
|
소장 |
30 |
「최인훈 소설에 나타난 주체성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논문, 1999. |
미소장 |
31 |
「분단시대와 지식인의 사랑」, 변동사회와 작가, 문학과지성사, 1979. |
미소장 |
32 |
「1960년대 ‘한국적인 것’의 담론 지형과 신세대 의식」, 상허학보, 상허학회, 2005. |
미소장 |
33 |
「이상 시의 내적 상호텍스트성」, 국어국문학118, 국어국문학회, 1997. |
미소장 |
34 |
최인훈 문학의 재현 방식 연구 : 『회색인』과『서유기』를 중심으로
|
소장 |
35 |
「폴 리쾨르의 이야기 해석학」, 국어국문학146, 국어국문학회, 2007. |
미소장 |
36 |
「헤겔주의자의 고백」,최인훈론, 은애, 1979. |
미소장 |
37 |
「메타픽션과 독자의 반응」, 영어영문학41권, 영어영문학회, 1995. |
미소장 |
38 |
narration of modern literature and the reconstruction of modernity as a positive identity  |
미소장 |
39 |
문학장과 문학성
|
소장 |
40 |
탈식민적 정체성과 근대 민족국가 비판 : 최인훈의 『총독의 소리』 연작을 중심으로
|
소장 |
41 |
「현대문학의 정체성 재고」, 오늘의 문예비평, 1993. |
미소장 |
42 |
셰익스피어의 『태풍』(The Tempest)과 최인훈의 『태풍』 비교 : 탈식민주의 시각을 중심으로
|
소장 |
43 |
「되돌아오는 제국, 되돌아가는 주체-최인훈의 <태풍>을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 15집, 현대소설학회, 2000, 291~306쪽. |
미소장 |
44 |
최인훈「크리스마스 캐럴」연작 연구 : 찰스 디킨스「크리스마스 캐럴」과의 비교 연구를 중심으로
|
소장 |
45 |
김우진 이영녀의 탈식민성 연구
|
소장 |
46 |
최인훈 문학의 관념성 연구 : 최인훈의 문학 에세이를 중심으로
|
소장 |
47 |
최인훈 소설 <태풍> 연구 : 셰익스피어 <태풍(The Tempest)>과의 비교연구를 중심으로
|
소장 |
48 |
최인훈 소설의 정치적 지향과 그 기원으로서의 서구 근대사상 : 최인훈 소설에 나타난 칸트(Kant)적 사유를 중심으로
|
소장 |
49 |
백낙청, 「한국소설과 리얼리즘의 전망」, 동아일보, 1967.8.12. |
미소장 |
50 |
「1960년대 문학적 언어관의 지형」, 국제어문46, 국제어문학회, 2009. |
미소장 |
51 |
백 철, 「한 개의 돌이 던져지다」, 서울신문,1960.11.27. |
미소장 |
52 |
백 철, 「작품 의미의 콤플렉스」, 서울신문, 1960.12.18. |
미소장 |
53 |
On the position of Inhun Choe’s novels in the modern Korean history of literature
|
소장 |
54 |
최인훈 소설 《서유기》의 해체 기법 연구
|
소장 |
55 |
최인훈 소설의 서사 구조 연구
|
소장 |
56 |
최인훈 소설 연구 : 인식 태도와 서술방식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
소장 |
57 |
최인훈의 소설에 나타난 '방송의 소리' 형식 연구
|
소장 |
58 |
'한국적 근대'의 풍속 : 최인훈의「크리스마스 캐럴」연작 연구
|
소장 |
59 |
최인훈 문학에서의 '개인'에 관한 연구
|
소장 |
60 |
최인훈의 『태풍』에 대한 탈식민주의적 연구
|
소장 |
61 |
「환상으로 존재하는 삶」, 하늘의 다리/두만강, 문학과지성사, 2009. |
미소장 |
62 |
「한국 현대시의 패러디적 상호텍스트성 연구」, 새얼어문논집 13권, 새얼어문학회, 2000. |
미소장 |
63 |
연극과의 동행, '최인훈 희곡'의 형성 : <온달>에서 <어디서 무엇이 되어 만나랴>로의 이행과정을 중심으로
|
소장 |
64 |
신동한, 「확대해석에의 이의」, 서울신문, 1960. 12.14. |
미소장 |
65 |
신동한, 「문학의 지도성」, 서울신문, 1960.12.28. |
미소장 |
66 |
崔仁勳 패러디小說 硏究 : ‘九雲夢’,‘西遊記’의 徐事構造를 中心으로
|
소장 |
67 |
어떤 아나키 : 최인훈과 자유
|
소장 |
68 |
최인훈 소설의 정치적 상상력  |
미소장 |
69 |
최인훈 소설의 주체 연구
|
소장 |
70 |
최인훈 소설의 자기 반영적 글쓰기 연구
|
소장 |
71 |
The Genre Expansion of Choi In-Hoon’s Novels and His Historical View
|
소장 |
72 |
「기억의 문학적 재생」, 한중인문학연구28, 한중인문학회, 2012. |
미소장 |
73 |
냉전 체제를 사유하는 방식 : 최인훈의『총독의 소리』를 중심으로
|
소장 |
74 |
「상황과 자아」, 최인훈론, 은애, 1979. |
미소장 |
75 |
「믿음의 세계와 창의 세계」, 「우상의 집」 해설, 최인훈 전집8권, 문학과지성사, 1979. |
미소장 |
76 |
崔仁勳 小說의 상호텍스트성 硏究 : 패러디 양상을 중심으로
|
소장 |
77 |
Semiotic Inquiry: Sign and Culture Our Timer From Interpretative Semiotics to Productive Semiotics : On the Interpretation and Production in Literary Texts
|
소장 |
78 |
小說의 諸問題,1
|
소장 |
79 |
「소설의 정치적 함축」, 세계의 문학, 1979 가을. |
미소장 |
80 |
Paul Ricoeur hermeneutique et comprehension de soi
|
소장 |
81 |
「최인훈의 「광장」에 대한 재고찰」, 현대소설의 정신사적 연구, 일지사, 1989. |
미소장 |
82 |
崔仁勳 論
|
소장 |
83 |
검열의 내면화와 그 정치적 발현 : 1960년대 보수우익문학의 동향을 중심으로
|
소장 |
84 |
「1950년대 등단제도 연구」, 한국문학연구36집, 한국문학연구학회, 2008, |
미소장 |
85 |
「식민국과 식민지의 이분법을 넘어서」, 작가연구14호, 2002. |
미소장 |
86 |
최인훈의 극작 여정, 그 보편성에의 유혹과 정치적 무의식
|
소장 |
87 |
「최인훈 소설 연구: ‘광장’에서 ‘화두’까지 주체의 욕망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박사논문, 2005. |
미소장 |
88 |
「최인훈 소설의 담론 특성 연구-서술 층위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박사논문, 1998. |
미소장 |
89 |
최인훈 소설의 반복기법 연구
|
소장 |
90 |
「문학의 인식작용과 야누스의 얼굴」, 세계의 문학, 1978 여름호. |
미소장 |
91 |
저항과 전유의 문학 담론 : 한국 문학과 탈식민주의의 상관성
|
소장 |
92 |
「1960년대 소설의 주체 생산 연구- 이호철, 최인훈, 김승옥을 중심으로」,연세대학교 박사논문, 1999. |
미소장 |
93 |
「1960년대 검열과 문학, 문학제도의 재구조화」, 대동문화연구74집,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1. |
미소장 |
94 |
'음경'의 발견과 소설적 대응 : 이효석과 박태원을 중심으로
|
소장 |
95 |
「국가의 사운드스케이프와 붉은 소음의 상상력」, 대중서사연구제25호, 대중서사학회, 2014. |
미소장 |
96 |
「박정희 체제의 사운드스케이프와 문학의 대응」, 성균관대학교 박사논문,2014. |
미소장 |
97 |
「최인훈 소설의 정론과 미적 실천 양상」, 서울시립대학교 박사논문, 2004. |
미소장 |
98 |
모르기, 모르려 하기, 모른 체 하기 : 『광장』에서 『태풍』으로, 혹은 자발적 무지의 생존술
|
소장 |
99 |
최인훈 소설에 나타난 주체성과 글쓰기의 상관성 연구
|
소장 |
100 |
최인훈 소설에서의 반복의 의미
|
소장 |
101 |
「1970년대 구보 잇기의 문학사적 맥락」, 구보학보9, 구보학회, 2013. |
미소장 |
102 |
崔仁勳 小說의 幻想性 연구
|
소장 |
103 |
문화적 기억/망각의 메커니즘으로서의 상호텍스트성
|
소장 |
104 |
최인훈 소설의 환상성 연구
|
소장 |
105 |
최인훈 희곡의 연극적 기법과 미학 연구
|
소장 |
106 |
오태석 희곡의 상호텍스트성 연구
|
소장 |
107 |
「‘한국적인 심성’의 근원을 찾아서」, 한국현대문학연구30집, 한국현대문학회, 2010. |
미소장 |
108 |
A Study on the Problem of Ideology in Inhoon Choi’s Novels, Kwangjang and Hwadu  |
미소장 |
109 |
최인훈 소설에 나타난 정치성의 의미 연구
|
소장 |
110 |
최인훈 소설에 나타난 연애와 기억에 관한 연구
|
소장 |
111 |
The study of the repetition structure and the other self motif in Choi In-hoon's novels  |
미소장 |
112 |
최인훈 에세이적 소설 형식의 문화철학적 고찰 :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을 중심으로
|
소장 |
113 |
반복의 자동성을 넘어서 : 최인훈의 「구운몽」과 정신분석학적 문학비평의 모색
|
소장 |
114 |
「1960년대 한국문학비평 연구: 전통론, 세대론, 참여론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박사논문, 1998. |
미소장 |
115 |
「최인훈의 작가의식과 패로디 소설 고찰」, 어문논집46, 중앙어문학회, |
미소장 |
116 |
한국 현대사 산책-1970년대편 2, 인물과 사상사, 2002. |
미소장 |
117 |
탈식민주의 이론과 쟁점, 문학과지성사, 2003. |
미소장 |
118 |
횡단과 경계, 소명출판, 2008. |
미소장 |
119 |
근대문학 100년 연구총서 편찬위원회, 연표로 읽는 문학사, 소명출판, 2010. |
미소장 |
120 |
근현대사 네트워크, 우리 현대사 노트, 서해문집, 2007. |
미소장 |
121 |
기호학이란 무엇인가, 민음사, 1994. |
미소장 |
122 |
한국잡지사연구, 한국학연구소, 1992. |
미소장 |
123 |
한국 현대극의 수용, 연극과인간, 2006. |
미소장 |
124 |
한국현대문학비평사, 소명출판, 2000. |
미소장 |
125 |
일제하의 동남아,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1995. |
미소장 |
126 |
근대의 불안과 모더니즘, 소명출판, 2006. |
미소장 |
127 |
포스트모더니즘의 이론, 민음사, 1992. |
미소장 |
128 |
내가 살아온 20세기 문학과 사상, 문학사상, 2006. |
미소장 |
129 |
해체와 저항의 서사, 문학과지성사, 2004. |
미소장 |
130 |
한국 현대극의 이론, 연극과인간, 2011. |
미소장 |
131 |
이상 소설 연구, 소명출판, 1999. |
미소장 |
132 |
한국군사사, 경남대학교 출판부, 2011. |
미소장 |
133 |
비교문학, 새문사, 2003. |
미소장 |
134 |
미셸푸코의 문학비평, 문학과지성사, 1990. |
미소장 |
135 |
소설과 서사문학, 소명출판, 2006. |
미소장 |
136 |
영화와 소설의 시점과 이미지, 소명출판, 2009. |
미소장 |
137 |
환상과 리얼리티, 문예출판사, 2011. |
미소장 |
138 |
전후 월남작가와 자아정체성의 서사, 역락, 2009. |
미소장 |
139 |
민족문학사연구소 기초학문연구단, 탈식민의 역학, 소명출판, 2006. |
미소장 |
140 |
민족문학사연구소 현대문학분과, 1960년대 문학연구, 깊은샘, 1998. |
미소장 |
141 |
비동일화의 지평, 고려대학교출판부, 2010. |
미소장 |
142 |
얼굴, 국가, 사건, 한티재, 2012. |
미소장 |
143 |
서사학과 텍스트 이론, 소명출판, 2014. |
미소장 |
144 |
기호 주체 욕망」, 창비, 2007. |
미소장 |
145 |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수사학, 소명출판, 2003. |
미소장 |
146 |
시론, 예옥, 2011. |
미소장 |
147 |
한국연극사와 전통담론, 연극과인간, 2009. |
미소장 |
148 |
소운서원 엮음, 들뢰즈 사상의 분화, 그린비, 2007. |
미소장 |
149 |
프랑스 문학사회학, 동문선, 2003. |
미소장 |
150 |
최인훈의 자기 반영적 글쓰기, 혜안, 2012. |
미소장 |
151 |
한국현대소설과 패러디, 국학자료원, 1999. |
미소장 |
152 |
근대문학비평사론, 소명출판, 2003. |
미소장 |
153 |
아프리카 탈식민주의 문화론과 근대성, 동인, 2001. |
미소장 |
154 |
현대소설의 서사주제학, 문학과지성사, 2007. |
미소장 |
155 |
천하나의 고원, 돌베개, 2008. |
미소장 |
156 |
소설과 영화, 매체의 수사학, 국학자료원, 2012. |
미소장 |
157 |
최인훈, 서강대학교 출판부, 1999. |
미소장 |
158 |
기호학,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5. |
미소장 |
159 |
1960년 한국의 근대화와 지식인, 선인, 2004. |
미소장 |
160 |
최인훈, 글누림, 2013. |
미소장 |
161 |
사실주의, 지식을 만드는 지식, 2012. |
미소장 |
162 |
박정희와 개발독재시대-5·16에서 10·26까지, 역사비평사, 2007. |
미소장 |
163 |
프랑스 리얼리즘,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3. |
미소장 |
164 |
패러디, 관계와 소통의 미학, 인터북스, 2011. |
미소장 |
165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 1970년대 전반기의 정치사회변동, 백산서당, 1999. |
미소장 |
166 |
문화와 권력, 나남출판, 1998. |
미소장 |
167 |
문화와 계급, 동문선, 2002. |
미소장 |
168 |
문체, 소설의 몸, 소명출판, 2014. |
미소장 |
169 |
기억의 공간, 경북대학교출판부, 2003. |
미소장 |
170 |
Intertextuality, Routledge, 2000. |
미소장 |
171 |
예루살렘의 아이히만, 한길사, 2006. |
미소장 |
172 |
포스트콜로니얼 문학이론, 민음사, 1996. |
미소장 |
173 |
서사란 무엇인가, 문예출판사, 1999 |
미소장 |
174 |
“Reflections on Reflection: The Mise en Abyme”, On Meaning-Making: Essays in Semiotics, Sonoma, California: Polebridge Press, 1994, |
미소장 |
175 |
Mythologies, trans. by A. Lavers , New York: Hill & Wang, 1994. |
미소장 |
176 |
Writing Degree Zero, trans. by A. Lavers & C. Smith, New York: Hill & Wang, 1980. |
미소장 |
177 |
글쓰기의 영도, 동문선, 2007. |
미소장 |
178 |
텍스트의 즐거움, 동문선, 2002. |
미소장 |
179 |
문화의 위치, 소명, 2012. |
미소장 |
180 |
부르디외 사회학 입문, 동문선, 1997. |
미소장 |
181 |
구별짓기상·하, 새물결, 1995·1996. |
미소장 |
182 |
예술의 규칙, 동문선, 1998. |
미소장 |
183 |
이야기와 담론, 푸른사상, 2003. |
미소장 |
184 |
현대문학 문화비평 용어사전, 문학동네, 1999. |
미소장 |
185 |
천개의 고원, 새물결, 2003. |
미소장 |
186 |
카프카: 소수적인 문학을 위하여, 동문선, 2004. |
미소장 |
187 |
차이와 반복, 민음사, 2004. |
미소장 |
188 |
들뢰즈가 만든 철학사, 이학사, 2007. |
미소장 |
189 |
주름, 라이프니츠와 바로크, 문학과지성사, 2004. |
미소장 |
190 |
The Event of Literature, New Heven&London: Yale university press, 2012. |
미소장 |
191 |
문학이론입문, 창작과비평사, 1986. |
미소장 |
192 |
기호 개념과 역사, 열린 책들, 2000. |
미소장 |
193 |
대지의 저주받은 자들, 그린비, 2004. |
미소장 |
194 |
검은 피부 하얀 가면, 인간사랑, 1998. |
미소장 |
195 |
시학-문학형식 일반론 입문, 동문선, 2001. |
미소장 |
196 |
Palimpsest-Literature in the second degree, trans. by C. Newman& C. Doubinsky,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1997. |
미소장 |
197 |
서사담론, 교보문고, 1992. |
미소장 |
198 |
랑가주 이론서설, 동문선, 2000. |
미소장 |
199 |
환상과 미메시스, 푸른나무, 2000. |
미소장 |
200 |
A Poetics of Postmodernism: history , Theory, fiction, New York: Routledge, 1988. |
미소장 |
201 |
Narcissistic Narrative, The Metafictional Paradox, New York & London: Methuen, Wilfrid Laurier University Press, 1980. |
미소장 |
202 |
패로디 이론, 문예출판사, 1992. |
미소장 |
203 |
소리의 현상학, 박종문 역, 예전사, 2006. |
미소장 |
204 |
Jackson, Rosemary, 서강문학연구회 역, 환상성-전복의 문학, 문학동네, 2001. |
미소장 |
205 |
문학 속의 언어학, 문학과지성사, 1989. |
미소장 |
206 |
정치적 무의식, 민음사, 2015. |
미소장 |
207 |
롤랑 바르트, 민음사, 1994. |
미소장 |
208 |
순수이성비판 서문, 책세상, 2002. |
미소장 |
209 |
순수이성비판, 박영사, 1983. |
미소장 |
210 |
포스트콜로니얼, 삼인, 2002. |
미소장 |
211 |
The Mode of Modern Writing, Ithaca, New York: Cornell University Press, 1977. |
미소장 |
212 |
담론이란 무엇인가, 한울, 1992. |
미소장 |
213 |
기호학의 열쇠, 유로, 2006. |
미소장 |
214 |
가상계, 갈무리, 2011. |
미소장 |
215 |
폴 드만과 탈구성적 텍스트, 앨피, 2007. |
미소장 |
216 |
한 권에 담은 동남아시아 역사, 도서출판 오름, 2007. |
미소장 |
217 |
퍼스의 기호사상, 민음사, 2006. |
미소장 |
218 |
부르디외 사회학 이론, 문예신서, 2003. |
미소장 |
219 |
내러티브, 인문과학을 만나다, 학지사, 2009. |
미소장 |
220 |
시간과 이야기1, 문학과지성사, 1999. |
미소장 |
221 |
시간과 이야기2, 문학과지성사, 2000. |
미소장 |
222 |
시간과 이야기3, 문학과지성사, 2004. |
미소장 |
223 |
사운드스케이프: 세계의 조율, 그물코, 2008. |
미소장 |
224 |
해석의 영혼 폴 리쾨르, 앨피, 2009. |
미소장 |
225 |
소설과 카메라의 눈, 르네상스, 2005. |
미소장 |
226 |
들뢰즈 개념어 사전, 갈무리, 2012. |
미소장 |
227 |
메타픽션, 열음사, 1992. |
미소장 |
228 |
이데올로기라는 숭고한 대상, 인간사랑, 2002. |
미소장 |
229 |
들뢰즈, 유동의 철학, 그린비, 2008.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