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논문개요 7
I. 서론 9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9
B. 연구문제 14
C. 용어의 정의 15
II. 이론적 배경 17
A. 발달지체유아와 부모 17
1. 발달지체유아의 특성 17
2. 발달지체유아 부모의 요구 19
3. 발달지체유아의 부모를 위한 지원 21
B. 양육지원 프로그램 23
1. 양육지원의 개념 및 유형 23
2. 양육지원 프로그램의 효과 26
3. 발달지체유아의 부모를 위한 양육지원 관련 선행연구 29
III. 연구방법 32
A. 연구 참여자 32
B. 실험기간 및 장소 34
C. 독립변인: 놀이기반 양육지원 프로그램 35
D. 종속변인 측정도구 46
E. 연구설계 및 절차 49
F. 관찰자간 일치도 52
G. 중재충실도 53
H. 사회적 타당도 54
I. 자료분석 56
IV. 연구결과 57
A. 놀이기반 양육지원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57
B. 놀이기반 양육지원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성 기술에 미치는 영향 58
C. 놀이기반 양육지원 프로그램이 어머니와 자녀의 상호작용 행동에 미치는 영향 58
V. 논의 및 제언 61
A. 논의 61
B.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67
C. 제언 69
참고문헌 71
부록 85
〈부록 1〉 놀이기반 양육지원 프로그램 활동지도안 예시 86
〈부록 2〉 놀이기반 양육지원 프로그램 활동자료 예시 89
〈부록 3〉 양육효능감 척도 문항 (K-POSC) 92
〈부록 4〉 한국 유아 사회성기술 검사지 문항 (K-SSRSP) 93
〈부록 5〉 K-MBRS 평가준거 95
〈부록 6〉 K-CBRS 평가준거 96
〈부록 7〉 K-MBRS & K-CBRS 상호작용 촬영 동의서 97
〈부록 8〉 사회적 타당도 검사지 98
〈부록 9〉 놀이기반 양육지원 프로그램 참여자 모집공고문 99
ABSTRACT 100
[그림 1] The Incredible Years Program 개요 37
[그림 2] 놀이기반 양육지원 프로그램 개발절차 42
[그림 3] 놀이기반 양육지원 프로그램 소집단 회기 실행 내용 46
발달지체유아는 성인과의 상호작용 시 수동적이고 느리게 반응하거나 덜 활동적이며 놀이행동이 제한적이고 놀이의 복잡성이 떨어지며 놀이에 참여하려는 자발성이 부족하다. 부모는 자녀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특히 유아기 자녀의 놀이상대자로서의 부모는 놀이제공자이자 안내자, 놀이대상자, 촉진자의 역할을 담당한다. 그러나 발달지체유아와 가장 많은 시간을 함께 하는 부모는 발달지체 자녀를 양육하면서 자신감을 잃거나, 경제적 부담, 신체적 피로, 심리적 불안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발달지체로 인한 어려움은 유아와 양육자 간 상호작용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발달지체유아의 부모들이 자녀의 특성을 이해하고 부모역할을 잘 수행하기 위해서는 부모들의 특성과 요구에 적합하게 개발된 양육지원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한다. 양육지원이란 가족의 건강한 발달을 지원하고 부모가 자녀의 발달적 특성과 요구를 이 해하여 자녀의 성장 및 발달을 도모할 수 있도록 부모를 지원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놀이 활동을 매개로 자녀와 함께 할 수 있는 놀이 활동을 배우고 놀이 활동과 연계된 양육기술을 학습하며 가정방문을 통해 부모와 자녀 간 상호작용을 피드백하는 양육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발달지체유아를 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을 증진시키고 유아의 사회성기술을 향상시키며, 어머니와 유아의 긍정적인 상호작용 행동을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지체유아와 어머니를 대상으로 놀이기반 양육지원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참여한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유아의 사회성 기술, 어머니와 자녀의 상호 작용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재원중이며 생활연령이 만 2-4세인 발달지체유아와 어머니 20쌍으로, 실험집단 10쌍과 통제집단 10쌍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 10쌍에게는 8회기의 집단회기와 3회기의 개별 가정방문회기를 실시하였으며 연구 참여자 모집기간을 포함하여 총 7개월에 걸쳐 연구가 진행되었다.
놀이기반 양육지원 프로그램이 양육효능감과 유아의 사회성 기술, 어머니와 유아의 상호작용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양육효능감 척도'(김정미 외, 2014)와 '한국 유아 사회성 기술검사'(윤치연, 2008), '어머니 행동 평가척도'와 '아동행동 평가척도'(김정미, 제럴드마호니, 2013)를 사용하였다. 결과의 검증을 위하여 양육효능감 검사와 사회성 기술검사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전, 후에 실시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차이점수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독립표본 t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어머니-유아 상호작용 행동 평가는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전, 후에 걸쳐 측정한 결과를 가지고 종속표본 t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놀이기반 양육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발달지체유아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변화정도가 통제집단의 변화정도에 비해 컸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놀이기반 양육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성 기술 변화 정도가 통제집단 발달지체유아의 변화 정도에 비해 컸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셋째, 놀이기반 양육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어머니는 자녀와의 상호작용 행동에서 사전-사후 간 유의한 향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놀이기반 양육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발달지체유아는 어머니와의 상호작용 행동에서 사전-사후 간 유의한 향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가정에서 할 수 있는 놀이 활동을 실습하고 이와 관련된 양육기술을 배우며, 가정방문 회기를 포함하는 놀이기반 양육지원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와 어머니의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입증하였으나 양육효능감과 유아의 사회성 기술에 미치는 효과는 명확히 밝혀내지 못하였다. 그러나 발달지체유아와 어머니를 대상으로 놀이 활동을 매개로 양육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한 점, 중재방법에 그룹 회기뿐 아니라 개별 가정방문회기를 포함하여 양육지원을 개별화한 점, 양육지원 프로그램이 어머니와 유아의 상호작용 향상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입증한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