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7

제1장 서론 8

제2장 이론적 배경 10

제1절 생애 10

제2절 차이코프스키의 피아노 작품 개관 14

제3절 러시아 민요의 특징 17

제3장 작품분석 20

제4장 결론 42

참고문헌 44

ABSTRACT 46

표목차

〈표 1〉 차이코프스키 피아노 독주곡 14

〈표 2〉 Dumka Op. 59의 구조 21

악보목차

〈악보 1〉 전음계(Diatonic Scale)의 선율 17

〈악보 2〉 아르메니아 민요에 사용된 기본음계 18

〈악보 3〉 노동 노래 19

〈악보 4〉 마디 1-10 화성진행 22

〈악보 5〉 마디 11-23 분석 23

〈악보 6〉 마디 24-33 선율, 화성분석 24

〈악보 7〉 마디 37-43 리듬 A, B의 반복 25

〈악보 8〉 마디 46-47, 50-51, 56-57 Con anima의 주제선율 26

〈악보 9〉 마디 64 주제선율과 리듬 27

〈악보 10〉 마디 64-65 선율의 반복 27

〈악보 11〉 마디 66-67 변주된 주제선율 28

〈악보 12〉 마디 68-69 변주된 주제선율 28

〈악보 13〉 마디 70-71 변주된 주제선율 29

〈악보 14〉 마디 72-73 변주된 주제선율 29

〈악보 15〉 마디 74-75 변주된 주제선율 30

〈악보 16〉 마디 76 변주된 주제선율 30

〈악보 17〉 마디 78-81 화성분석 31

〈악보 18〉 마디 82-85 화성분석 32

〈악보 19〉 마디 89-91 분석 32

〈악보 20〉 마디 92-97 변주된 주제선율 33

〈악보 21〉 마디 98-99 분석 34

〈악보 22〉 마디 76, 100 음역, 선율진행 비교 35

〈악보 23〉 마디 100-101과 마디 102의 선율비교, 화성분석 36

〈악보 24〉 마디 103-104 화성, 선율진행 37

〈악보 25〉 마디 105 분석 37

〈악보 26〉 마디 108-113 분석 38

〈악보 27〉 마디 1-8과 114-121 비교 39

〈악보 28〉 마디 13-16과 125-127 비교 40

〈악보 29〉 마디 127-138 분석 41

초록보기

 차이코프스키(P. I. Tchaikovsky, 1840~1893)는 19세기 후반에 활동했던 작곡가이다. 그의 피아노 음악은 관현악과 발레 음악에 비해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초기 작품들은 피아노곡이 대다수이다. 주로 소나타보다 소품곡을 작곡했으며 이 피아노 작품들이 후에 관현악곡을 작곡하는데 초석이 되었다.

러시아 태생의 작곡가이며 서구의 음악어법과 러시아 전통음악의 절충을 이루어낸 차이코프스키의 음악은 그 당시의 민족주의자 '러시아 5인조'들처럼 민속음악의 특징이 두드러지지는 않는다. 하지만 화성의 사용, 선율, 반복적인 리듬 사용에 있어 전통음악의 요소가 나타난다.

차이코프스키의 피아노 소품곡 《Dumka Op. 59》는 애수적인 부분과 밝고 활발한 부분이 반복되어 나타나며 c단조의 곡이지만 조성의 변화가 많고 빠르기도 자주 변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곡 전체에 걸쳐서 나타나는 동기의 반복과 리듬의 변형 등 러시아 전통음악의 요소를 찾아볼 수 있고 단 3도와 완전 4도의 잦은 사용으로 독특한 색채감을 더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