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 초록
목차
I. 서론 13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3
2. 선행연구 16
II. 다문화 배경 초등 저학년 스토리텔링과 쓰기 23
1. 다문화 초등 저학년 학습자의 특성 23
2. 쓰기 교육과 스토리텔링 27
가. 스토리텔링 쓰기 교육 27
나. 전래동화 스토리텔링 쓰기교육 33
다. 쓰기 교육 35
III. 전래동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쓰기 41
1. 연구대상과 연구기간 41
2. 연구절차 및 방법 45
가. 연구절차 45
나. 연구 집단 구성방법 46
다. 국어 교과서에 실린 한국 전래동화 47
라. 성취도 수준과 평가 55
마. 쓰기 평가의 기준 설계 62
3. 전래동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쓰기 수업의 실제 66
가. 전래동화 스토리텔링 수업모형 66
나. 전래동화 수업 모형 70
IV. 스토리텔링 쓰기 수업 실험의 결과 분석 및 논의 74
1.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실험의 세부 해석 및 논의 74
가. 1학년 스토리텔링 실험집단 쓰기 분석 및 논의 74
나. 2학년 스토리텔링 실험집단 쓰기 분석 및 논의 81
다. 1학년 통제집단 쓰기 분석 및 논의 88
라. 2학년 통제집단 쓰기 분석 및 논의 95
2.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실험의 결과 분석 104
V. 결론 및 제언 120
참고문헌 124
부록 134
〈부록 1〉 '전래동화'에 대한 사전 조사 134
〈부록 2〉 [제목없음] 136
〈부록 3〉 [제목없음] 141
〈부록 4〉 [제목없음] 147
〈부록 5〉 [제목없음] 151
〈부록 6〉 [제목없음] 155
〈부록 7〉 [제목없음] 159
〈부록 8〉 [제목없음] 165
〈부록 9〉 [제목없음] 169
ABSTRACT 173
〈표 I-1〉 교육방안 연구 논문 19
〈표 II-1〉 다문화가정 자녀 구분 24
〈표 II-2〉 이야기 구성 요소를 토대로 한 분석 기준표 29
〈표 II-3〉 스토리텔링 수업 절차 30
〈표 II-4〉 에피소드 구성력 등급 채점 기준 32
〈표 II-5〉 쓰기 평가 항목 및 요소 36
〈표 II-6〉 쓰기 평가의 항목 비교 36
〈표 II-7〉 수사 영역 평가 요소와 세부 평가 39
〈표 III-1〉 연구대상 41
〈표 III-2〉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아동의 일반적인 특성 43
〈표 III-3〉 실험 기간 및 진행 절차 45
〈표 III-4〉 제1차-6차 초등 국어교과서에 수록된 전래동화 목록 47
〈표 III-5〉 제7차 초등 국어교과서에 수록된 전래동화 목록 49
〈표 III-6〉 2009 개정 초등 국어교과서에 수록된 전래동화 목록 50
〈표 III-7〉 교과서 한국 전래동화 목록 (2013) 52
〈표 III-8〉 교과서에 실린 빈도수가 높은 전래동화 54
〈표 III-9〉 실험에 사용 될 전래동화 목록 55
〈표 III-10〉 1학년 1학기 단원별 성취기준 56
〈표 III-11〉 1학년 2학기 단원별 성취기준 57
〈표 III-12〉 2학년 1학기 단원별 성취기준 58
〈표 III-13〉 2학년 2학기, 단원별 성취기준 59
〈표 III-14〉 1-2학년군, 내용성취기준 60
〈표 III-15〉 초등학교 1,2학년 다문화가정 학생의 쓰기 검사 도구의 구성 61
〈표 III-16〉 쓰기 평가 설계 63
〈표 III-17〉 쓰기 채점 평가자간의 신뢰도 66
〈표 III-18〉 실험집단의 실험 수업의 절차 및 방법 67
〈표 III-19〉 전래동화 스토리텔링 수업 모형 68
〈표 III-20〉 통제집단의 실험 수업의 절차 및 방법 72
〈표 III-21〉 전래동화 수업의 모형 72
〈표 IV-1〉 실험집단의 차시별에 따른 성취수준 104
〈표 IV-2〉 통제집단의 차시별에 따른 성취수준 105
〈표 IV-3〉 집단유형에 따른 차시별 유의수준 106
〈표 IV-4〉 집단유형에 따른 평가 범주 성취수준 107
〈표 IV-5〉 아동들의 실험 총점 변화 108
〈표 IV-6〉 집단유형에 따른 차시별 (낱말 및 문장쓰기, 세부범주 1)... 109
〈표 IV-7〉 집단유형에 따른 차시별 (낱말 및 문장쓰기, 세부범주 2)... 110
〈표 IV-8〉 집단유형에 따른 차시별 (낱말 및 문장쓰기, 세부범주 3)... 111
〈표 IV-9〉 집단유형에 따른 차시별 (낱말 및 문장쓰기, 세부범주 4)... 112
〈표 IV-10〉 집단유형에 따른 차시별 (쓸 내용 준비하기, 세부범주 5)... 112
〈표 IV-11〉 집단유형에 따른 차시별 (쓸 내용 준비하기, 세부 범주 6)... 113
〈표 IV-12〉 집단유형에 따른 차시별 (쓸 내용 준비하기, 세부 범주 7)... 114
〈표 IV-13〉 집단유형에 따른 차시별 (표현 및 전달하기, 세부 범주 8)... 115
〈표 IV-14〉 집단유형에 따른 차시별 (표현 및 전달하기, 세부 범주 9)... 116
〈표 IV-15〉 집단유형에 따른 차시별 (표현 및 전달하기, 세부 범주 10)... 116
〈그림 II-1〉 교과서에 실린 전래동화 34
〈그림 III-1〉 쓰기 평가 표본 집단 구성 시험 46
〈그림 IV-1〉 실험집단 1학년 수업 총점 결과 74
〈그림 IV-2〉 A 낱말 및 문장쓰기 결과 75
〈그림 IV-3〉 B 낱말 및 문장 쓰기 결과 76
〈그림 IV-4〉 C 낱말 및 문장쓰기 결과 76
〈그림 IV-5〉 A 쓸 내용 준비하기 78
〈그림 IV-6〉 B 쓸 내용 준비하기 78
〈그림 IV-7〉 C 쓸 내용 준비하기 79
〈그림 IV-8〉 A 표현 및 전달하기 80
〈그림 IV-9〉 B 표현 및 전달하기 80
〈그림 IV-10〉 C 표현 및 전달하기 80
〈그림 IV-11〉 실험집단 2학년 수업 총점 결과 81
〈그림 IV-12〉 D 낱말 및 문장쓰기 결과 83
〈그림 IV-13〉 E 낱말 및 문장쓰기 결과 83
〈그림 IV-14〉 F 낱말 및 문장 쓰기 결과 83
〈그림 IV-15〉 G 낱말 및 문장쓰기 결과 84
〈그림 IV-16〉 D 쓸 내용 준비하기 85
〈그림 IV-17〉 E 쓸 내용 준비하기 85
〈그림 IV-18〉 F 쓸 내용 준비하기 85
〈그림 IV-19〉 G 쓸 내용 준비하기 86
〈그림 IV-20〉 D 표현 및 전달하기 86
〈그림 IV-21〉 F 표현 및 전달하기 87
〈그림 IV-22〉 E 표현 및 전달하기 87
〈그림 IV-23〉 G 표현 및 전달하기 87
〈그림 IV-24〉 통제집단 1학년 수업 총점 결과 89
〈그림 IV-25〉 H 낱말 및 문장쓰기 결과 89
〈그림 IV-26〉 I 낱말 및 문장쓰기 결과 90
〈그림 IV-27〉 J 낱말 및 문장쓰기 결과 91
〈그림 IV-28〉 H 쓸 내용 준비하기 92
〈그림 IV-29〉 I 쓸 내용 준비하기 92
〈그림 IV-30〉 J 쓸 내용 준비하기 92
〈그림 IV-31〉 H 표현 및 전달하기 93
〈그림 IV-32〉 I 표현 및 전달하기 93
〈그림 IV-33〉 J 표현 및 전달하기 94
〈그림 IV-34〉 통제집단 2학년 수업 총점 결과 95
〈그림 IV-35〉 2학년 L 낱말 및 문장쓰기 결과 97
〈그림 IV-36〉 2학년 N 낱말 및 문장쓰기 결과 98
〈그림 IV-37〉 2학년 M 낱말 및 문장쓰기 결과 98
〈그림 IV-38〉 2학년 K 낱말 및 문장쓰기 결과 98
〈그림 IV-39〉 2학년 K 쓸 내용 준비하기 99
〈그림 IV-40〉 2학년 L 쓸 내용 준비하기 100
〈그림 IV-41〉 2학년 M 쓸 내용 준비하기 100
〈그림 IV-42〉 2학년 N 쓸 내용 준비하기 100
〈그림 IV-43〉 2학년 K 표현 및 전달하기 101
〈그림 IV-44〉 2학년 L 표현 및 전달하기 102
〈그림 IV-45〉 2학년 M 표현 및 전달하기 102
〈그림 IV-46〉 2학년 N 표현 및 전달하기 103
본 연구는 일반 가정의 아동보다 쓰기 능력이 미흡한 다문화 배경 초등 저학년 학습자의 쓰기 능력 개선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특히, 쓰기 능력의 향상을 돕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가운데 스토리텔링 수업이 저학년 쓰기 학습자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관한 연구이다.
이미 다양한 관련 연구들이 제시된 바가 있으나 많은 연구들이 다문화 고학년, 결혼이주 여성들, 교육 방안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고, 스토리텔링을 통한 쓰기 수업이 다문화 배경 초등 저학년을 대상으로 효용성을 밝히는 연구가 빈약하여, 본 연구는 수업을 통해 실제 교육현장에서 스토리텔링 수업이 다문화 배경 초등 저학년 학습자의 쓰기 능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진행은 다문화 배경을 가진 초등 저학년 학습자들의 스토리텔링수업을 통해 스토리텔링의 효용성을 밝히고, 스토리텔링 수업이 학습자의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증을 하고자 하였다.
이미 스토리텔링은 학습자들의 다양한 아이디어를 생성하는 바탕이 되므로, 쓰기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는 다문화 학습자들에게 쓰기 어려움을 해소 할 수 있는 좋은 방안이며, 학습동기 유발 및 부담감 감소, 아이디어 생성, 표현력 향상 및 어휘, 문장 등을 풍부하게 표현할 수 있게 하는 좋은 도구로 밝혀진 바 있다.
다문화 관련 스토리텔링이라는 제재에 대한 선행 연구들이 있으나, 이 연구들은 다문화학생들의 교육방안·방법에 관한 연구 등으로, 실제 수업을 통한 다문화 학생들의 유의미한 영향 등을 학습현장에서 정확하게 밝혀내는 연구들이 없기에 구체적인 효과를 검증하는 이러한 실험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실험 대상자를 다문화 배경 초등 저학년으로 하였다. 다문화 배경 초등 저학년의 아동에게 스토리텔링은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배우는데 아주 유용한 교수 학습방법으로써,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전래동화 수업의 중요성을 주시하여 전래동화를 스토리텔링 수업 제재로 사용하였다.
다문화 저학년 아동이 국어 교과서 수업에 실린 전래동화의 배경 지식이 있다면 학습력에 도움이 되리라 보고, 국어 교과서에 실린 빈도수에 따라 전래 동화 목록을 구성하였다. 이후, 이 목록의 전래동화를 가지고 스토리텔링 수업 모형에 쓰기로 하고, 다문화 저학년 학습자 14명을 동질성 검사를 거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분류하여 스토리텔링 수업에 적용함으로써 다문화 저학년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1장에서는 스토리텔링 수업이 다문화 배경 초등 저학년 학생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의 필요성 및 목적을 밝히고 있으며, 스토리텔링 수업이 쓰기에도 영향을 주는가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다루고 있다.
2장은 다문화 초등 저학년 학습자의 특성을 살펴보고, 스토리텔링의 쓰기 교육과 전래동화 스토리텔링의 쓰기 교육, 일반적 쓰기 교육을 분류, 설명함으로써 전래동화 스토리텔링의 쓰기 교육의 중요성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3장에서는 전래동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쓰기 수업의 설계를 구상하였다. 연구대상과 연구 절차 및 방법으로, 연구 집단 구성 방법은 꾸꾸(KU-CU)' KICE (평가문항관리시스템)에서 1학년과 2학년 1학기 '쓰기' 평가 시험지로 평가시험을 통해 80점 이상을 취득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동질성 표본 집단을 구성하였다.
평가도구는 2009 제7차 교육과정 국어 쓰기 성취기준, 2013 제7차 교육과정 개정 국어 쓰기 성취기준을 살펴 본 결과, 홍은실 외 2인(2010)에서 초등학교 1, 2학년 다문화가정 학생의 쓰기 검사 도구의 구성한 자료와 일치하여 이 쓰기 검사 도구를 사용기로 하였다. 그리고 실험집단의 수업 모형과 통제집단의 수업 모형을 만들어 실험에 사용하는 기틀을 만들었다.
4장은 스토리텔링 수업을 하고 나서 실험집단의 쓰기에 나타나는 결과 및 분석을 정리하였으며, 통계상 실험집단과 통계 집단을 비교 분석한 결과 스토리텔링 수업이 다문화 배경 초등 저학년 쓰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혀 주고 있다. 또한 4장에서는 1학년과 2학년, 개인별 세부 분석을 통해 어떠한 부분이 스토리텔링 쓰기 수업에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8차 수업 세부사항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5장 결론 부분은 연구에 대한 총 정리 및 제언과 한계점 등을 기술하였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