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요약

목차

I. 서론 9

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9

2. 연구 방법 및 범위 11

3. 선행연구 12

II. 한자어 부정 접두사의 특성 14

1. 한자어의 개념 및 성격 18

2. 접두사와 한자어 접두사의 관계 19

3. 한자어 부정 접두사의 부정 범위 22

III. 한자어 부정 접두사 '不-, 非-, 無-, 未-, '沒-'의 기능 형태와 의미 24

1. 한자어 부정 접두사 '不-' 24

1.1. '不-'의 기능 24

1.2. '不-'의 결합 형태 분석 27

1.3. '不-'의 의미 38

2. 한자어 부정 접두사 '非-' 40

2.1. '非-'의 기능 40

2.2. '非-'의 결합 형태 분석 41

2.3. '非-'의 의미 46

3. 한자어 부정 접두사 '無-' 49

3.1. '無-'의 기능 49

3.2. '無-'의 결합 형태 분석 50

3.3. '無-'의 의미 58

4. 한자어 부정 접두사 '未-' 60

4.1. '未-'의 기능 60

4.2. '未-'의 결합 형태 분석 62

4.3. '未-'의 의미 66

5. 한자어 부정 접두사 '沒-' 67

5.1. '沒-'의 기능 68

5.2. '沒-'의 결합 형태 분석 69

5.3. '沒-'의 의미 71

IV. 부정 접두사 '不-, 非-, 没-, 未-, '無-' 간의 치환 관계 72

1. '不-'과 '非-'의 치환 관계 72

2. '不-'과 '無-'의 치환 관계 73

3. '不-'과 '未-'의 치환 관계 73

4. '非-'와 '無-'의 치환 관계 74

5. '非-'와 '未-' 및 '無-'와 '未-'의 치환 관계 75

V. 결론 75

참고문헌 79

Abstract 82

표목차

〈표1〉 한자어 부정접두사의 결합 양상 17

〈표2〉 '不-'과 결합한 일반 명사 '-하다'와 결합할 수 없는 것 28

〈표3〉 '不-'과 결합한 일반 명사 '-하다'와 결합할 수 있는 것 30

〈표4〉 '不-'과 결합한 상태성 명사 31

〈표5〉 '不-'과 결합한 동작성 명사 33

〈표6〉 '不-'과 결합한 '적, 성' (반의어가 있는 경우) 35

〈표7〉 '不-'과 결합한 '적, 성' (반의어가 없는 경우) 36

〈표8〉 '非-'와 결합한 일반 명사 41

〈표9〉 '非-'와 명사와 결합한 접미사 '-적' 42

〈표10〉 '非-'와 명사와 결합한 접미사 '-성', '-화', '-자' 등 44

〈표11〉 '非-'와 결합한 상태성 명사 45

〈표12〉 '非-'와 결합한 동작성 명사 45

〈표13〉 '無+명사'가 '-하다'와 결합 할 수 없는 경우 51

〈표14〉 '無-'와 결합한 일반 명사 52

〈표15〉 '無-'와 결합한 동작성 명사 54

〈표16〉 '無-'와 결합한 동작성 명사 55

〈표17〉 '無-'와 결합한 동작성 명사 55

〈표18〉 '無-'와 명사와 결합한 접미사 '-적, -성' 의 경우 56

〈표19〉 '未-'와 결합한 일반 명사 62

〈표20〉 '未-'와 결합한 상태성 명사 62

〈표21〉 '未-'와 결합한 동작성 명사 63

〈표22〉 '沒-'과 결합한 일반 명사 69

〈표23〉 '沒-'과 결합한 동작성 명사 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