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8

I. 서론 10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0

2. 연구문제 12

3. 연구의 제한점 13

II. 이론적 배경 14

1. 디지털 교과서(Digital Textbook) 개념 14

2. 디지털 교과서의 배경 15

3. 디지털 교과서의 발전 과정 16

4. 디지털교과서 서비스 프레임워크 17

5. 디지털 교과서의 서책 형 교과서의 비교 18

6. 디지털 교과서 활용 교육의 전망 20

7. 디지털 교과서에 접목될 수 있는 스마트 기술 21

8. 교사들의 디지털교과서 수용 방해 요인 21

1) 교사들의 디지털 교과서 사용 경험에 관한 근거 이론적 접근 21

2) 교사들의 디지털교과서 수용 방해요인에 관한 질적 탐색 25

9. 디지털 교과서 연구학교 운영현황 및 성과 27

1) 서울보라매초등학교 연구보고서 27

2) 서울구일초등학교 연구보고서 29

3) 서울이태원초등학교 연구보고서 30

III. 연구 가설 및 연구방법 32

1. 연구가설 32

2. 연구 방법 32

IV. 연구 분석 34

1. 1차 연구 34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4

2) 교사의 사용하고 있는 스마트 기기 사용 현황 36

3) 스마트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38

4) 디지털 교과서에 대한 교사의 인식 43

5) 1차 연구 분석 결과 46

2. 2차 연구 48

1) 디지털 교과서 사용 경험 48

2) 디지털교과서 수업 활용 능력 49

3)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 진행 의사 51

4)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 시 장점 52

5)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 시 단점 55

6)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 시 가장 도움이 되는 과목 57

7) 사회과 디지털교과서 활용이 수업에 가장 도움이 되는 기능 58

8) 과학과 디지털교과서 활용에 있어 수업에 가장 도움이 되는 기능 60

9) 2차 연구 분석 62

V. 결론 63

참고문헌 66

부록 68

ABSTRACT 84

표목차

〈표 1〉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적용 10

〈표 2〉 디지털 교과서와 서책형 교과서 비교해보기 19

〈표 3〉 디지털교과서 대한 근거자료 범주화 22

〈표 4〉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5

〈표 5〉 사용하고 있는 스마트 기기 현황 36

〈표 6〉 사용하고 있는 스마트 기기 활용도 37

〈표 7〉 자주 사용하는 스마트 폰 어플 38

〈표 8〉 스마트 교육 관련 교육 또는 연수 여부 39

〈표 9〉 스마트 교육 관련 교육 참여 여부 40

〈표 10〉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 효과 41

〈표 11〉 스마트 교육 시 해결해야할 문제 42

〈표 12〉 디지털 교과서 활용 적합 학년 43

〈표 13〉 디지털 교과서의 효과 44

〈표 14〉 디지털 교과서를 학교에 적용하기 위해 요구되는 사항 45

〈표 15〉 일반학교와 연구학교 간의 디지털 교과서 사용 경험 49

〈표 16〉 일반학교와 연구학교의 디지털교과서 수업 활용 능력 50

〈표 17〉 일반학교와 연구학교 간의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 진행 의사 차이 52

〈표 18〉 일반학교와 연구학교 간의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 시 장점 54

〈표 19〉 일반학교와 연구학교 간의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 시 단점 56

〈표 20〉 일반학교와연구학교의디지털교과서활용수업시가장도움이되는과목 58

〈표 21〉 사회과 디지털교과서 활용이 수업에 가장 도움이 되는 기능 59

〈표 22〉 과학과 디지털교과서 활용에 있어 수업에 가장 도움이 되는 기능 차이 61

그림목차

〈그림 1〉 디지털교과서의 구성 14

〈그림 2〉 디지털교과서 서비스 프레임워크 17

〈그림 3〉 디지털교과서와 서책형교과서의 비교 18

〈그림 4〉 디지털 교과서 사용 경험 48

〈그림 5〉 디지털교과서 수업 활용 능력 50

〈그림 6〉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 진행 의사 51

〈그림 7〉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 시 장점 53

〈그림 8〉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 시 단점 55

〈그림 9〉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 시 가장 도움이 되는 과목 57

〈그림 10〉 사회과 디지털교과서 활용이 수업에 가장 도움이 되는기능 59

〈그림 11〉 과학과 디지털교과서 활용에 있어 수업에 가장 도움이 되는 기능 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