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3

1. 연구배경 및 목적 13

1) 연구배경 13

2) 연구목적 16

2. 선행연구 검토 18

3. 연구범위 및 방법 28

1) 연구범위 28

2) 연구방법 29

II. 리더십의 역사와 전개 31

1. 리더십의 개념 31

2. 리더십의 역사 36

1) 서양 리더십의 역사 37

2) 동양 리더십의 역사 52

3) 동·서양 리더십의 비교 71

3. 현대 리더십의 전개와 한계 74

1) 현대 리더십 연구의 전개 75

2) 현대 리더십 연구의 한계 83

4. 현대 조직과 리더십의 새로운 접근 86

1) 현대 조직의 특성과 경쟁력 86

2) 현대 리더십의 새로운 관점 90

III. 현대 리더십의 문화적 특성과 활용사례 107

1. 리더십의 문화적 특성 108

1) 윤리적 특성 108

2) 정치적 특성 111

3) 상징적 특성 116

2. 리더십의 문화적 기능 121

1) 조직문화 관리의 리더십 121

2) 조직문화 변화와 혁신 125

3) 조직문화 통합과 창조 129

3. 리더십의 문화적 활용 사례 133

1) 공공조직 133

2) 민간조직 137

IV. 현대 리더십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분석 141

1. 현대 리더십 교육 현황 분석의 목적 및 대상 142

1) 분석 목적 142

2) 분석 대상 143

2. 국내 최고경영자 교육 프로그램의 현황 및 비교분석 147

1) 프로그램 선정 및 분석 기준 147

2) 최고경영자 교육 프로그램 현황 149

3. 최고경영자 교육 프로그램 분석을 통한 문제점 도출 190

1) 교육의 장기적 방향 정립을 위한 교육 목표 부재 192

2) 리더십 교육을 위한 핵심역량 설정 부재 193

3) 교과과정 내 전략적 사고와 문화적 사고의 괴리 194

4) 이론적 추론영역에 국한된 측면 197

5) 학습자 상황 분석을 위한 수요반영 체계 미비 199

V. 문화적 특성에 기반을 둔 리더십 교육의 발전 방안 201

1. 교육의 목표와 방향 정립 202

1) 교육의 목표 202

2) 교육의 방향 205

2. 교육을 위한 핵심역량 설정 207

1) 리더의 개인적 자질 209

2) 조직 차원의 리더십 역할 220

3.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안 237

1) 교수체제개발의 모형을 활용한 개발 방안 237

2) 학습자 상황에 적합한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수요 분석 240

3) 전략적 사고와 문화적 사고가 융합된 교육과정 설계 244

4) 경험과 실천의 총체성이 반영된 교육과정 실행 및 평가 251

VI. 결론 258

참고문헌 262

Abstract 271

표목차

〈표 1〉 리더십의 개념에 관한 연구 요약 34

〈표 2〉 현대 리더십 이론의 전개 75

〈표 3〉 리더십 상황이론 요약 80

〈표 4〉 현대 리더십 이론 요약 82

〈표 5〉 윤리적 리더십(Ethical Leadership) 주요 이론 110

〈표 6〉 윤리적 추론 능력의 3단계 111

〈표 7〉 기업 내 상징 활동 118

〈표 8〉 리더가 문화를 형성하는 방식 131

〈표 9〉 국내 최고위과정 개설 현황 151

〈표 10〉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최고경영자과정 과정 구성 155

〈표 11〉 고려·연세대학교 최고경영자 교육 과정 커리큘럼 158

〈표 12〉 서울대학교 인문·예술·리더 관련 최고위 과정 159

〈표 13〉 국제대학원 글로벌최고경영자과정 커리큘럼 160

〈표 14〉 행정대학 창의혁신공공리더과정 커리큘럼 161

〈표 15〉 법과대학 제 25기 최고지도자과정 커리큘럼 162

〈표 16〉 인문대학 최고지도자 인문학과정 165

〈표 17〉 인문대학 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커리큘럼 166

〈표 18〉 미술관 소프트파워 사회지도자를 위한 예술문화과정 커리큘럼 167

〈표 19〉 한국예술종합학교의 최고경영자문화예술과정 커리큘럼 168

〈표 20〉 사기업 최고경영자 교육 프로그램 모듈 171

〈표 21〉 멀티캠퍼스 SERI 리더십·교육/인문·라이프 부분 프로그램 172

〈표 22〉 중앙일보-'J포럼' 프로그램 174

〈표 23〉 한국 생산성 본부 'CEO 북클럽' 14기 교육 과정 178

〈표 24〉 리더십·코칭 교육 과정 로드맵 180

〈표 25〉 중소기업 CEO 학교 전체 커리큘럼 183

〈표 26〉 창조혁신 CEO 아카데미 제 9기 커리큘럼 185

〈표 27〉 대학·사기업·공기관의 최고위과정 프로그램 요약 190

〈표 28〉 리더십의 예술성 218

〈표 29〉 조직 의례의 종류 235

그림목차

〈그림 1〉 리더십 교육의 문화적 특성 활용의 현황 149

〈그림 2〉 리더십 교육모형 209

〈그림 3〉 경쟁가치모형의 리더십 유형 223

〈그림 4〉 응집력에 따른 문화적 유형 224

〈그림 5〉 ADDIE 모형에 따른 리더십 교육 과정 개발 절차 240

초록보기

 조직은 조직을 운영하고 관리하는 지도자들과 이들을 따르는 조직 구성원들과의 상호 소통과 협력을 통해 공동의 성과를 달성하고자 한다. 이러한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 요구되는 조직의 핵심적인 경쟁력 중 지도자의 리더십은 조직을 구성하고 구성원들의 사고와 행동에 결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이다. 이러한 조직의 리더십과 관련된 연구는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산업혁명과 맞물려 조직의 효율성과 생산성에 초점이 맞춰 발전하였다. 제레미 리프킨에 따르면 현대문명은 개방·상생·협력의 새로운 패러다임인 공유경제와 공감의 시대로 변화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의 흐름에 따라 현대조직의 경쟁력은 수평적·분산적 권력구조 속에서 경쟁력과 생존 전략을 찾아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현재 조직의 변화하는 경쟁력에 부합하는 조직의 리더십에 대한 요구가 더욱 커지고 있다.

리더십에 대한 새로운 접근은 현대 조직의 급변하는 경영환경과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관점에서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특히 조직의 실증주의적 인식론에 대한 비판에서 출발한 포스트모더니즘 조직연구들은 조직현상의 불확실성, 드러나지 않는 변수, 조직 구성원인 인간이 가지는 불명확한 의도 등에 주목하는데 현대 리더십은 이러한 조직에 대한 이해를 필요로 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조직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리더십의 함양은 기존 리더십 교육으로 학습하기에는 부족한 측면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대 리더십의 다양한 담론을 통해 문화적 특성을 밝히고 이를 기반으로 둔 리더십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리더십의 문화적 특성을 밝히기 위한 방법으로 리더십 연구의 기초가 되는 리더십의 역사적 흐름을 살펴보았다. 오늘날 산업혁명과 세계 2차 대전 이후 형성된 현대적 개념의 리더십이 주로 경영적 측면에서 효율성과 생산성에 중점을 두었다면 이전의 리더십 연구는 동·서양 모두 '제왕학', '군주론'등의 정치사상에 대한 연구에 가까웠다. 동·서양의 역사적 리더들의 리더십은 시대를 초월하여 전해지고 있으며, 주요사상가들의 리더십 연구들은 끊임없이 재해석되고 있다. 따라서 현대 사회에서 리더십을 이해하는 것과 관련된 담론과 전문적인 학문이 등장한 것은 역사적으로 길지 않다. 리더십이라는 현대사회의 새로운 문화적 산물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철학적 방식의 접근이 매우 중요한 것이며, 기존의 리더십의 명제인 "리더가 무엇을 해야 하는가?"에서 "리더란 무엇인가?"라는 명제로 돌아와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리더십을 새로운 관점에서 이해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역사적으로 중요한 지도자들의 리더십의 바탕이 된 철학자나 사상가들의 리더십 연구를 살펴보았다.

현대 리더십 담론은 인간의 보편적인 경험이 되고 있는 조직 현상에 대한 이해의 중요성이 증대되면서 조직에 대한 연구가 다양한 방향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패러다임의 다양성으로 그 논의가 확장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의 리더십 연구라고 할 수 있는 기업 및 산업인류학, 상징과 은유의 텍스트로서의 조직, 조직문화의 관리적 차원의 리더십 연구, 리더십의 정서적 기능의 이론들은 리더십이 조직을 구성하는 수단으로서의 자본, 설비, 기술들처럼 과학적 원리나 이론에 따라 효율적으로 정량화되거나 측정할 수 있는 차원을 넘어서기 때문에 조직을 하나의 은유로 이해하고 이를 통해 조직현상의 복잡성과 모순을 이해하기 위한 새로운 시선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러한 리더십의 논의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리더십의 문화적 특성을 크게 윤리적·정치적·상징적 특성으로 분류하고 이러한 리더십의 문화적 특성이 조직에서 발휘되고 있다는 것을 도출하였다. 또한 리더십은 조직문화를 관리하는 차원에서의 변화와 혁신과 통합과 창조의 기능을 수행한다는 점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리더십의 특성과 기능을 이해하여 리더십을 발휘하는 실제 활용사례를 통해 살펴보았다.

위와 같은 문화적 특성에 기반을 둔 리더십은 현대 조직의 리더들에게 요구되는 새로운 역량이라고 할 수 있지만 실제 조직의 리더들에게 이러한 문화적 소양을 단기간에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어려운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함양하고 실제 조직에서 발휘할 수 있는 교육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국내 리더십 교육의 현황의 분석을 통해 문화적 특성에 기반을 둔 리더십을 함양할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조직의 문화의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는 최고경영자들을 대상으로 한 리더십 교육의 사례들을 통해 이러한 교육목표가 수행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국내 최고경영자를 대상으로 한 리더십 교육은 주로 대학, 사기업, 공기관 등의 교육기관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었다. 각 기관의 교육은 운영방식과 교육내용에서 차이점을 두고 있지만 주로 생산성과 효율성 중심의 전략적 차원의 리더십 함양에 그 목적을 두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새로운 차원인 문화적 특성에 기반을 둔 리더십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으로써의 기존 리더십 교육의 한계와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이는 교육의 장기적 방향 정립을 위한 교육 목표 부재, 리더십 교육을 위한 핵심역량 설정 부재, 전략적 사고와 문화적 사고의 괴리, 이론적 추론영역에 국한된 측면, 개인과 조직의 문화적 리더십 수요 반영 체계 미비 등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리더십 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는 문화적 특성에 기반을 둔 리더십 교육의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기존 리더십 교육의 문제점을 극복하는 문화적 특성에 기반을 둔 리더십 교육의 발전방안을 위해 교육의 목표와 방향을 정립하여 정기적인 리더십 교육을 위한 정립을 도모하고, 집중적으로 육성되어야 할 교육의 핵심역량 설정을 통해 리더십 교육을 위한 구성요인들을 도출한다. 또한 ADDIE 교수체제개발모형의 체제를 중심으로 전략적 사고와 문화적 사고가 융합된 교과과정 개발을 위한 방안과 경험과 실천의 총체성이 반영된 교육과정의 실행을 통해 이론적 추론영역에 국한된 리더십 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리더십의 문화적 특성과 기능을 바탕으로 경영학과 인문학이 융합된 통합교과과정 개발 사례와 이를 실행하기 위한 유효한 학습 이론과 교육방법 등을 소개하여 리더십의 목표와 방향을 정립하고 이를 기반으로 핵심역량을 설정한 후에 조직의 활동과 연계되어 개선될 수 있는 운영 전략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가장 큰 특징은 현대 리더십의 발전방안을 리더십의 문화적 특성 분석에 기반을 둔 교육목표와 방향 및 핵심역량 설정, 그리고 프로그램 개발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가 제시한 리더십 교육의 발전방안은 현대 조직의 리더들로 하여금 조직 경쟁력에 부합하는 리더의 개인차원의 자질 함양을 모색하고, 나아가 조직 차원의 리더십 역할을 수행하게 하여 조직전반에 변화와 혁신의 문화를 불어넣는데 기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