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I. 부여 능산리사지 출토 등잔 내 유기 잔여물 분석을 통한 백제시대 연료 추정 9

1. 서론 9

1) 유적지에서 발견된 유기 잔여물의 화학적 분석 9

2) 우리나라에서 사용된 등잔과 기름 11

3) 국내에서 연구된 고고시료의 화학적 연구 12

2. 재료 및 방법 13

1) 분석 대상 13

2) 시료 채취 15

3) 전지질 추출 15

4) 유도체화 반응 18

5) GC/MS 분석 19

3. 결과 20

1) 등잔 내 유기 잔여물의 전지질 추출 20

2) 유도체화 반응을 통한 전지질 분석 20

3) 유도체화 반응을 통한 지방산 분석 25

4. 고찰 32

5. 결론 39

II. 조선시대 인골의 탄소, 질소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통한 식생활 복원 41

1. 서론 41

1) 과거 식생활 복원에 활용되는 뼈 콜라겐의 안정동위원소 분석 41

2) 이전에 진행된 조선시대 식생활 연구 42

2. 재료 및 방법 44

1) 분석 대상 44

2) 인골 전처리 50

3)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 분석 50

3. 결과 51

1) 뼈 콜라겐의 보존 상태 51

2) 뼈 콜라겐의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 분석 결과 52

4. 고찰 71

1) 지리적 차이에 따른 식생활 양상 비교 71

2) 연령에 따른 식생활 양상 비교 72

3) 성별에 따른 식생활 양상 비교 76

4) 매장양식에 따른 식생활 양상 비교 86

5) 조선시대 출토 인골 연구를 통한 종합적인 식생활 양상 비교 88

6) 조선시대와 일본 에도시대 인골의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 분석 결과 비교 95

5. 결론 98

참고문헌 100

국문초록 114

ABSTRACT 117

표목차

Table 1. 부여 능산리사지 출토 등잔에서 채취한 유기물 시료의 정보와 분석 결과 21

Table 2. GC 크로마토그램을 통한 hexadecanoic acid와 octadecanoic acid의 비... 35

Table 3. 중부 지역에서 출토된 조선시대 인골의 안정동위원소 분석 결과 53

Table 4. 조선시대 합장묘에서 출토된 남녀의 안정동위원소 분석 결과 83

Table 5. 한국에서 출토된 인골과 머리카락의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 평균값 90

Table 6. 선행 연구된 일본 에도시대 인골의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 평균값 96

그림목차

Fig. 1. 등잔이 출토된 부여 능산리사지의 위치 14

Fig. 2. 초석을 노출시킨 후 3건물지 평면도(좌)와 등잔의 출토 상태(우) 16

Fig. 3. 분석 대상인 부여 능산리사지 출토 등잔(15점) 17

Fig. 4. 능1 시료의 TMS 유도체에 대한 GC/MS 분석 결과 23

Fig. 5. 소나무과 수지의 지표물질로 쓰이는 dehydroabietic acid 25

Fig. 6. 메틸에스터 유도체화 시료의 GC/MS 분석 결과 27

Fig. 7. 본 연구의 대상이 된 조선시대 인골의 출토 지역 45

Fig. 8. 중부지역에서 출토된 조선시대 인골의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 분석 결과 69

Fig. 9. 중부지역에서 출토된 조선시대 인골의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 평균값 70

Fig. 10. 중부지역에서 출토된 조선시대 인골 콜라겐의 지리적 차이에 따른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 분석 결과와 평균값 73

Fig. 11. 중부지역에서 출토된 조선시대 인골 콜라겐의 연령대별 탄소(위)와... 74

Fig. 12. 중부지역에서 출토된 조선시대 인골의 DNA 분석에 의한 성별 판별에 따른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 분석 결과와... 77

Fig. 13. 중부지역에서 출토된 조선시대 인골의 체질인류학 분석에 의한 성별 판별에 따른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 분석 결과... 78

Fig. 14. 중부지역에서 출토된 조선시대 인골의 성별 판별에 따른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 분석 결과와 평균값 79

Fig. 15. 조선시대 합장묘에서 출토된 남성과 여성 피장자의 탄소와 질소 안정... 85

Fig. 16. 중부지역에서 출토된 조선시대 인골 콜라겐의 매장 양식에 따른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 분석 결과와 평균값 87

Fig. 17. 조선시대 출토 인골의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 평균값 93

Fig. 18. 한국 출토 인골의 시대별 안정동위원소 분석 결과와 평균값 94

Fig. 19. 한국 조선시대 출토 인골과 일본 에도시대 출토 인골의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 평균값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