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 요약 8

1. 서론 10

1.1. 연구목적 및 필요성 10

1.2. 연구 대상 11

1.3. 선행연구 검토 14

1.3.1. 국어학적 연구 14

1.3.2. 한국어 교육적 연구 15

1.3.3. 한·중 대조적 연구 16

2. 이론적 배경 18

2.1. 이유 표현의 개념 18

2.2. 한국어 이유표현의 선정 20

2.3. 한국어 이유 표현의 특징 25

2.3.1. 통사적 특징 25

2.3.2. 의미·화용적 특징 42

3. 중국인 학습자 이유 표현에 대한 인지도 조사 50

3.1. 조사 대상 및 방법 50

3.2. 오류 통계 결과 51

3.3. 오류 결과 분석 53

3.4. 소결론 61

4. 한국어 교재 분석 64

4.1. 교재 『대학 한국어』에 대한 분석 64

4.2. 교재 『대학 한국어』와 한국 교재의 비교 75

4.2.1. 제시 단계 비교 75

4.2.2. 제시 순서 비교 76

4.2.3. 문법 설명 비교 78

5. 이유 표현의 교육 내용 85

5.1. 중국어 대응 표현 85

5.1.1. 한·중 병렬말뭉치에서의 출현 빈도 85

5.1.2. 이유 표현의 한·중 대응 양상 86

5.2. 이유 표현의 교육 내용 95

(1) -아/어서 96

(2) -(으)니까 96

(3) '-아/어서'와 '-(으)니까'의 구분 97

(4) -기 때문에 98

(5) -느라고 98

(6) -는 바람에 99

(7) '-느라고'와 '-는 바람에'의 구분 100

(8) -길래 101

6. 결론 103

참고문헌 106

부록 110

ABSTRACT 113

〈표1〉 한·중 드라마 병렬말뭉치 13

〈표2〉 국어학에서의 이유를 나타낸 연결어미의 목록 20

〈표3〉 한국어 교육과 학습사전에서의 이유표현의 목록 20

〈표4〉 이유표현의 통사적·문법 형태별 분류 21

〈표5〉 한국어 교재에서 제시된 이유표현 항목 22

〈표6〉 한국어 교재에서 제시된 이유 표현의 중복도 23

〈표7〉 이유 표현의 빈도수(1위-20위) 23

〈표8〉 이유 표현의 통사적 특징 41

〈표9〉 오류 통계 결과 51

〈표10〉 교재별 이유 표현의 제시 단계 75

〈표11〉 교재별 이유 표현의 제시 순서 76

〈표12〉 병렬말뭉치에서 이유 표현의 출현 빈도 85

〈그림 1〉 한·중 드라마 병렬말뭉치 14

초록보기

본 연구는 중국에 거주하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유사한 이유 표현들을 구분할 수 있도록 이유 표현의 교육 내용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연구 방법을 밝히고 선행 연구를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서 중국에 거주하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이유 표현에 대한 학습현황과 그들을 위한 이유 표현의 교육 내용을 연구할 필요가 있음을 밝혔다.

2장에서는 먼저 이유 표현의 개념에 대해 살펴보고 한국에서 출판된 6권의 교재에서 제시하는 '이유 표현'의 중복도와 최영롱(2014)에서 제시한 21세기 세종 말뭉치에서는 나타내는 '이유 표현'의 빈도수를 기준으로 연구 대상이 되는 '이유 표현'의 목록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표현들을 통사적 의미·화용적인 특징으로 정리하였다.

3장에서는 정리한 '이유 표현'의 특징을 기준으로 설문을 만들고 중국 대학의 한국어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인지도 조사를 하였다.

4장에서는 인지도 조사 대상의 학생들이 사용하고 있는, 중국에서 출판한 교재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재에서는 이유 표현의 의미·화용적 특징에 대한 설명이 부족하다고 보았으며, 이는 학생들의 이유 표현에 대한 오류를 범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고 밝혔다. 이에 교재의 이유 표현에 대한 설명이 보완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어 조사 대상 학생들이 사용하는 교재와 한국 기관에 사용하는 교재를 비교하여 조사 대상 학생들이 사용하는 교재에서 제시하는 이유 표현에 대한 설명의 문제점도 정리하였다.

5장에서는 한·중 병렬말뭉치를 이용하여 선정된 이유 표현의 한·중 대응양상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기 때문에'와 선행절에 의문사를 포함하는 '-길래'가 대응하는 중국어를 찾을 수는 있지만 '아/어서', '-(으)니까'는 중국어에서 자주 무표지로 나타냈다는 것을 확인하여, 기존의 문어 말뭉치를 이용하는 연구의 결과와 차이가 난다는 사실을 밝혔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위에서 정리한 내용을 바탕으로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이유 표현의 교육 내용을 제시하였다.

6장에서는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정리된다. 첫째, 중국에 있는 한국어 중급 학습자가 유사한 이유 표현들 간의 의미를 잘 구분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유 표현에 대한 오류가 나타난다. 둘째, 조사 대상의 학생들이 사용하는 교재에서 제공하는 이유 표현의 통사적, 의미·화용적 정보가 부족하여 학생들이 이유 표현에 대한 오류를 많이 범하게 된다. 이에 교재에서 제시된 이유 표현에 대한 설명은 보완해야 한다. 셋째, 앞서 말한 중국인 학습자가 유사한 이유 표현의 의미를 구분하는 데 어려움을 겪으므로 교육할 때에 학습자가 유사한 이유 표현의 의미를 구분할 수 있도록 각 이유 표현의 의미를 섬세하게 설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