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요약

목차

I. 서론 16

1. 유기농업의 태동과 발전 16

2.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7

3. 연구범위와 연구방법 19

4. 선행 연구 고찰 20

II. 유기농업 현황과 산업의 변화 21

1. 한국 유기농업 현황 22

1.1. 유기농산물 생산 추이 22

1.2. 유기농·축산물 인증현황 24

1.3. 유기농산물 시장규모 전망 27

2. 주요국가 유기농업 현황 27

3. 유기농 산업의 발전 31

4. 유기농 산업의 진화추세 37

III. 국내외 유기농 교육의 현황 41

1. 한국 유기농 교육의 역사 41

2. 국내 유기농 교육의 현황 42

3. 국내 유기농 교육의 문제점 46

4. 해외 유기농 교육의 현황 48

IV. 유기농 선진국의 대학 유기농 교육 53

1. 독일의 유기농 대학교육 53

1.1. Kassel 대학교 유기농업대학 54

1.2. Bonn 대학교 유기농업학과 63

1.3. Giessen 대학교 농업생태학 및 자원경영연구소 65

1.4. Hohenheim 대학교 유기농업석사과정 67

2. 영국의 유기농 대학교육 76

2.1. Scotland 유기농업대학원 76

2.2. Wales 유기농대학교 78

3. 네덜란드의 유기농 대학교육 80

3.1. Wegenigen 대학교 유기농업학과 81

V. 우리나라 유기농대학교의 설립·운영과 기대효과 82

1. 유기농대학교의 설립 82

1.1. 추진배경 82

1.2. 설립 필요성 84

1.3. 설립 목적 88

2. 교육체계 및 행정체계 90

2.1. 대학의 구성 91

2.2. 조직구조 93

2.3. 과정별 모집정원 97

2.4. 외국인 교수의 유치 99

2.5. 정규과정(학부과정 및 석·박사과정) 102

2.6. 마이스터대학의 전문학사과정 114

2.7. 마이스터대학의 기능장과정 123

2.8. 유기농 귀농학교 128

2.9. 유기농대학교 단기심화과정 144

3. 유기농대학교의 산학협력 부대사업 151

4. 유기농대학교 운영에 따른 기대효과 153

VII. 결론 및 제언 154

1. 요약 및 결론 154

2. 연구의 한계 및 제언 156

참고문헌 158

부록 167

〈부록-1〉 세계 유기농경지 면적 현황표(2014) 168

〈부록-2〉 세계 유기농경지 면적 비율(2014) 170

〈부록-3〉 세계 유기농식품 1인당 소비액(2014) 172

〈부록-4〉 유기농대학교의 부대사업 활성화 방안 174

〈부록-5〉 유기농대학교의 안정적 재정확보 및 발전 방안 202

Abstract 211

표목차

〈표-1〉 친환경농산물 생산 현황표(2006-2014) 22

〈표-2〉 주요국가의 유기농경지 면적 및 비율(2014) 24

〈표-3〉 친환경농축산물 인증 현황(2015) 24

〈표-4〉 유기농산물 인증현황(2009-2014) 25

〈표-5〉 유기축산물 인증현황(2010-2014) 25

〈표-6〉 유기가공식품 인증현황(2010-2014) 26

〈표-7〉 유기농산물 및 축산물 분류별 출하량(2015) 26

〈표-8〉 유기농산물 시장규모 전망 27

〈표-9〉 주요국가 유기식품 판매 현황(2013) 32

〈표-10〉 덴마크 유기 행동계획 실천계획(2015-2018) 33

〈표-11〉 세계 유기농업 주요 지표(2014) 34

〈표-12〉 단계별 유기농산업의 발전과정 38

〈표-13〉 제품별 유기농 서비스산업 적용 예시 40

〈표-14〉 국내 농과계열 대학 현황 - 50개 대학(2009년 12월 기준) 43

〈표-15〉 지자체별 유기농업 또는 친환경 담당부서 설치 여부 45

〈표-16〉 농업관련 연구소 설치 현황 46

〈표-17〉 전 세계 유기농 관련 교육 실시 대학 현황(2010 1월 기준 48

〈표-18〉 Kassel 대학교 유기농업대학 학부 현황 55

〈표-19〉 Kassel 대학교 학사과정 및 석사과정 56

〈표-20〉 Kassel 대학교 학사과정 교육과정표 57

〈표-21〉 Bonn 대학교 연구분야 64

〈표-22〉 Giessen 대학교 교육과정표 66

〈표-23〉 Hohenheim 대학교 유기농업석사과정 68

〈표-24〉 Hohenheim 대학교 단수학위 교과과정 69

〈표-25〉 Hohenheim 대학교 단수학위 필수 수업과정 예시-1 71

〈표-26〉 Hohenheim 대학교 단수학위 필수 수업과정 예시-2 71

〈표-27〉 Hohenheim 대학교 단수학위 선택 수업과정 예시 72

〈표-28〉 Hohenheim 대학교 파트너 대학교 수업과정 예시-1 73

〈표-29〉 Hohenheim 대학교 파트너 대학교 수업과정 예시-2 74

〈표-30〉 Hohenheim 대학교 파트너 대학교 수업과정 예시-3 74

〈표-31〉 Hohenheim 대학교 파트너 대학교 수업과정 예시-4 75

〈표-32〉 Hohenheim 대학교 파트너 대학교 수업과정 예시-5 75

〈표-33〉 Hohenheim 대학교 파트너 대학교 수업과정 예시-6 75

〈표-34〉 스코틀랜드 유기농업대학 업무내용 77

〈표-35〉 Wales 애버리스트위스 대학교 교과과정 79

〈표-36〉 유기농대학교 구성인원표 94

〈표-37〉 유기농대학교 과정별 입학생 모집정원표 97

〈표-38〉 유기농대학교 외국인교수 위촉 가능자 명단 100

〈표-39〉 유기농대학교 외국인 교수 강의 방안 및 운영비 102

〈표-40〉 유기농대학교 유기농 작물생산학과 교육과정표 102

〈표-41〉 유기농대학교 유기농 원예학과 교육과정표 105

〈표-42〉 유기농대학교 유기축산물가공학과 교육과정표 107

〈표-43〉 유기농대학교 유기농 수산학과 교육과정표 110

〈표-44〉 유기농대학교 유기식품가공학과 교육과정표 112

〈표-45〉 마이스터대학 전문학사과정 유기제과제빵과정 교육과정표 116

〈표-46〉 마이스터대학 전문학사과정 유기육가공과정 교육과정표 118

〈표-47〉 마이스터대학 전문학사과정 유기유가공과정 교육과정표 120

〈표-48〉 마이스터대학 전문학사과정 유기발효식품과정 교육과정표 122

〈표-49〉 마이스터대학 기능장과정 입학 시 필요한 경력조건 124

〈표-50〉 마이스터대학 기능장과정 유기제과제빵과정 교육과정표 124

〈표-51〉 마이스터대학 기능장과정 유기육가공과정 교육과정표 125

〈표-52〉 마이스터대학 기능장과정 유기유가공과정 교육과정표 126

〈표-53〉 마이스터대학 기능장과정 유기발효식품과정 교육과정표 127

〈표-54〉 유기농귀농학교 유기원예반 교육과정표 130

〈표-55〉 유기농귀농학교 유기축산반 교육과정표 132

〈표-56〉 유기농 귀농학교 유기가공반 교육과정표 135

〈표-57〉 유기농 귀농학교 유기약용식물반 교육과정표 139

〈표-58〉 유기농 귀농학교 유기발효식품반 교육과정표 142

〈표-59〉 유기농 최고전문가과정 생산자반 교육과정표 145

〈표-60〉 유기농 최고전문가과정 소비자반 교육과정표 146

〈표-61〉 바우처교육과정 유기벼재배 심화과정 교육과정표 148

〈표-62〉 바우처교육과정 유기채소재배 심화과정 교육과정표 148

〈표-63〉 바우처교육과정 유기과수재배 심화과정 교육과정표 149

〈표-64〉 바우처교육과정 유기축산 심화과정 교육과정표 149

〈표-65〉 바우처교육과정 유기가공 심화과정 교육과정표 150

〈표-66〉 바우처교육과정 유기농업 병충해제어 심화과정 교육과정표 151

그림목차

[그림-1] 유기농산물 생산 추이 그래프(2006-2014) 23

[그림-2] 대륙별 유기농경지 면적(2014) 28

[그림-3] 세계 유기농경지 면적 및 분포 현황 29

[그림-4] 대륙별 유기농경지 면적의 변화 추이 30

[그림-5] 상위 10개국 유기농경지 면적 및 비중(2014) 30

[그림-6] 세계 유기식품시장 성장 추이(1999-2014) 31

[그림-7] 국가별·대륙별 유기농식품 소매 비중(2014) 32

[그림-8] 주요국가 유기식품 소비액 현황(2014) 36

[그림-9] 웨일즈대학교 유기농센터 80

[그림-10] 유기농업 추진 시 어려운 점에 관한 설문조사 83

[그림-11] 대학 입학자원 규모 전망 및 입학정원 변화 추이 85

[그림-12] 대학 전공분야별 인력수급전망(2014-2024) 86

[그림-13] 유기농대학교의 개설 과정 91

[그림-14] 유기농대학교의 정규과정 단과대학 및 학과 92

[그림-15] 유기농대학교의 조직구조 93

[그림-16] 독일 제과제빵학교 강의 및 실습 장면 115

[그림-17] 독일 란츠후트 소재 바이에른 육가공기술학교 강의 장면 117

[그림-18] 독일 켐프텐 소재 유가공교육연구센터의 치즈제조 실습 장면 120

[그림-19] 유기농 귀농학교의 교육목표 129

[그림-20] 독일 유기농 치즈농가에서의 현장실습 135

[그림-21] 독일 젤리겐슈타트 소재 수도원의 허브가든 139

[그림-22] 유기농 와인 숙성고 및 와인 양조학과 현장수업 장면 1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