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序論 9
II. 宋詩와 宋詩意圖 15
1. 宋詩의 개요 15
2. 中國의 宋詩意圖 21
3. 朝鮮 前半期 宋詩意圖 35
III. 朝鮮 後期의 화단과 宋詩意圖 제작 53
1. 宋詩意圖의 제작배경 53
1) 중국 詩·文集의 수입과 재출간 53
2) 中國 畵譜의 전래와 수용 59
3) 明代 吳派畵風의 유행과 《千古最盛帖》 70
2. 文人畵家와 職業畵家의 표현상의 차이 77
3. 奎章閣 差備待令畵員 祿取才 운영 89
IV. 朝鮮 後期 宋詩意圖의 유형과 전개 97
1. 秋聲賦圖 98
2. 赤壁賦圖 105
3. 山靜日長圖 115
4. 武夷九曲圖 122
5. 醉翁亭圖 133
6. 기타 137
1) 사계절 정취 느낄 수 있는 詩 137
2) 邵雍의 고사 「花外小車」 139
3) 鄭顥의 詩 「春日偶成」 142
4) 蘇軾의 고사 「觀棋」 143
V. 朝鮮後期 宋詩意圖의 특징과 의의 146
VI. 結論 152
참고문헌 196
부록 212
부록 1. 朝鮮時代 宋詩意圖 주제별 작품목록 212
부록 2. 朝鮮時代 화가별 宋詩意圖 제작양상 216
Abstract 222
圖 1. 喬仲常, 〈後赤壁賦圖〉(부분), 1123 이전, 紙本水墨, 29.3x560.4㎝, Nelson Atkins Museum 161
圖 2. 武元直, 〈赤壁圖〉, 1128 이전, 金, 紙本水墨, 50.8x136.8㎝, 故宮博物院 161
圖 3. 馬和之, 〈後赤壁賦圖〉, 南宋, 絹本淡彩, 25.8x143.0㎝, 北京故宮博物院藏 161
圖 4. 李崇, 〈前赤壁賦圖〉, 南宋, 絹本設彩, 24.8x26.0㎝, Nelson Gallery 162
圖 5. 吳鎭, 〈後赤壁賦圖〉, 14세기 초, 元, 絹本設彩, 109.1x60.3㎝, 故宮博物院 162
圖 6. 文徵明, 〈後赤壁賦圖〉, 1526, 絹本彩色, 31.4x674.0㎝, 北京故宮博物院 162
圖 7. 文徵明, 〈倣趙伯肅後赤壁賦圖〉, 1548, 絹本設彩, 31.5x541.6㎝, 臺北故宮博物院 162
圖 8. 文徵明, 〈赤壁勝遊圖〉, 1552, 30.5x141.5㎝, Freer Gallery of Art 163
圖 9. 文嘉, 〈赤壁賦圖〉, 1580, 紙本彩色, 25.9x299.7㎝, 上海博物館 163
圖 10. 文伯仁, 〈前赤壁賦圖〉, 明, 金箋設色, 16.9x52.2㎝, 上海博物館 163
圖 11. 文伯仁, 〈後赤壁賦圖〉, 1570, 金箋設色, 17.1x52.5㎝, 上海博物館 163
圖 12. 陸治, 〈後赤壁賦圖〉, 1558, 紙本彩色, 22.9x106.1㎝, 上海博物館 163
圖 13. 錢穀, 〈赤壁賦圖〉, 1565, 金箋設色, 15.2x47.3㎝, 北京故宮博物院 163
圖 14. 文徵明(書)·顧大典(畵), 〈後赤壁賦圖〉, 1592, 紙本淡彩, 25.0x16.8㎝, 臺北故宮博物院 163
圖 15. 王守(書)·文徵明(畵), 〈秋聲賦圖〉, 1547, 絹本設色, 24.7x119.2㎝(畵), 上海博物館 164
圖 16. 唐寅, 〈秋聲圖〉, 明, 絹本水墨, 15.4x59.1㎝, 日本 泉屋博古館 164
圖 17. 華巖, 〈秋聲賦意圖〉, 淸, 紙本淡彩, 94.0x113.5㎝, 大阪市立美術館 164
圖 18. 文徵明, 〈醉翁亭記書畫合璧圖〉, 1551, 紙本彩色, 27.7x91.5㎝, 廣州市美術館 164
圖 19. 文徵明, 〈行書醉翁亭記〉, 1537, 紙本墨筆, 47.0x1500㎝, 瀋陽故宮博物院 165
圖 20. 謝時臣, 〈醉翁亭圖〉, 1559, 絹本彩色, 27.1x112.4㎝, 臺北故宮博物院 165
圖 21. 張宏, 〈醉翁亭圖〉, 《名勝圖帖》, 17세기, 紙本彩色, 30.3x23.6㎝, 국립중앙박물관 165
圖 22. 文嘉, 〈山靜日長圖〉, 1577, 紙本彩色, 22.0x143.0㎝, 山東省濟南市博物館 166
圖 23. 唐寅, 《山靜日長圖12冊》, 1519, 재질 크기 미상, 대만 166
圖 24. 李요, 〈一片魚舟圖〉, 15.6x28.8㎝, 서울대학교박물관 166
圖 25. 魚夢龍, 〈墨梅圖〉, 絹本水墨, 20.3x13.5㎝, 간송미술관 166
圖 26. 魚夢龍, 〈墨梅圖〉, 絹本水墨, 19.0x12.7㎝, 개인 소장 166
圖 27. 작가미상, 〈赤壁圖〉, 15세기 후반, 絹本淡彩, 161.2x101.8㎝, 국립중앙박물관 167
圖 28. 傳 李澄, 〈後赤壁賦圖〉, 絹本彩色, 128.3x69.1㎝, 국립중앙박물관 167
圖 29. 작가 미상, 〈武夷九曲之圖〉, 1577이전, 紙本淡彩, 족자: 156.0x87.0㎝, 그림:123.0x73.0㎝, 雲章閣 소장 167
圖 30. 작가 미상, 『福建通志』, 〈武夷山圖〉 167
圖 31. 작가 미상, 『武夷山志』, 〈九曲全圖〉 168
圖 32. 작가 미상, 〈武夷九曲圖〉, 17세기, 紙本淡彩, 112.5x93.3㎝, 호림박물관 168
圖 33. 李成吉, 〈武夷九曲圖〉, 1592, 絹本淡彩, 33.5x398.5㎝, 국립중앙박물관 168
圖 34. 『海內奇觀』, 「武夷山圖」 168
圖 35. 작가 미상, 〈朱文公武夷九曲圖〉, 1565년경, 紙本淡彩, 34.7x587.7㎝, 영남대박물관 169
圖 36. 『芥子園畵傳』 初集, 卷5, 「摹倣名家畵譜」, 宮紈式, 〈米友仁〉 169
圖 37. 尹용, 〈蒸山深靑圖〉, 絹本水墨, 26.7x17.7㎝, 서울대학교박물관 169
圖 38. 李昉運, 〈氣蒸深靑圖〉, 紙本水墨, 27.7x38.8㎝, 국립중앙박물관 170
圖 39. 金弘道, 〈騎驢遠遊圖〉, 1790, 紙本淡彩, 28.0x78.0㎝, 간송미술관 170
圖 40. 金弘道, 〈騎驢行旅圖〉, 紙本淡彩, 25.8x22.0㎝, 간송미술관 170
圖 41. 『芥子園畵傳』 初集, 卷5, 「摹倣名家畵譜」, 橫長各式, 〈李公麟〉 170
圖 42. 沈師正, 〈長江疊嶂圖〉, 《倣古山水帖》, 1763, 絹本淡彩, 37.3x61.3㎝, 간송미술관 170
圖 43. 『芥子園畵傳』 初集, 卷3, 「山石譜」, 〈劉松年法〉 171
圖 44. 『詩餘畵譜』, 〈赤壁懷古〉 171
圖 45. 姜世晃, 〈赤壁舟遊圖〉, 紙本淡彩, 33.5x45.0㎝, 간송미술관 171
圖 46. 李在寬, 〈赤壁夜遊圖〉, 개인 소장 171
圖 47. 작가 미상, 〈月下船遊圖〉, 紙本, 24.5x31.5㎝, 동산방화랑 172
圖 48. 朴東普, 〈舟遊觀岩圖〉, 絹本淡彩, 26.0x19.5㎝, 간송미술관 172
圖 49. 『顧氏畵譜』, 〈吳鎭〉 172
圖 50. 姜世晃, 〈江上釣魚圖〉, 1776-1778, 紙本淡彩, 58.0x34.0㎝, 삼성미술관Leeum 172
圖 51. 『顧氏畵譜』, 〈文伯仁〉 173
圖 52. 『詩餘畵譜』, 趙德麟 시 「春景」의 삽도 173
圖 53. 『唐解元倣古今畵譜』, 徐俯의 詩 「春日游湖上」의 삽도 173
圖 54. 姜世晃, 〈晩夏〉, 《四時八景圖》 8폭병풍, 1760, 絹本淡彩, 90.3x45.5㎝, 국립중앙박물관 173
圖 55. 『顧氏畵譜』, 〈文嘉〉 174
圖 56. 申緯, 〈山水圖〉, 紙本水墨, 53.0x30.0㎝, 개인소장 174
圖 57. 『芥子園畵傳』 2集, 「梅譜」 174
圖 58. 『十竹齋書畵譜』, 「梅譜」 174
圖 59. 沈師正, 〈梅月啼禽圖〉, 紙本淡彩, 50.2x20.2㎝, 간송미술관 175
圖 60. 金弘道, 〈梅月圖〉, 紙本淡彩, 138.0x47.0㎝, 개인 소장 175
圖 61. 朱之蕃, 〈行書赤壁賦〉, 上海博物館 175
圖 62. 趙榮석, 〈船遊圖〉, 紙本淡彩, 18.6x35.3㎝, 선문대학교박물관 175
圖 63. 金弘道, 《中國故事圖》 8幅 屛風, 19세기, 絹本淡彩, 각 98.2x48.5㎝, 국립중앙박물관 176
圖 63-1. 〈赤壁夜泛圖〉 176
圖 63-2. 〈武夷歸棹圖〉 176
圖 63-3. 〈融峰醉下圖〉 176
圖 63-4. 〈花外小車圖〉 176
圖 64. 沈師正, 〈赤壁圖〉, 紙本淡彩, 28.5x63.0㎝, 동방화랑 176
圖 65. 姜世晃, 〈武夷九曲圖〉, 1753, 紙本淡彩, 25.5x406.8㎝, 국립중앙박물관 176
圖 66. 金弘道, 《朱夫子詩意圖》 8幅 屛風, 1800, 絹本淡彩, 각 125.0x40.5㎝, 삼성미술관Leeum 177
圖 67. 張文燦 外, 《溫陵奉陵都監稽屛武夷九曲圖》 8幅 屛風, 1739, 絹本彩色, 488.0x150.0㎝, 영남대학교박물관 177
圖 68. 姜世晃, 〈浩歌一棹圖〉, 紙本淡彩, 26.5x20.0㎝, 간송미술관 177
圖 69. 金弘道, 〈疏林野水圖〉, 《山水逸品帖》, 紙本淡彩, 21.8x26.0㎝, 간송미술관 177
圖 70. 劉淑, 〈扁舟歸家圖〉, 紙本淡彩, 41.2x61.3㎝, 개인 소장 178
圖 71. 陸治, 《唐人詩意圖帖》 중 제6엽, 紙本淡彩, 27.6x26.3㎝, 蘇州博物館 178
圖 72. 鄭敾, 〈山妻修飯圖〉, 絹本水墨淡彩, 22.0x15.0㎝, 개인 소장 178
圖 73. 崔北, 〈空山無人圖〉, 紙本淡彩, 36.1x31.0㎝, 개인 소장 178
圖 74. 金弘道, 〈空山無人圖〉, 紙本淡彩, 23.0x27.4㎝, 간송미술관 178
圖 75. 金弘道, 〈水流花開圖〉, 紙本淡彩, 28.8x34.4㎝, 간송미술관 178
圖 76. 金弘道, 〈秋聲賦圖〉, 1805, 絹本淡彩, 20.7x30.7㎝, 호암미술관 179
圖 77. 金弘道, 〈水邊聚雁圖〉, 紙本淡彩, 21.0x27.0㎝, 개인 소장 179
圖 78. 李昉運, 〈武夷精舍圖〉, 紙本淡彩, 29.0x46.0㎝, 개인 소장 179
圖 79. 李昉運, 〈山水圖〉, 1786, 紙本淡彩, 27.4x38.8㎝, 국립중앙박물관 179
圖 80. 李寅文, 〈武夷精舍雜詠〉, 《古松流水館道人眞蹟帖》, 18세기 말-19세기 초, 각 27.6x31.9㎝, 삼성미술관Leum 180
圖 81. 白殷培, 〈秋聲賦圖〉, 1896, 紙本淡彩, 118.3x32.0㎝, 간송미술관 180
圖 82. 傳 趙涑, 〈黃州竹樓〉, 《傳趙涑筆書畵帖》, 18세기 초, 絹本彩色, 22.3x32.2㎝ 180
圖 83. 李命基, 〈米元章拜石圖〉, 19세기 초, 紙本水墨淡彩, 105.7x58.7㎝, 삼성미술관Leeum 180
圖 84. 작가미상, 〈秋聲賦圖〉, 《千古最盛帖》, 17세기 말-18세기 초, 絹本彩色, 26.0x33.5㎝, 국립중앙박물관 181
圖 85. 安中植, 《四季山水圖》 6幅 屛風 중 한 폭, 1910, 絹本水墨淡彩, 145.0x49.0㎝, 개인 소장 181
圖 86. 張承業, 〈秋聲賦圖〉, 絹本淡彩, 34.3x137.2㎝, 간송미술관 181
圖 87. 趙錫晉, 《中國故事圖》 8幅 屛風 중한 폭, 1897, 紙本設彩, 128.0x33.5㎝, 개인 소장 181
圖 88. 〈赤壁賦圖〉, 《千古最盛帖》, 苧本淡彩, 27.0x30.7㎝, 선문대학교박물관 182
圖 89. 작가미상, 〈後赤壁賦圖〉, 《千古最盛帖》, 17세기 말-18세기 초, 絹本彩色, 25.1x34.2㎝, 국립중앙박물관 182
圖 90. 작가미상, 〈後赤壁賦圖〉, 《千古最盛帖》, 19세기 이후, 苧本彩色, 26.0x33.0㎝, 국립중앙박물관 182
圖 91. 梁箕星, 〈赤壁泛舟圖〉, 《萬古奇觀帖》, 紙本彩色, 38.0x30.0㎝, 호암미술관 183
圖 92. 張繼萬, 〈後赤壁賦圖〉, 《萬古奇觀帖》, 紙本彩色, 38.0x30.0㎝, 호암미술관 183
圖 93. 『三才圖會』 地理十卷, 「赤壁山」 183
圖 94. 趙錫晋, 〈赤壁夜遊圖〉, 紙本淡彩, 32.5x22.4㎝, 간송미술관 183
圖 95. 『芥子園畵傳』 初集, 卷4, 「人物屋宇譜」, 〈煎茶式〉 184
圖 96. 長路, 《山水人物帖》 제1엽, 33.0x59.5㎝, Marie Helene and Guy Weill Family Collection 184
圖 97. 王寅, 〈赤壁船遊圖〉, 淸, 19세기 말 184
圖 98. 沈師正, 〈舟遊觀瀑圖〉, 1740, 紙本淡彩, 131.0x70.8㎝, 간송미술관 184
圖 99. 李匡師, 〈高士船遊圖〉, 紙本淡彩, 30.0x26.0㎝, 간송미술관 185
圖 100. 鄭敾, 〈羽化登仙圖〉, 《壬戌漣江帖》, 1742, 絹本淡彩, 33.5x94.2㎝, 개인 소장 185
圖 101. 鄭敾, 〈熊淵繫纜圖〉, 《壬戌漣江帖》, 1742, 絹本淡彩, 53.1x93.8㎝, 개인 소장 185
圖 102. 鄭敾, 〈臨津赤壁圖〉, 紙本淡彩, 58.5x89.8㎝,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186
圖 103. 鄭敾, 〈臨津赤壁圖〉, 絹本水墨, 29.0x19.0㎝, 대림화랑 186
圖 104. 劉淑·安健榮 外, 《百衲圖》 10幅 屛風, 17-19세기, 祕玩古美術精品展 도록, 현 소장처 미상 186
圖 105. 작가미상, 〈鶴林玉露圖〉, 《千古最盛帖》, 苧本淡彩, 27.0x30.7㎝, 선문대박물관 186
圖 106. 작가미상, 〈山靜日長圖〉, 《千古最盛帖》, 17세기 말-18세기 초, 絹本彩色, 26.5x32.4㎝, 국립중앙박물관 187
圖 107. 『芥子園畵傳』 初集, 「名家山水畵譜」, 〈唐寅〉 187
圖 108. 鄭遂榮, 〈山妻修飯圖〉, 紙本淡彩, 22.0x28.5㎝, 개인 소장 187
圖 109. 金喜誠, 《玉露一段畵帖》, 1754, 紙本淡彩, 각 엽 37.0x30.0㎝, 간송미술관 187
圖 109-1. 〈水樓作書圖〉 187
圖 109-2. 〈山妻稚子圖〉 187
圖 109-3. 〈山靜日長圖〉, 188
圖 109-4. 〈山家讀書圖〉 188
圖 109-5. 〈坐弄流泉圖〉 188
圖 110. 李寅文, 《山靜日長圖》 護頭屛風, 1824, 紙本淡彩, 각 51.9x28.6㎝, 간송미술관 188
圖 111. 李寅文, 《山靜日長圖》 6幅 屛風, 紙本淡彩, 각 108.9x44.0㎝, 간송미술관 189
圖 112. 李寅文, 《山靜日長圖》 4幅 屛風, 紙本淡彩, 각 110.4x42.0㎝, 국립중앙박물관 189
圖 113. 李在寬, 〈午睡圖〉, 紙本淡彩, 122.0x56.0㎝, 삼성미술관Leeum 190
圖 114. 李在寬, 〈煎茶圖〉, 紙本淡彩, 122.0x56.0㎝, 개인소장 190
圖 115. 李在寬, 〈稚子供飯圖〉, 紙本淡彩, 122.0x56.0㎝, 간송미술관 190
圖 116. 李在寬, 〈三人邂逅圖〉, 紙本淡彩, 120.6x60.6㎝, 개인 소장 190
圖 117. 許鍊, 〈山水圖〉, 1866, 紙本淡彩, 21.0x60.8㎝, 서울대학교박물관 190
圖 118. 『芥子園畵傳』 初集, 卷5, 「摹倣諸家畵譜」, 摺扇式, 〈黃子久碧溪靑嶂圖〉 191
圖 119. 曺世傑, 《谷雲九曲圖帖》 중제4曲, 〈白雲潭圖〉, 1682, 絹本設色, 42.5x64.0㎝, 국립중앙박물관 191
圖 120. 姜世晃, 〈陶山圖〉, 1751, 紙本淡彩, 26.5x138.0㎝, 국립중앙박물관 191
圖 121. 姜世晃, 《武夷圖帖》 중 제1曲, 1756, 紙本淡彩, 각 27.8x16.8㎝, 개인 소장 191
圖 122. 鄭敾, 《七先生詩畵帖》, 絹本彩色, 각 32.3x21.3㎝, 일본 개인 소장 191
圖 122-1. 鄭敾, 《七先生詩畵帖》 중제6엽, 〈道之全體圖〉 192
圖 123. 鄭敾, 〈武夷櫂歌圖〉, 《謙齋畵》, 絹本水墨淡彩, 30.0x20.3㎝, 우학문화재단 192
圖 124. 李昉運, 〈武夷九曲圖〉, 紙本淡彩, 31.0x41.5㎝, 건국대학교박물관 192
圖 125. 許鍊, 《武夷九曲圖》 10幅 屛風, 1885, 紙本水墨淡彩, 각 104.8x38.0㎝, 개인 192
圖 126. 李源祚, 〈武夷九曲圖〉 제1曲, 『武夷圖志』, 1862, 紙本淡彩, 33.5x27.5㎝, 북비고택 소장 193
圖 127. 權直熙, 〈武夷九曲圖〉, 『錦里集』, 19세기 목판본, 장서각 소장 193
圖 128. 蔡龍臣, 《武夷九曲圖》 10幅 屛風, 1915, 紙本彩色, 각 107.4x37.3㎝, 국립중앙박물관 193
圖 129. 작가미상, 〈醉翁亭圖〉, 《千古最盛帖》, 17세기 말-18세기 초, 絹本彩色, 26.1x33.3㎝, 국립중앙박물관 193
圖 130. 梁箕星, 〈醉亭射奕圖〉, 18세기전반, 紙本彩色, 33.5x29.4㎝, 日本 大和文華館 194
圖 131. 鄭敾, 〈花外小車圖〉, 《謙齋畵》, 絹本水墨淡彩, 30.0x20.3㎝, 우학문화재단 194
圖 132. 劉淑, 〈花外小車圖〉, 《故事人物圖》 병풍, 19세기, 115.5x47.5㎝, 국립중앙박물관 194
圖 133. 鄭敾, 〈訪花隨柳圖〉, 《謙齋畵》, 絹本水墨淡彩, 30.0x20.3㎝, 우학문화재단 194
圖 134. 李漢喆, 〈訪華隨柳圖〉, 紙本淡彩, 131.5x53.0㎝, 국립중앙박물관 195
圖 135. 鄭敾, 〈山水人物圖〉, 絹本彩色, 45.4x31.2㎝, 개인 소장 195
圖 136. 崔北, 〈灞橋詩思圖〉, 紙本淡彩, 20.0x30.0㎝, 개인 소장 195
圖 137. 『芥子園畵傳』 初集, 卷4, 「人物屋宇譜」, 〈雪驢式·騎馬式〉 195
圖 138. 작가 미상, 〈白鶴觀觀棋圖〉, 《中國故事人物圖》 10폭 병풍, 127.8x32.4㎝, 국립중앙박물관 195
〈삽도 1〉 『芥子園畵傳』 初集, 卷4, 「人物屋宇譜」와의 연관성 63
〈삽도 2〉 中國畵譜와의 연관성-1 64
〈삽도 3〉 中國畵譜와의 연관성-2 67
〈삽도 4〉 中國畵譜와의 연관성-3 69
문학과 회화의 결합은 동양회화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오랜 전통이었다. 詩意圖는 古詩를 題材로 하여 그려진 회화작품을 일컫는 것으로 南宋代부터 특히 유행하였는데, 詩人이 언어로 표현한 詩意와 景物을 화가가 자신의 회화적 해석을 통해 시각적으로 화폭에 재창조해낸 것이다. 朱熹에 의해 집대성된 性理學은 조선시대 통치 이념의 기본이 되어 사상·문학·예술 등 각 분야에 투영되었다. 특히 성리학적 세계관을 담고 있는 宋詩의 詩情이 그림에 담길 때 어떻게 畫意와 어우러져 표현되었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의미 있는 시도라 판단된다.
본고에서는 조선후기에 유행하였던 宋詩意圖의 제작양상과 각 주제별로 분류되는 유형을 분석함으로써 조선 후기 송시의도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山水人物畫로 분석대상을 한정하여 조선후기에 유행한 송시의도의 화제별 도상의 시대적인 변화와 표현상의 특징, 주제 간의 상관관계를 고찰하였다.
본격적인 연구에 앞서 宋詩의 개요에 대해 살펴보며 唐詩와 구분되는 송시의 특징을 몇 가지로 정리해보았다. 이어서 北宋代부터 明代까지의 작품들을 살펴보며 중국에서는 송시의도의 전통이 어떻게 전개되었는지 알아보았다. 송시를 그림의 제재로 사용하는 것이 본격적으로 성행했던 것은 16세기 후반에서 17세기 초반, 특히 江蘇省 蘇州 지역 吳派 화가들을 중심으로 유행하였다. 조선에서도 일찍이 송시의도가 제작되었음은 여러 문헌 기록과 작품을 통해 확인할 수 있어 조선 후기 송시의도의 연원이 된 도상과 화풍에 대해 짐작해볼 수 있다.
조선 후기 송시의도의 제작은 몇 가지 배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첫째, 조선시대 간행된 중국 문학 관련 서적의 통계를 살펴보면 16세기부터 朱熹와 성리학에 관련된 각종 서적들이 왕실의 후원으로 활발하게 수입·재출간되었고, 또한 송대 시인의 시·문집이 국내에 유통·확산되어 조선 후기 문인들의 宋詩에 대한 관심을 고조시켰다. 둘째, 『顧氏畫譜』, 『詩餘畫譜』, 『芥子園畫傳』 등의 중국 畫譜의 전래는 南宗畫風의 유행과 함께 송시의도의 書題에 대한 인식을 제공하였으며, 표현에 있어서 畫法書 역할을 하거나 도상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셋째, 17세기부터 조선에 전래된 吳派화풍은 宋詩意圖 수용과 제작에 밑바탕이 되었다. 朱之蕃이 가져온 《千古最盛帖》은 오파화가들이 즐겨 그리던 詩文을 주제로 한 書畫合璧帖 형식으로, 조선 문인들은 이를 감상하고 여러 차례 임모하며 오파화풍의 특성을 받아들여 宋詩意圖 제작의 원류로 삼았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화가들의 신분에 따른 畫題詩의 선택과 표현상의 차이를 알아보고, 시의도 제작의 주체가 된 화가의 신분에 따라 표현 방식이 달라지는 양상도 확인해볼 수 있다. 동일한 주제를 그린 경우 문인화가와 직업화가의 화풍 상의 특징이나 제작 목적에서도 차이점을 찾아볼 수 있다. 문인화가들은 시의 내용보다는 그것을 매개로 하여 그림을 그리는 행위를 통해 자신의 정신적 소양 함양을 중시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 과정에서 주로 중국 화보를 학습하여 寫意를 중시하는 남종문인 화풍이 주를 이룬다. 반면 직업화가들의 경우 보다 다층적인 양상으로 전개된다. 화원들은 山水, 人物, 花卉 등 다양한 畫目에서 몇몇 한정된 주제의 송시의도를 그렸는데, 국가의 정책이나 왕실·문인들의 취향을 고려한 것으로 생각된다.
다음으로 奎章閣 差備待令畫員의 祿取才에 출제된 詩句를 분석하여 송시의도의 제작에 있어서 왕실의 취향과 화풍에 대해 고찰하였다. 출제된 화제는 국왕을 비롯한 권력층이 추구하던 이념과 그 시대를 풍미하던 文風의 유행을 이해할 수 있게 하므로 의미가 있다고 본다. 宋詩의 구절이 試題로 제시되었을 뿐만 아니라 송대 인물의 故事도 출제되어, 조선 후기 화원들의 시의도 제작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것에 큰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조선 후기에는 다양한 주제의 송시가 그림으로 그려졌는데 그 중 특별히 애호되어 반복적으로 그려진 주제를 선별하여 秋聲賦圖, 赤壁賦圖, 山靜日長圖, 武夷九曲圖, 醉翁亭圖로 유형화하여 다루었다. 분류하기 힘든 몇몇 주제들은 기타로 엮어 유형을 나누고자 하였다. 각 주제별로 현존하는 작품 양상과 시기별 표현상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조선 후기 송시의도의 특징과 의의를 몇 가지로 정리해볼 수 있다. 첫 번째로 시대적인 변화 양상을 살펴볼 수 있다. 조선 중기의 송시의도가 성리학의 교리적 사유를 추구하였다면, 조선 후기에는 그 전통을 유지하며 추가적으로 감상적 정감을 중시하는 경향을 새롭게 보였다. 조선 말기로 갈수록 송시의도의 화제가 다양해져 풍속화가 유행하였던 당시 화단의 흐름과 함께 19세기 왕실 내부의 화풍과 화제의 우선순위가 명백히 달라졌음을 알 수 있다.
두 번째로, 畫題가 된 宋詩의 주제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볼 수 있다. 송시의도의 화제로 즐겨 그려진 시의 특징으로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주자성리학의 교리를 표현했다는 점이다. 국가 통치 이념인 성리학적 교리를 전파하기 위한 논리적 성격을 띤 宋詩가 화제로 선택되어 많이 그려진 것은 武夷九曲圖, 朱夫子詩意圖, 赤壁賦圖, 秋聲賦圖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肅宗代에 새롭게 등장한 山靜日長圖와 같이 은일자의 삶과 은거 주제의 송시의도도 유행하였다. 송시의 구절을 화제로 하였지만 朱熹와 程顧, 邵雍 등 인물에 중점을 두어 故事人物書의 성격으로 그려지는 경향도 있다.
마지막으로 송시의도의 표현상의 변화 양상을 살펴볼 수 있다. 비교적 長篇으로 구성된 宋詩를 그린 宋詩意圖는 단 폭뿐만 아니라 여러 장면의 畫帖과 屛風 형식으로도 그려졌다. 橫卷이나 屛風, 扇面 형식으로 제작된 것이 일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특히 조선 후기에 송시가 화제로 애호되었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성리학적 세계관을 담은 宋詩의 시정이 그림에 담길 때 어떻게 표현되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송시의도는 조선 후기 회화사를 깊이 있게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자료로서 주목된다. 조선 후기 畫壇을 이야기 할 때 진경산수화와 풍속화의 성행이라는 새로운 흐름에 집중되었으나, 사의적이고 관념적인 남종화가 여전히 제작되고 수요 되었다는 사실을 간과할 수 없다. 문학 작품의 주제를 표현하고자 한 시의도의 전통이 지속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송시의도는 이를 보여주는 중요한 회화 자료라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