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I. 서론 9
1. 문제의 제기 및 연구 목적 9
2. 선행 연구 13
3. 연구의 범위와 방법 19
II. 장로제도의 유형과 사상 23
1. 장로제도의 유형 24
2. 장로교회 정치원리와 근거 30
3. 장로회 정치의 특징 40
III. 개혁교회에 나타난 장로의 직제와 임기 49
1. 스위스 개혁교회의 장로제도 50
1) 존 칼빈의 장로교 직제론 50
2) 스위스 개혁교회의 장로직제 76
2. 프랑스 개혁교회의 장로제도 79
1) 프랑스 개혁교회의 장로직제 79
2) 갈리칸 신앙고백에 나타난 장로직제 80
3. 스코틀랜드 장로교회의 장로제도 82
1) 존 낙스의 장로교 직제론 82
2) 앤드류 멜빌의 장로교 직제론 88
3) 웨스터민스터 정치규칙에 나타난 장로직제 92
4. 네덜란드 개혁교회의 장로제도 96
1) 네덜란드 개혁교회의 장로직제 98
2) '벨직 신앙고백서'에 나타난 장로직제 101
5. 미국 장로교회의 정치와 장로제도 104
1) 초기 미국 장로교 정치제도의 형성과정 105
2) 19세기 미국 장로교회의 신학적 동향 112
3) 미국 장로교회 장로의 기능과 임기 125
IV. 한국 장로교회의 형성과정과 전래의 역사 131
1. 초기 장로교회 재도의 형성과정 131
1) 선교 초기 공의회 설립과 정치제도 131
2) 선교사공의회 조직과 정치제도 134
3) 조선예수교장로회공의회 조직과 정치제도 137
4) 대한예수교장로회 독노회 창립과 정치제도 139
5) 조선예수교장로회 총회 창립과 정치제도 144
2. 초기 한국 장로교회의 신학사상 147
1) 초기 교회의 발전과 내한선교사들의 신학 147
2) 네비우스 선교정책과 곽안련의 정치사상 151
3) 敎會政治問答條例에 나타난 장로의 직분관 157
3. 각 교단의 장로직제에 대한 규정 163
1)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의 장로직에 관한 규정 164
2)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의 장로 직제 167
3) 여러 교단 헌법에 명시된 장로직에 관한 규정 169
V. 한국 장로교회의 장로임기제에 관한 역사적 및 신학적 연구 172
1. 한국 초기 장로교회의 임기제 실행 가능성 172
1) 敎會政治問答條例에 나타난 장로임기제 173
2) 朝鮮예수敎長老會憲法에 나타난 장로의 임기제 177
2. 칼빈주의 정치원리에 근거한 장로직제 181
1) 장로직제에 대한 칼빈의 견해 182
2) 대의정치에 위반되는 장로 종신제의 위헌성 190
3. 장로직분이 종신제로 변화된 경로의존성 197
1) 헌신된 장로 자원의 부족 200
2) 유교식 서열의식의 영향 202
3) 한국사회의 권위주의의 영향 206
4) 일제 식민지에 대한 저항운동의 소산(所産) 210
4. 교회의 민주주의 실천과 직분자의 역할 217
1) 장로의 선출과 대의제 민주정치 217
2) 대의제 정치와 교회 민주주의의 실천 226
3) 장로 직분의 바람직한 역할 234
VI. 결론 242
참고문헌 245
Abstract 257
초록 260
〈그림 1〉 장로 직분제도의 분석틀 21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