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초록

Abstract

목차

제1장 서론 9

1.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9

1.2. 논문의 구성 11

제2장 이론적 배경 12

2.1. 포털과 저널리즘의 위기 12

2.2. 한국 신문기업의 온라인 뉴스 유료화 현황 14

2.3. 온라인 뉴스 콘텐츠 유료화 한계 17

2.4. 크라우드펀딩 저널리즘의 출현: 카카오 스토리펀딩 18

2.4.1. 크라우드펀딩 저널리즘 개념 18

2.4.2. 한국의 온라인 뉴스 콘텐츠 유료화 실험 '스토리펀딩' 19

2.4.3. 스토리펀딩의 콘텐츠 특성 21

2.5. 온라인 뉴스 지불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뉴스 특성 23

2.5.1. 뉴스 콘텐츠 이용 동기와 이용자 특성 23

2.5.2. 이용과 충족 이론 23

2.5.3. 지불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뉴스 특성 24

2.5.4. 뉴스의 전문성과 지불의사 25

2.6. 뉴스 콘텐츠 지불의사 및 지불액 26

2.6.1. 뉴스 콘텐츠의 재화적 특성 26

2.6.2. 뉴스 콘텐츠 지불의사 및 지불액 26

제3장 연구대상과 연구방법 27

3.1. 가설 설정 27

3.2. 연구모형 28

3.3. 주요 변인의 측정 28

3.3.1. 온라인 뉴스 콘텐츠 후원 의사 28

3.3.2. 후원결정 및 후원액 28

3.4. 자료수집 29

제4장 연구 결과 29

4.1. 인구 통계적 특성 29

4.2. 이용자 의식 조사 결과 30

4.2.1. 유료 뉴스 콘텐츠 이용의사 30

4.2.2. 스토리펀딩 후원회수 및 후원금액 31

4.3.3. 전문성과 후원의사와의 관계 32

4.3.4. 리워드 및 간편 결제시스템이 후원에 미치는 영향 34

4.3.5. 온라인 뉴스 콘텐츠 유료화 가능성 35

4.3.6. 뉴스 이용 행태 36

4.3.7. 정치적 성향과 후원의사와의 관계 36

4.4. 상관관계 분석 결과 37

4.5. 가설 검증 결과 및 해석 38

제5장 결론 및 제언 39

5.1. 연구 요약 및 결론 39

5.2. 시사점 및 제언 40

참고 문헌 42

부록 44

표목차

〈표 1〉 한국 신문기업 유료화 현황 14

〈표 2〉 표본의 인구 통계적 특성 29

〈표 3〉 스토리펀딩에 후원한 이유 30

〈표 4〉 스토리펀딩 후원 만족도 31

〈표 5〉 후원 회수 31

〈표 6〉 1회 평균 후원금액 31

〈표 7〉 스토리펀딩 재후원 의사 32

〈표 8〉 기사의 전문성에 대한 평가 32

〈표 9〉 기자의 전문성에 대한 평가 33

〈표 10〉 전문성과 후원의지 33

〈표 11〉 기자의 유명도와 후원의지 33

〈표 12〉 리워드와 후원 의사 34

〈표 13〉 결제시스템과 후원의지 34

〈표 14〉 타 매체 후원의사 35

〈표 15〉 재후원 시 선호 뉴스 특성 35

〈표 16〉 최대 후원 예상금액 35

〈표 17〉 이용 뉴스 매체 36

〈표 18〉 이용 뉴스 플랫폼 36

〈표 19〉 정치적 성향 37

〈표 20〉 시민/정당 활동 경험 37

〈표 21〉 주요 변인의 상관관계 37

〈표 22〉 가설검증 결과 38

그림목차

〈그림 1〉 온라인 뉴스 이용자 증가 추이 9

〈그림 2〉 크라우드펀딩의 유형 18

〈그림 3〉 스토리펀딩 후원액 추이 20

〈그림 4〉 연구모형 28

초록보기

유료화를 지향하는 새로운 온라인 뉴스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우려와 기대가 공존하는 현재 상황을 보다 입체적으로 파악하고 대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이용자들이 어떤 뉴스 콘텐츠에 관심을 갖고 돈을 지불할 의사가 있는지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온라인 뉴스 콘텐츠 유료화 전략 도출을 위해 실제 온라인 뉴스 콘텐츠에 돈을 내본 이용자들에 주목하고, 어떤 뉴스 콘텐츠 특성이 이들로 하여금 지불의사에 이르게 했는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뉴스 콘텐츠의 특성을 권력감시, 사회참여, 재미/흥미, 도움제공, 전문성 등으로 분류하고, 이러한 변인들이 지불의사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알아봤다.

사회참여와 재미/흥미, 도움제공의 특성을 가진 뉴스 콘텐츠는 이용자들의 지불의사와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사회참여 등 언론의 대안적 기능을 중요하게 인식할수록 지불의사가 높았으며, 뉴스의 전문성도 온라인 뉴스 콘텐츠 지불의사와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맺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