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9
I. 서론 1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1
2. 연구문제 17
II. 이론적 배경 18
1. 내면화된 수치심 (Internalized Shame) 18
2. 자살사고 (Suicidal Ideation) 24
3. 반추적 반응양식(Ruminative Response Style) 30
4. 속박감(Entrapment) 34
5. 각 변인들의 관계 38
III. 연구 방법 45
1. 연구대상 45
2. 측정도구 47
1)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 (Internalized Shame Scale: ISS) 47
2) 반추적 반응양식 척도 (Response Style Questionnaire:RSQ) 48
3) 속박감 척도 (Entrapment Scale) 49
4) 자살사고 질문지(Suicidal Ideation Questionaire:SIQ) 50
3. 연구절차 52
4. 자료분석 54
IV. 연구 결과 57
1. 각 변인에 대한 기술 통계치 57
2.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분석 59
3. 구조모형 검증 61
1) 측정 모형 검증 61
2) 연구모형 검증 63
3) 수정모형의 적합도 및 경로계수 65
4. 매개효과 검증 68
V. 논의 70
VI. 결론 및 제언 78
참고문헌 83
부록 96
부록1. 연구대상자를 위한 설명문 97
부록2. 연구참여동의서 101
부록3.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 102
부록4. 반추적 반응양식 척도 104
부록5. 속박감 척도 106
부록6. 자살사고 질문지 108
부록7. 반추적 반응양식 척도의 문항의 요인 적재값 및 합산된 항목 110
부록8. 자살사고 척도의 요인 적재값 및 합산된 항목 111
ABSTRACT 112
[그림 1] 연구 모형 17
[그림 2] 측정 모형 62
[그림 3] 연구모형의 분석결과 64
[그림 4] 최종모형 분석결과 67
[그림 5] 최종 모형의 경로 결과 69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에서 반추적 반응양식과 속박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각 변인들의 선행 연구를 근거로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내면화된 수치심, 반추적 반응양식, 속박감, 자살사고는 관계는 무엇인지 검증한다. 둘째, 내면화된 수치심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에서 반추적 반응양식과 속박감이 각각 매개효과가 있는지 확인한다. 셋째, 내면화된 수치심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에서 반추적 반응양식과 속박감이 순차적 이중매개효과를 보이는지 확인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 절차를 거쳤다. 우선 전국의 고등학교 학생 중 492명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 반추적 반응양식 척도, 속박감 척도, 자살사고 척도를 포함하는 설문지를 제작하였다. 설문조사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해 실시하였다. 그 중 무선 반응을 하거나 결측치가 다수 포함된 자료를 제외한 477부의 자료가 결과 분석에 사용되었다. SPSS 23.0과 AMOS 23.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SPSS 23.0을 사용해 기술 통계 및 상관분석을 하고 AMOS 23.0을 이용해 구조방정식(Structual Equation Modeling:SEM)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개별 간접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팬텀변인(Phantom Variable)을 설정한 뒤 부트스트랩핑 검증법과 사용하여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내면화된 수치심, 반추적 반응양식, 속박감, 자살사고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반추적 반응양식과 속박감은 각각 완전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살사고의 이르는 관계에서 반추와 속박감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에서 반추적 반응양식과 속박감이 중요한 매개변인임을 확인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이는 내면화된 수치심 수준이 높으면서 자살사고 수준이 높은 청소년 상담에서 반추적 반응양식과 속박감을 완화시키는 개입이 자살사고를 낮춰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