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5
I. 서론 17
II. 조선화단의 명·청대 화보 수용 20
1. 시대적 배경 20
2. 명·청대 화보의 유입 26
III. 조선 초·중기 화단의 절충 양상 43
1. 조선초기 44
2. 조선중기 48
IV. 조선후기의 절충화풍 58
1. 문인화가 59
2. 직업화가 74
V. 결론 86
참고문헌 91
ABSTRACT 131
〈표 1〉 조선초기·중기·후기 화풍의 흐름 52
〈표 2〉 방작임을 밝히는 심사정의 작품 60
〈표 3〉 화보를 응용한 준법 84
(도판 1) 정선, 〈동경산수〉 101
(도판 2) "개자원화전(芥子園畵傳)", 황자구수법(黃子久樹法) 101
(도판 3) "개자원화전" 피마준(披麻皴) 101
(도판 4) 윤두서, 〈은일도(隱逸圖)〉, 17세기 102
(도판 5) 장로, 〈어부도(漁夫圖)〉 102
(도판 6) 필자미상, 〈미원계회도〉, 1540년 102
(도판 7) 필자미상, 〈하관계회도〉, 1541년 102
(도판 8) 안견, "사시팔경도(四時八景圖)" 중 만춘(晩春)〉, 15세기 103
(도판 9) 안견, "사시팔경도(四時八景圖)" 중 〈초동(初冬)〉, 15세기 103
(도판 10) 강희안, 〈고사관수도(高士觀水圖)〉, 15세기 103
(도판 11) 김시, 〈한림제설도(寒林霽雪圖)〉 103
(도판 12) 안견, "사시팔경도(四時八景圖)" 중 〈만동(晩冬)〉, 15세기 104
(도판 13) 이정근, 〈미법산수도(米法山水圖)〉, 16세기 후반 104
(도판 14) 이영윤, 〈산수도(倣黃公望山水圖)〉, 16세기 후반 105
(도판 15) 윤두서, 〈평사낙안도(平沙落雁圖)〉 105
(도판 16) 심사정, 〈주유관폭(舟游觀瀑)〉, 1740년 106
(도판 17) "고씨화보(顧氏畵譜)" 황공망(黃公望) 106
(도판 18) 이인상, 〈노목수정(老木水亭)〉, 18세기 106
(도판 19) 심사정(沈師正), 최북(崔北), 김홍도(金弘道) 등, 〈균와아집도(筠窩雅集圖)〉 1763년 106
(도판 20) 심사정, 〈방심석전산수도(倣沈石田山水圖)〉, 1758년 107
(도판 21) 심사정, 〈강상야박도(江上夜泊圖)〉, 1747년 107
(도판 22) 심사정, 〈고사은거(高士隱居)〉, 18세기 107
(도판 23) "개자원화전(芥子園畵譜)" 제2권, 산석법(山石譜), 예고원산법(倪高遠山山法) 107
(도판 24) 심사정, 〈심산초사〉(深山草舍), 18세기 108
(도판 25) "고씨화보", 동원 108
(도판 26) "개자원화전(芥子園畵傳)", 수보(樹譜) 점엽법(點葉法) 109
(도판 27) 심사정, 〈고사유거〉, 1761년 109
(도판 28) 〈산수도〉, 심사정, 〈산수도〉, 18세기 109
(도판 29) 심사정, 〈파교심매도〉, 1766년 109
(도판 30) "고씨화보", 곽희 110
(도판 31) 작자미상, 〈심매도〉, 16세기 110
(도판 32) 곽희, 〈조춘도〉 1072년 110
(도판 33) 심사정, "방고산수첩" 중〈계산소사〉, 18세기 110
(도판 34) "개자원화전", 〈산석보〉 왕몽 111
(도판 35) "개자원화전", 〈산석보〉, 곽희 111
(도판 36) 심사정, "방고산수첩" 중 〈백운출수〉, 18세기 111
(도판 37) 심사정, 〈산수도〉 1754년 추정 111
(도판 38) 심사정, 〈설경산수도〉, 18세기 112
(도판 39) 심사정, 〈고산소사〉, 1707년 112
(도판 40) 심사정, "방고산수첩" 중〈설제화정〉, 1763년 112
(도판 41) 원명유(元命維), 〈도원춘색도(桃元春色)〉 112
(도판 42) 심사정, "방고산수첩(倣古山水帖)"중 〈장강첩장(長江疊嶂〉 113
(도판 43) "개자원화전" 권5〈이용면협강도(李龍眠峽江圖)〉 113
(도판 44) 심사정, "방고산수첩(倣古山水帖)" 중 〈급탄예선(急灘曳船〉 113
(도판 45) 심사정, 〈해암백구도〉, 18세기 113
(도판 46) "개자원화전" 산석법, 〈화강해파도법〉 114
(도판 47) 정선 〈임진적벽도〉, 18세기 114
(도판 48) 강세황, 〈적벽주유〉, 18세기 114
(도판 49) 심사정, 〈추학명천〉, 18세기 114
(도판 50) 심사정, 〈산시청람〉, 18세기 115
(도판 51) 강세황 〈(선면산수도) 니금산수도〉, 18세기 115
(도판 52) 심사정, 〈방황자구산수도〉, 18세기 115
(도판 53) 이광사, 〈층장비폭〉, 18세기 115
(도판 54) 박제가, 〈의암관수도〉, 18세기 116
(도판 55) 박제가, 〈야치도〉, 18세기 116
(도판 56) 심사정, 〈쌍치도〉, 18세기 116
(도판 57) 정수영, "지우제묘묵첩" 제1면 〈산수도〉 , 18세기 116
(도판 58) 심사정, 〈소림모정〉, 1749년 117
(도판 59) 왕지서(汪之瑞), 〈산수도〉 117
(도판 60) 정수영, "지우제묘묵첩" 제11면 〈산수도〉, 18세기 117
(도판 61) 정수영, 〈산수도〉, 18세기 117
(도판 62) 정수영, 〈송하가회〉, 18세기 118
(도판 63) 홍의영, 〈연사모종〉, 18세기 118
(도판 64) 이인상, 〈송하간서〉, 18세기 118
(도판 65) 이인상, 〈천지석벽도(天池石璧圖)〉, 18세기 118
(도판 66) 이인상, 〈수하한담도〉, 18세기 119
(도판 67) 이인상, 〈송하독좌도〉, 1754년 119
(도판 68) 이인상 〈송하관폭도〉 18세기 119
(도판 69) 김유성, 〈낙산사도(洛山寺圖)〉, 1764년 119
(도판 70) 정선, 〈정자연〉, 18세기 120
(도판 71) 김석신, 〈가고중류도(선유도)〉, 18세기 120
(도판 72) 심사정 〈산수도〉, 1754년 추정 120
(도판 73) 심사정, 〈보덕굴〉, 18세기 120
(도판 74) 김유성, 〈산수도〉, 1763년 121
(도판 75) 이인문, 〈하경산수도〉, 18세기 121
(도판 76) 이인문, 〈산거독서〉, 18세기 121
(도판 77) 이인문 〈강산무진도〉, 18세기 122
(도판 78) 이인문, 〈산정일장도〉, 18세기 122
(도판 79) 심사정, 〈여산유서(廬山幽棲)〉, 18세기 122
(도판 80) 심사정, 〈산림유거(山林幽居)〉, 18세기 123
(도판 81) 이인문, 〈송하담소도〉, 18세기 123
(도판 82) 이인문, 〈누각아집도〉, 18세기 123
(도판 83) 이인문, 〈총석정(叢石亭)〉, 18세기 123
(도판 84) 이인문 〈동정검선〉, 18세기 124
(도판 85) 이인문, "고송유수첩" 중 〈격단조주〉, 18세기 124
(도판 86) 심사정, 〈해상선유〉 1764년 124
(도판 87) 심사정, 〈강암파도〉, 18세기 124
(도판 88) 김수규 〈강남춘의도(江南春意圖)〉 부분, 1814년 125
(도판 89) 이방운, 〈무릉도원〉, 18세기 125
(도판 90) 이방운, 〈매정수학도〉, 18세기 125
(도판 91) 이방운, 〈청정심처도(淸淨深處圖)〉, 18세기 125
(도판 92) 傳 이명은 〈천한동설(天寒凍雪圖)〉 126
(도판 93) 최북, 〈설경산수도, 선면(雪景山水도판, 扇面)〉, 18세기 126
(도판 94) "개자원화전" 제5권, 〈왕마힐화(王摩詰畵)〉 126
(도판 95) 최북, 〈산수도〉, 1748년, 견본담채, 61.5x37.0㎝ 126
(도판 96) 최북, 〈산수도〉, 1748년, 지본수묵, 128.2x55.4㎝ 127
(도판 97) 최북, 〈표훈사〉, 18세기 127
(도판 98) 최북, 〈설경산수도〉, 18세기 127
(도판 99) 최북, 〈누각산수도〉, 18세기 127
(도판 100) 김홍도, 〈서원아집도6폭병풍〉, 1778년 128
(도판 101) 심사정, 〈산수도〉, 18세기 128
(도판 102) 김홍도, "풍속화첩" 중 〈군선도〉 128
(도판 103) 김홍도, 〈달마좌수도해〉, 18세기 128
(도판 104) 심사정, 〈하마선인도〉, 18세기 129
(도판 105) 심사정, 〈선동도해(선동절노도해)〉, 18세기 129
(도판 106) 김홍도, 〈채약도〉, 18세기 129
(도판 107) 김홍도, 〈노옹유주도〉, 18세기 129
(도판 108) 김홍도, 〈미불배석도(米佛拜石圖)〉, 18세기 130
조선 후기는 어느 때보다도 예술이 가장 번성하였으며 한편으로는 전대의 전란으로 인해 사회적으로 피폐한 시기였다. 따라서 문화와 예술, 정치와 경제적으로 민족적 자존심 회복이 국가적 과제였으며 이를 위한 활발한 재구축의 변화가 보이던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조선시대에 유입된 중국의 화보는 조선화단에 그림교과서와 같은 역할을 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중국 화보의 수용을 통한 그림 수련은 조선 후기의 모든 화가들 에게 해당된다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배경 하에 조선후기는 중국의 오파, 동기창(董其昌) 등에 의한 전통 남종화(南宗畵)가 크게 유행하였다.
한편, 남종화의 유행 안에 조선 전기의 화풍인 북종화계열의 화법이 한 화면에 어우러져 나타나는 것이 확인되는데 이는 우리의 자주적인 화풍을 구축하는데 밑거름이 된 것으로 보여진다. 조선후기 화단의 절충화풍은 중국 화보를 통해 다양한 화법을 수용하되 선별적으로 받아들이고 응용하여 화법을 개발하는 등의 면모를 보여주며, 이는 법고창신(法鼓昌新)의 올바른 예로서 새로운 화풍을 형성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이한 화법이 조화를 이루어 그려지는 '절충화풍'에 대해 단독으로 연구가 다루어지기보다는 부차적으로 살펴보는 경향이 있어 절충화풍에 관한 미술사적 의의가 재조명 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절충화풍을 고찰하기 위해서 가장 우선적으로 살펴보아야 할 것이 명·청대의 화보이다. 특히 조선시대 산수화에 있어 “고씨화보”와 “개자원화전”의 영향을 빼고 논할 수는 없다. 이에 본고에서는 조선후기의 화풍과 중국의 화보에 관한 기존의 선행연구를 근간으로 조선후기 작품들에서 나타나는 기법과 도상의 절충을 분석하고 그 흐름을 연구해 보았다.
화면(畫面)에서의 절충의 시도는 조선초기부터 나타나나 기법의 절충보다는 도상의 절충이 보다 두드러진다고 할 수 있다. 남송원체화풍이 성행하던 조선초기는 안견파 화풍의 구도 아래 기법의 절충보다는 공간 개념에서 절충 시도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이며 고려 때 이미 북송 화 풍의 유입 사례가 있어 당대의 화가들은 남송과 북송의 화풍에 대해 알 고 있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중기에 이르면 초기의 화풍을 계승하려는 성격이 강하여 절파화풍의 유행과 더불어 남종화풍의 수용이 엿보인다. 대체로 남송 화풍의 경향이 보이며 경물에 표현되는 준법에 있어서는 명대 오파의 영향을 확인 할 수 있는데 이는 조선화단의 대표 화가인 공재 윤두서와 겸재 정선에게서도 나타나고 있어 필법 절충의 시도가 이루어지기 시작함을 알 수 있다.
기법의 절충이 활발히 이루어 진 시기는 조선 후기로서 도상과 필법이 자유자재로 혼합되어 구사됨이 확인되며 부벽준을 포함하여 여러 남·북 종 절충화법을 한 화면(畫面)에 아우르는 현재 심사정(玄齋 沈頣叔, 1707~1769)이 주목된다.
심사정과 더불어 조선후기의 화가들은 작품의 전체적인 구도는“고씨 화보”에서, 세부묘사는 “개자원화전”을 통해 남종화풍의 기법을 많이 수용한 것으로 보여지며, 이전에는 볼 수 없었던 수직형태의 부벽준이나 소라와 유사한 형태의 석법, 근경을 확대하고 후경을 생략하는 양식이 박제가(朴齊家, 1750~1805), 윤제홍(尹濟弘, 1764~?), 김홍도(金弘道, 1745~?), 최북(崔北, 1712~1786(추정)), 김유성(金有聲,1849~?), 이 인문(李寅文, 1745~1821)등에게서 나타나는 것이 확인 된다.
결론적으로 화면(畫面)에 절충을 시도한 작품들 간에 유사한 화법의 특징이 화가의 신분과 관계없이 나타나는데 이는 공통적으로 참고하였을 작품 혹은 화가가 있었을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들의 절충화풍 및 영향관계를 고찰하는 과정은 18세기 절충화풍의 맥락과 흐름을 유추할 수 있게 하며 '절충화풍'에 대한 회화사적 의의를 찾는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