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ABSTRACT

목차

I. 서론 9

II. 이론적 배경 13

A. 자기-자비 13

B. 양육태도 16

B-1. 양육태도의 개념 16

B-2. 자기-자비와 양육태도 19

C. 양육 효능감 22

C-1. 양육 효능감의 개념 22

C-2. 자기-자비와 양육 효능감 25

C-3. 양육 효능감과 양육태도 29

III. 연구문제 및 가설 32

A. 연구모형 32

B. 연구가설 33

IV. 연구방법 34

A. 연구대상 및 절차 34

B. 측정도구 36

C. 분석방법 39

V. 연구결과 40

VI. 논의 및 제언 48

A. 논의 48

B. 의의 및 임상적 함의 55

C. 제한점 및 제언 56

참고문헌 58

국문초록 68

부록 69

부록 1. 한국판 자기-자비 척도 70

부록 2. 양육 효능감 척도 72

부록 3. 부모 양육태도 척도 73

부록 4. 인구 통계학적 설문 75

표목차

표 1. 연구 참가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35

표 2. 변인들 간의 상관과 변인들의 평균, 표준편차 및 범위 40

표 3. 자기-자비와 온정·수용 양육태도의 관계에서 양육 효능감의 매개효과 42

표 4. 자기-자비와 온정·수용 양육태도의 관계에서 양육 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43

표 5. 자기-자비와 거부·제재 양육태도의 관계에서 양육 효능감의 매개효과 44

표 6. 자기-자비와 거부·제재 양육태도의 관계에서 양육 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45

표 7. 자기-자비와 허용·방임 양육태도의 관계에서 양육 효능감의 매개효과 46

그림목차

그림 1. 연구모형 32

그림 2. 자기-자비와 온정·수용 양육태도의 관계에서 양육 효능감의 매개효과 43

그림 3. 자기-자비와 거부·제재 양육태도의 관계에서 양육 효능감의 매개효과 45

그림 4. 자기-자비와 허용·방임 양육태도의 관계에서 양육 효능감의 매개효과 47

초록보기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자기-자비와 양육태도의 관계를 살펴보고, 아울러 이들의 관계에서 양육 효능감이 매개효과를 지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 211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자기-자비척도, 양육 효능감 척도, 부모 양육태도 척도를 포함하는 설문 자료를 수집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어머니의 자기-자비는 양육 효능감과 정적인 관계가 있었다. 둘째, 어머니의 자기-자비는 온정·수용 양육태도와 정적인 관계를 보였으며, 이들의 관계를 양육 효능감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자기-자비는 거부·제재 양육태도와 부적인 관계를 나타냈으며, 이들 사이를 양육 효능감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자기-자비는 허용·방임 양육태도와 부적 관계를 보였으나, 이들의 관계에서 양육 효능감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임상적 의의를 논하였으며, 본 연구의 한계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