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ABSTRACT
목차
I. 서론 9
II. 이론적 배경 13
A. 자기-자비 13
B. 양육태도 16
B-1. 양육태도의 개념 16
B-2. 자기-자비와 양육태도 19
C. 양육 효능감 22
C-1. 양육 효능감의 개념 22
C-2. 자기-자비와 양육 효능감 25
C-3. 양육 효능감과 양육태도 29
III. 연구문제 및 가설 32
A. 연구모형 32
B. 연구가설 33
IV. 연구방법 34
A. 연구대상 및 절차 34
B. 측정도구 36
C. 분석방법 39
V. 연구결과 40
VI. 논의 및 제언 48
A. 논의 48
B. 의의 및 임상적 함의 55
C. 제한점 및 제언 56
참고문헌 58
국문초록 68
부록 69
부록 1. 한국판 자기-자비 척도 70
부록 2. 양육 효능감 척도 72
부록 3. 부모 양육태도 척도 73
부록 4. 인구 통계학적 설문 75
그림 1. 연구모형 32
그림 2. 자기-자비와 온정·수용 양육태도의 관계에서 양육 효능감의 매개효과 43
그림 3. 자기-자비와 거부·제재 양육태도의 관계에서 양육 효능감의 매개효과 45
그림 4. 자기-자비와 허용·방임 양육태도의 관계에서 양육 효능감의 매개효과 47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자기-자비와 양육태도의 관계를 살펴보고, 아울러 이들의 관계에서 양육 효능감이 매개효과를 지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 211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자기-자비척도, 양육 효능감 척도, 부모 양육태도 척도를 포함하는 설문 자료를 수집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어머니의 자기-자비는 양육 효능감과 정적인 관계가 있었다. 둘째, 어머니의 자기-자비는 온정·수용 양육태도와 정적인 관계를 보였으며, 이들의 관계를 양육 효능감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자기-자비는 거부·제재 양육태도와 부적인 관계를 나타냈으며, 이들 사이를 양육 효능감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자기-자비는 허용·방임 양육태도와 부적 관계를 보였으나, 이들의 관계에서 양육 효능감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임상적 의의를 논하였으며, 본 연구의 한계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