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논문개요 7
I. 서론 9
II. 이론적 배경 15
A. 유아의 실행기능 15
B. 어머니의 자율성 지지와 유아의 실행기능 19
C. 유아의 실행기능과 정서적, 사회적 유능성 21
D. 어머니의 자율성 지지와 유아의 정서적, 사회적 유능성 24
E. 어머니의 자율성 지지, 유아의 실행기능 및 유아의 정서적, 사회적 유능성 25
III. 연구문제 및 용어정의 28
A. 연구문제 및 연구모형 28
B. 용어정의 29
1. 어머니의 자율성 지지 29
2. 실행기능 29
3. 정서적 유능성 29
4. 사회적 유능성 30
IV. 연구방법 31
A. 연구대상 31
B. 조사도구 32
1. 어머니의 자율성 지지 33
2. 유아의 실행기능 33
3. 유아의 정서적 유능성 34
4.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 35
C. 조사절차 36
D. 자료분석 37
V. 연구결과 38
A. 예비분석 38
B.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39
C. 어머니의 자율성 지지가 유아의 정서적,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아의 실행기능의 매개효과 41
1. 어머니의 자율성 지지가 유아의 정서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아의 실행기능의 매개효과 42
2. 어머니의 자율성 지지가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아의 실행기능의 매개효과 45
VI. 논의 및 결론 48
A. 어머니의 자율성 지지, 유아의 실행기능 및 정서적, 사회적 유능성 간의 관계 48
B. 어머니의 자율성 지지가 유아의 정서적,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아의 실행기능의 매개적 역할 51
참고문헌 55
부록_질문지 69
ABSTRACT 82
[그림 1] 어머니의 자율성 지지가 유아의 정서적,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28
[그림 2] 어머니의 자율성 지지가 유아의 정서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44
[그림 3] 어머니의 자율성 지지가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47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자율성 지지, 유아의 실행기능 및 유아의 정서적·사회적 유능성 간 관계를 살펴보고 유아의 실행기능이 어머니의 자율성 지지가 유아의 정서적·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만 3~5세 유아 245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어머니의 자율성 지지를 측정하기 위해 Grolnick, Ryan과 Deci(1991)가 개발한 부모에 대한 지각 척도 중 자율성 지지 문항과 Williams와 Deci(1996)가 개발한 자율성 지지 측정을 위한 학습풍토 질문지, Soenens 등(2007)의 자율성 지지 척도를 토대로 노보혜, 박성연과 지연경(2011)이 수정·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실행기능은 Gioia, Isquith, Guy와 Kenworthy(2000)가 개발한 아동용 실행기능척도를 기초로 유아용으로 제작한 Isquith, Gioia와 Espy(2004)의 실행기능 평정척도-유아용(BRIEF-P)을 서정은과 박혜원(2011)이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정서적 유능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Salovey와 Mayer(1997)의 정서지능 모형에 근거하여 이병래(1998)가 제작한 정서지능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은 도현심(1994)이 개발한 사회적 능력척도 유치원용(Social Competence Scale-Kindergarten)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test와 일원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분석은 Baron과 Kenny(1986)의 세 단계 모형을 단순회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대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가 자율성을 지지하는 양육행동을 더 보일수록 유아의 실행기능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실행기능 수준이 높을수록 유아의 정서적·사회적 유능성이 높았다. 셋째, 어머니가 자율성을 지지하는 양육행동을 많이 보일수록 유아의 정서적·사회적 유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유아의 실행기능은 어머니의 자율성 지지가 유아의 정서적 유능성 및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적으로 매개하였다.
본 연구는 유아기에 급격히 발달하는 실행기능에 주목하여, 실행기능에 영향을 주고 받는 두 변인인 어머니의 자율성 지지와 유아의 정서적·사회적 유능성 간의 관계에서 실행기능의 매개적 역할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실행기능 향상을 위한 양육행동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부모교육 프로그램 및 유아기 실행기능 발달을 위한 훈련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