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ABSTRACT 10
국문초록 13
I. 서론 16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8
B. 연구의 범위와 방법 21
II. 본론 25
A. 합창음악에 있어서의 가사의 중요성 31
1. 언어의 음악적 요소 32
2. 음악과 언어의 밀접한 관계 - 우리 음악과 말을 중심으로 61
B. 우리말의 억양 자료와 분석 78
1. 억양에 따른 감정 표현 78
2. 평균주파수(average frequency), 주기(Length), 주파수폭 (frequency range) 81
3. 억양형태분석 85
4. 좋은 악곡 표현을 위한 억양형태 분석 내용 90
C. 한국합창음악의 좋은 악곡 표현을 위한 우리말의 억양 교육 92
1. 단어의 억양 교육 94
2. 간단한 문장의 억양 교육 97
3. 복잡한 문장의 억양 교육 120
4. 억양 패턴 분석의 예시곡 122
III. 결론 129
참고문헌 134
부록 138
〈표 1〉 한국어 억양의 9가지 패턴 76
〈표 2〉 우리말 말토막의 4가지 억양 형태 77
〈표 3〉 억양형태 분석을 위한 예시 문장'그래요'& '알아요' 80
〈표 4〉 성인 남성, 여성 및 아동의 기본 주파수 81
〈표 5〉 문장 "그래요"억양형태의 평균주파수(average frequency) 82
〈표 6〉 문장 "알아요"억양형태의 평균주파수(average frequency) 82
〈표 7〉 문장 "그래요" 억양형태의 주기(Length) 83
〈표 8〉 문장 "알아요" 억양형태의 주기(Length) 84
〈표 9〉 문장 "그래요" 억양형태의 주파수폭(Frequency Range) 84
〈표 10〉 문장 "알아요" 억양형태의 주파수폭(Frequency Range) 85
〈표 11〉 문장 "그래요"의 대표억양형태 1 86
〈표 12〉 문장 "알아요"의 대표억양형태 1 87
〈표 13〉 문장 "그래요"의 대표억양형태 2 88
〈표 14〉 문장 "알아요"의 대표억양형태 2 89
〈표 15〉 성가곡 '그가'의 앞부분 가사의 억양패턴 124
〈표 16〉 성가곡 '모든 것 주셨네'의 앞부분 가사의 억양패턴 126
〈표 17〉 한국민요 '경복궁 타령'의 앞부분 가사의 억양패턴 128
〈그림 1〉 훈민정음 언해본의 나타나는 성조 표기 26
〈그림 2〉 억양강세를 파장의 형태로 보여주는 화면- 강박으로 시작 66
〈그림 3〉 억양강세를 파장의 형태로 보여주는 화면- 약박으로 시작 66
〈그림 4〉 억양강세를 파장의 형태로 보여주는 화면... 68
〈그림 5〉 1982년, 한글학자 이응백이 그린 억양패턴 75
〈악보 1〉 오돌또기 62
〈악보 2-1〉 춘향가"쑥대머리"대목 도입구 62
〈악보 2-2〉 춘향가"쑥대머리"대목 종지부 63
〈악보 3-1〉 I Stand in Awe의 원어가사 앞부분 65
〈악보 3-2〉 아름답고 놀라운 주 예수(I Stand in Awe)의 앞부분... 65
〈악보 4〉 가스펠성가"왕의 지성소에 들어가" 도입구 67
〈악보 5〉 평시조 '동창이 밝았느냐' 70
〈악보 6〉 찬송가 304장, "그 크신 하나님의 사랑" 중간부 70
〈악보 7〉 합창악보 "그가"中 합창파트 (1 ~ 64마디) 123
〈악보 8〉 합창악보 "모든 것 주셨네"中 소프라노파트 앞부분 125
〈악보 9〉 민요합창악보 "경복궁타령"中 앞부분, 소프라노파트 127
〈악보 10〉 애국가 (음고 악센트에 이한 강박의 위치 변화) 131
사람이 처음 듣는 음악을 들었을 때, 첫인상을 좌우 하는 것은 아무리 가사가 있는 음악이라도 가사보다는 음악적 요소이다. 그러나 진솔된 깊은 교감을 이끌어 내는 것은 관객이 알아들은 그 음악의 가사이다. 음악은 감성을 표현하기에는 매우 적절하나 의미를 보다 선명하게 전달하는 것은 분명 한계가 있다. 그래서 가사가 있는 음악, 즉 노래는 가사와 동반할 때 완전해지는 것이다. 가사는 의미를 동반함으로 사람에게 큰 영향력을 끼친다.
이러한 가사의 전달력은 그 말 안에 품고 있는 늬앙스(nuance)가 바로 억양의 차이에서 온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일상생활에서도 매우 중요하지만, 특히 가사가 있는 노래곡에서는 더욱더 민감하고 섬세한 부분이다. 아무리 노래 실력이 좋고 발성이 좋아도, 발음이 깨지면, 가사도 깨지고, 그 노래의 가사 전달력도 깨지게 되고, 이는 그 음악의 감성조차 깨지게 되는 것이다.
이 논문은 우리말을 가사로 하는 곡을 중심으로 연구된 것으로 필자의 전공인 합창지휘에 관계되어 집필되었기에 우선은 합창인들을 위함이고, 그 외 우리말, 우리말 가사를 하는 모든 이들에게도 유익을 주고자한다. 이러한 우리말 가사는 자음과 모음의 음성에 대한 개념과 명료한 발음에 대한 정확성 그리고 문장의 뉘앙스가 주는 전체적인 분위기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며, 새로운 합창음악을 대할 때 가사의 의미와 느낌을 깨닫기 위하여서 합창단원들에게 먼저 가사를 낭독하도록 하는 것이 억양을 느끼기에 중요하다. 처음에는 아주 자유스럽고 자연스럽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반복이 될수록 음악의 리듬에 맞추는 것이 좋으며, 체계적인 억양 교육을 통해 좀 더 좋은 악곡의 표현과 해석을 이끌어 내려함이었다.
가사의 리듬과 억양을 강조하며 가사를 반복하면 궁극적으로 합창단원들이 성악적 발성에 의한 발음의 전체적인 개념을 깨닫게 될 것이다. 또한 가사의 내용이 상당히 표현적이며 철학적일수록 합창단원들은 가사에 대한 연구를 철저히 해야 가사가 있는 음악곡이 다른 기악 음악곡과 성격을 달리함을 보여줄 수 있고, 더불어 합창 연주에서 관객과 연주자들이 서로 교감하기 위해서는 이를 연주하는 지휘자와 합창단원들이 음악과 가사의 의미가 일치되게 연주해낼 때에 진정 가능하다는 것이 알 수 있다. 가사에 대한 친숙함 역시 감성적 태도에 따라 달리 표현 가능한 억양에 대한 연습의 일부분이며, 가사가 주는 의미를 이해하는 것과 단어의 발음 형태와 문장의 억양을 익히는 등의 반복과 가사 암기의 훈련과정은 악곡의 표현이 더욱 분명해지고 가사의 언어적 뉘앙스를 더욱 풍부하고 진솔하게 표현해 낼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여러 성부로 되어 있는 합창 음악에 있어서의 가사 전달이란 혼자 하는 독창의 그것보다 음악을 표현함에 있어 훨씬 더 넓은 공간적 울림이 더하여진다. 이에 필자는 가사 전달의 미묘한 차이를 주관하는 억양의 연구 분석이 그저 ‘말하듯이’라는 단순한 지시에서 나아가 좀 더 과학적이고 증명 가능한 논리적 측면에서 이루어지도록 하고자 한다. 특히 공명을 필수로 하는 합창음악에 있어서, 말이 전달하는 억양의 포인트를 비교 분석하고 음악에 있어서 좀 더 시너지업(synergy up)된 가사의 의미 전달을 추구하여 더욱 감수성있는 예술 표현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