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Abstract 6

I. 서론 12

1. 연구 목적 12

2. 연구사 검토 14

3. 연구 방법론 20

가. 연구대상 20

나. 연구 방법 38

II. 『연상각선본』의 개작 유형 48

1. 주제의 맥락 부각형 : 문단 추가 48

가. 「초정집서」 49

나. 「옥새론」 58

2. 의미의 다층성 확보형 : 문단 축소와 문장 삭제 69

가. 「해인사창수시서」 70

나. 「홍덕보묘지명」 78

3. 대상의 특성 강화형 : 어휘·어구 교체 88

가. 「회우록서」 89

나. 「백수공인이씨묘지명」 93

4. 복합형 : 추가·삭제·교체 100

가. 「족손증홍문정자박군묘지명」 100

나. 「백자증정부인박씨묘지명」 112

III. 『연상각선본』내의 언어와 주제의 교섭 양상 123

1. 열(烈)·효(孝)를 향한 인간적 시선: '태식이칭(太息而稱)'을 중심으로 123

가. 「김유인사장」과 「열녀함양박씨전병서」 비교 126

나. 두 작품의 어휘 및 주제 교섭 양상 141

2. 수령의 실질적 역할 : '기부방곡(旣富方穀)'을 중심으로 151

가. 「홍범우익서」와 「함양군홍학재기」 비교 151

나. 두 작품의 어휘 및 주제 교섭 양상 168

3. 인신(人神)의 의존적 관계 : '영단개축(靈壇改築)'을 중심으로 173

가. 「안의현여단신우기」와 「이처사묘갈명」 비교 173

나. 두 작품의 어휘 및 주제 교섭 양상 181

IV. 결론 187

부록 195

참고문헌 2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