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초록 7
I. 서론 8
1. 연구의 필요성 8
2. 연구의 목적 12
3. 연구 가설 13
II. 이론적 배경 14
1. 척추 안정화 14
2. 고유수용성감각 15
3. 자세조절 16
III. 연구 방법 및 절차 17
1. 연구 대상 및 기간 17
2. 실험 절차 및 방법 18
1) 실험 절차 18
2) 실험 방법 20
3. 측정 방법 25
1) 체간 근력 측정 25
2) 고유수용성감각 측정 26
3) 균형능력 측정 29
4) 보행능력 측정 31
5) 기능적 능력 측정 33
4. 자료 분석 36
IV. 연구 결과 37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7
2. 체간 근력의 운동 전·후 변화 비교 39
3. 고유수용성감각의 운동 전·후 변화 비교 41
4. 균형능력의 운동 전·후 변화 비교 43
1) 눈 뜨고 시행한 자세안정성 검사 43
2) 눈 감고 시행한 자세안정성 검사 45
3) 안정성한계 검사 47
5. 보행능력의 운동 전·후 변화 비교 49
1) 시간적 보행능력 49
2) 공간적 보행능력 51
6. 기능적 능력(K-MBI, BBS, TIS)의 운동 전·후 변화 비교 54
V. 고찰 57
VI. 결론 67
참고문헌 68
Abstract 81
그림 1. 연구의 틀 19
그림 2. 3차원 척추 안정화 운동 장비 22
그림 3. 등속성 장비를 이용한 고유수용성감각 측정 장비 28
그림 4. 균형능력 평가 30
그림 5. 보행분석 시스템 32
그림 6. 체간 근력 비교(*p〈 .05, **p〈 .01) 40
그림 7. 고유수용성감각 비교(*p〈 .05, **p〈 .01) 42
그림 8. 눈 뜨고 시행한 자세안정성 비교(*p〈 .05, **p〈 .01) 44
그림 9. 눈 감고 시행한 자세안정성 비교(*p〈 .05, **p〈 .01) 46
그림 10. 안정성 한계 비교(*p〈 .05, **p〈 .01) 48
그림 11. 기능적 능력 비교(*p〈 .05, **p〈 .01) 56
척추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는 운동 중 하나가 중력을 저항으로 이용한 등척성 운동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3차원 척추 안정화 기기를 이용한 3차원 척추 안정화 운동이 아급성 뇌졸중 환자의 체간 근력, 고유수용성감각, 균형, 보행, 기능적 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 초기 뇌졸중 환자의 체간 안정성 향상을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3개월 이하 아급성 뇌졸중 환자 30명이 참여하였으며, 3차원 척추 안정화 운동군 15명과 앉기 훈련과 몸통 운동군 15명으로 환자들을 무작위 배정하였다. 모든 대상자들은 중추신경계 발달치료를 30분간 수행한 후 추가적으로 3주간 주 6회 회당 30분씩 총 20회의 척추 안정화 운동을 수행하였다. 운동 전과 운동 후 체간 근력, 고유수용성감각, 균형, 보행, 기능적 능력을 측정하였다. 체간 근력은 3차원 척추 안정화 기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고유수용성감각과 균형은 Biodex System Pro 3와 Biodex Balance System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보행은 보행분석 시스템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기능적 능력은 한국판 수정바델 지수, 버그균형척도, 체간손상척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운동 전과 운동 후 각 군내 비교는 대응표본 t-검정을 이용하였고 두 군간 변화량 비교는 독립 t-검정을 이용하였다. 통계학적 유의수준은 .05로 하였다.
본 연구결과 3차원 척추 안정화 운동군과 앉기 훈련과 몸통 운동군 모두 운동 전후 군내 비교에서 체간 근력, 고유수용성감각, 균형, 보행, 기능적 능력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p< .05), 두 군간 변화량 비교에서 3차원 척추 안정화 운동군이 앉기 훈련과 몸통 운동군 보다 체간 근력, 고유수용성감각, 균형, 보행속도, 분당 보장 수, 기능적 능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05).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3차원 척추 안정화 운동은 체간 근력 향상뿐만 아니라 전신이 기울어지는 자극을 통해 다양한 감각들의 상호작용을 유도할 수 있으며, 뇌졸중 환자들의 초기 체간 안정성 향상을 위해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