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I. 서론 9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9

2. 연구의 방법 및 구성 11

II. 관련 연구 13

1. 양하(襄荷, Zingiber mioga R.)의 유효성분과 생리활성 13

2. 기능성 식품소재의 항비만, 지방간 및 당뇨개선 효과 15

3. 발효식품 김치의 질환개선 효과 19

III. 양하추출물과 양하첨가김치의 제조 및 실험방법 21

1. 양하 추출물 제조방법 21

2. 양하 추출물의 항산화 실험방법 22

3. 양하 추출물의 비만억제 실험방법 23

4. 양하 첨가 김치제조 및 실험 방법 28

IV. 양하 추출물을 이용한 비만억제 효과 분석 30

1. 양하의 항산화 활성분석 30

2. 실험동물의 체중 변화량 분석 34

3. 실험동물의 식이섭취량 및 식이효율 분석 38

4. 실험동물의 장기무게 분석 42

5. 실험동물의 혈중 당내성 분석(GTT) 45

6. 실험동물의 혈중 생화학 분석 47

7. 실험동물의 조직학적 분석 50

V. 양하를 첨가한 기능성 김치의 품질학적 특성 연구 54

1. 양하 첨가 김치의 일반성분 분석 54

2. 양하 첨가 김치의 색도 변화 분석 56

3. 양하 첨가 김치의 관능평가 분석 57

VI. 결론 58

1. 연구 결과 58

2. 향후 연구 60

요약 61

ABSTRACT 63

REFERENCES 66

List of Tables

〈Table III-1〉 Experimental design 24

〈Table IV-1〉 Total phenolic contents of Yangha(Zingiber mioga R.) 30

〈Table IV-2〉 Total flavonoid contents of Yangha(Zingiber mioga R.) 31

〈Table IV-3〉 Free radical scavenging ability of Yangha by ABTS... 32

〈Table IV-4〉 Effect of Yangha extract on body weight in experimental groups 36

〈Table IV-5〉 Effect of Yangha extract on daily food intake in experimental groups 40

〈Table IV-6〉 Effect of Yangha extract on glucose levels in... 46

〈Table IV-7〉 Effect of Yangha extract on biochemistry in experimental groups 49

〈Table V-1〉 Composition of Yangha Added kimchi 55

〈Table V-2〉 Hunter's color values of Yangha Added kimchi 56

〈Table V-3〉 Sensory quality of Yangha Added kimchi 57

List of Figures

(Fig. III-1) Experimental materials 21

(Fig. IV-1) Free radical scavenging ferric reducing antioxidant... 33

(Fig. IV-2) Effect of Yangha extract on body weight gain in... 37

(Fig. IV-3) Effect of Yangha extract on FER in experimental groups 41

(Fig. IV-4) Effect of Yangha extract on tissue weight in... 43

(Fig. IV-5) Effect of Yangha extract on image in experimental... 51

(Fig. IV-6) Effect of Yangha extract on tissue stain in experimental... 52

초록보기

 본 연구는 C57BL/6 마우스의 고지방식이 비만유도 (diets induced obesity, DIO) 모델에서 양하 추출물을 저, 중, 고농도로 투여하여 체중억제 효과를 조사 하였다. 또한 이러한 양하를 식품에 활용하기 위해 양하의 항산화 활성 및 김치를 제조하여 품질학적 특성을 검증하였다.

양하 추출물의 고지방식이 비만유도 모델에서의 체중조절 효과를 보기 위해, 여섯 군으로 나누었는데 정상군(C), 음성대조군(N.C), Orlistat 30 mg/kg 경구투여 양성대조군(P.C), 양하 추출물 200 mg/kg 경구투여군(YH_L), 양하 추출물 400 mg/kg 경구 투여군(YH_M), 양하 추출물 800 mg/kg 경구 투여군(YH_H)이었다. 결과적으로 8주간의 연구기간 동안 체중의 증가량의 경우, 정상군에서 6.3 ± 0.7 g의 체중 증가인 반면 음성대조군(N.C)은 체중이 13.2 ± 0.9 g의 체중이 늘어나면서 고지방식 이에 의하여 체중증가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음을 보여 주었다(p<0.05). 음성대조군(N.C) 대비 전체적인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면서 양성대조군(P.C)은 9.2 ± 1.6 g, YH 중농도에서는 9.7 ± 0.8 g, 고농도 군에서 8.6 ± 1.7 g으로 체중 증가량 값이 유의하게 감소함을 보였다(p<0.05). 이는 양하 추출물이 용량 의존적으로 체중 증가량을 정체시키거나 감소하는 것으로 보인다.

생화학적 지표 또한 총 콜레스테롤은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에서 음성대조군(N.C) 은 952.6 ± 36.4 mg/dL으로 전체적인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면서, 양성대조군(P.C)은 891.5 ± 76.0 mg/dL, YH중농도 에서는 912.0 ± 60.6 mg/dL, 고농도 군에서 859.0 ± 43.3 mg/dL로 유의하게 감소함을 보였다(p<0.05). 혈중 중성지질 수치에서 음성대조군(N.C) 은 48.3 ± 7.8 mg/dL으로 전체적인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면서, 양성대조군(P.C)은 45.5 ± 9.7 mg/dL, YH 중농도에서는 32.2 ± 11.3 mg/dL, 고농도군에서 31.0 ± 4.0 mg/dL로 유의하게 감소함을 보였다(p<0.05). 고지방식이에 의한 혈중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 함량이 양하 추출물 투여에 의하여 유의하게 감소함을 보여주었다. 조직학적으로 간과 부고환지방의 H & E 염색 결과,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지방간의 소견이 양하 경구투여에 따라 향상되었고, 부고환의 지방구 또한 감소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양하의 식품으로의 적용을 위해 항산화 연구를 한 결과 라디칼의 소거능력이 우수하여 5%, 10%, 15%의 농도로 양하를 첨가한 김치의 품질적 특성을 보고자 유산균 함량, 염도, pH, 무기질 농도, 색도변화 및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양하를 첨가한 김치의 유산균수는 양하 시료의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고, 특히 10% 농도의 김치에서 유산균 수가 가장 높았음을 확인하였다. 양하의 농도가 높을수록 명도는 밝아졌고, redness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특히 10%와 15% 농도에서 붉은 색은 감소하였다. 관능검사인 기호도, 맛, 색 및 풍미의 기호성은 10% 농도에서 높게 나타났다(p<0.05).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양하는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항산화 효과가 있었으며, 또한 양하는 선호도를 증가시키는 소재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양하를 김치에 첨가하여 여러 질환을 개선하는 고부가 가치의 기능성 김치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