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 요약 7

제1장 서론 9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9

1.2. 연구 문제 14

제2장 이론적 배경 15

2.1. 어머니의 문해 상호작용 15

2.2. 어머니의 문해 상호작용과 유아의 어휘력 19

2.2.1. 유아의 어휘력 19

2.2.2. 어머니의 문해 상호작용과 유아의 어휘력 22

2.3. 어머니의 문해 상호작용과 유아의 읽기흥미 23

2.3.1. 유아의 읽기흥미 23

2.3.2. 어머니의 문해 상호작용과 유아의 읽기흥미 26

제3장 연구 방법 29

3.1. 연구 대상 29

3.2. 연구 도구 32

3.2.1. 어머니의 문해 상호작용 32

3.2.2. 유아의 어휘력 34

3.2.3. 유아의 읽기흥미 35

3.3. 연구 절차 38

3.3.1. 예비조사 38

3.3.2. 본조사 38

3.4. 자료 분석 40

제4장 연구 결과 및 해석 41

4.1. 어머니의 문해 상호작용이 유아의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43

4.2. 어머니의 문해 상호작용이 유아의 읽기흥미에 미치는 영향 47

제5장 논의 및 결론 48

5.1. 논의 48

5.1.1. 어머니의 문해 상호작용이 유아의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48

5.1.2. 어머니의 문해 상호작용이 유아의 읽기흥미에 미치는 영향 51

5.2. 결론 56

참고문헌 58

부록 68

〈부록 1〉 어머니의 문해 상호작용 질문지 69

〈부록 2〉 유아의 읽기흥미 검사 채점지 73

ABSTRACT 74

표목차

〈표 1〉 연구 대상 유아의 연령 및 성별 수와 평균 월령 29

〈표 2〉 연구대상 어머니의 인구학적 배경 31

〈표 3〉 어머니의 문해 상호작용 유형별 내적합치도 34

〈표 4〉 유아의 읽기흥미 하위요인별 내적합치도 37

〈표 5〉 측정 변인들의 가능한 점수범위와 문항평균 및 표준편차 41

〈표 6〉 어머니의 문해 상호작용과 유아의 어휘력 간 적률상관계수 44

〈표 7〉 어머니의 문해 상호작용이 유아의 수용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45

〈표 8〉 어머니의 문해 상호작용이 유아의 표현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46

〈표 9〉 어머니의 문해 상호작용과 유아의 읽기흥미 간 적률상관계수 47

초록보기

본 연구는 어머니의 문해 상호작용이 유아의 어휘력과 읽기흥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 소재 어린이집 6개소에 재원하고 있는 만 3~4세 유아 121명과 그들의 어머니였다. 어머니의 문해 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해 손승희와 김명순(2012b)이 개발한 부모 문해 상호작용 평정 척도를 사용하였고, 유아의 어휘력을 측정하기 위해 수용·표현 어휘력 검사(Receptive Expressive Vocabulary Test: REVT, 김영태, 홍경훈, 김경희, 장혜성, 이주연, 2009)를 실시하였다. 또한 유아의 읽기흥미를 측정하기 위해 Mata (2011)가 개발한 읽기·쓰기 동기 검사 도구(Motivation for Reading & Writing Profile: MRWP) 중 읽기 동기 검사 부분을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문해 상호작용 질문지는 어머니가 작성한 후 어린이집을 통해 회수하였으며, 유아의 어휘력과 읽기흥미 검사는 연구자가 직접 기관을 방문하여 연구 대상 유아들에게 개별적으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기술통계,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들을 요약하고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문해 상호작용이 유아의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문해 상호작용 유형 중 개방적 상호작용이 유아의 어휘력에 유의한 영향력을 나타냈다. 즉 어머니가 자녀와 총체적 언어 접근법에 기초한 개방적인 문해 상호작용을 많이 나누는 것은 유아의 수용어휘력과 표현어휘력 향상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어머니의 문해 상호작용이 유아의 읽기흥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유의한 영향력을 나타내지 않았다. 즉 어머니가 자녀와 나누는 문해 상호작용은 유아의 읽기흥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어머니의 문해 상호작용은 만 3~4세 유아의 어휘력 발달과 관계가 있으며, 어머니가 개방적 상호작용을 사용하는 것은 유아의 수용어휘력과 표현어휘력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