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0
I. 서론 13
1. 연구목적 13
2. 연구방법 및 구성 16
II. 로슬러의 작업경향과 작품 형성배경 24
1. 초기작품 전개과정 24
2. 《Garage Sale》 프로젝트 구성 36
III. 《Garage Sale》 프로젝트의 예술적 전략 46
1. 연극적 공간 연출:중고 오브제와 조명 효과 47
2. 히피 페르소나(Hippie Persona): 히피여성 캐릭터 수행 54
3. 생소화 효과(Verfremdungs effekt): 시청각 장치 설치 62
IV. 《Garage Sale》 프로젝트의 중고장터: 시장과 반시장의 탈경계 72
1. 판매, 구매, 그리고 기부: 관계의 장 72
2. 전시공간의 시장화와 미술관 제도비판 82
3. 전시 참여자의 구분 와해 89
V. 결론 96
참고문헌 100
ABSTRACT 129
표 1. 《Garage Sale》 프로젝트(1973-2012)의 전시 연대표(Time Line) 37
도판 1. 마사 로슬러, 〈인사말〉, 1965 108
도판 2. 마사 로슬러, 〈무제〉, 1966 108
도판 3. 마사 로슬러, 〈빨간 줄무늬의 부엌〉, 1966~1972 109
도판 4. (시계방향 순으로) 펠 스타인메츠, 마사 로슬러, 앨런 세쿨라, 프레드 로니디엘의 사진, 1976 109
도판 5. 에바 헤세의 스튜디오 전경, 1965-66 110
도판 6. 마사 로슬러, 〈무제〉, 1970-73 110
도판 7. 마사 로슬러, 〈무제〉, 1971 110
도판 8. 마사 로슬러, 〈무제〉, 1971 111
도판 9. 마사 로슬러, 〈베트남 남부, 풀로 콘도르 감옥... 111
도판 10. 마사 로슬러, 〈대규모 차고판매〉, 샌디에이고,... 112
도판 11. 마사 로슬러, 〈순회차고판매〉, 샌프란시스코, 1977 113
도판 12. 마사 로슬러, 〈순회 차고판매〉, 비엔나,... 113
도판 13. 마사 로슬러, 〈순회 차고판매〉, 로테르담, 2000 114
도판 14. 마사 로슬러, 〈대규모 차고판매〉, 뉴욕, 2000 114
도판 14-1. 마사 로슬러, 〈대규모 차고판매〉, 뉴욕,... 115
도판 15. 마사 로슬러, 〈순회 차고판매〉, 스톡홀름, 2002 115
도판 16. 마사 로슬러, 〈대규모 차고판매〉, 더블린,... 116
도판 17. 마사 로슬러, 〈런던 차고판매〉, 런던, 2005 116
도판 18. 마사 로슬러, 〈여행하는 차고판매〉, 베를린,... 117
도판 19. 마사 로슬러, 〈공정무역 차고판매〉, 아트바... 117
도판 20. 마사 로슬러, 〈메타-대규모 차고판매〉, 뉴욕 MoMA, 2012 118
도판 21. 클래스 올덴버그, 〈상점〉, 1961~1962 118
도판 22. 마사 로슬러, 〈대규모 차고판매〉, 샌... 119
도판 23. 마사 로슬러, 〈순회 차고판매〉... 119
도판 24. 1960~1970년대 미국 히피들의 이미지 120
도판 25. '차고세일은 마인드의 메타포인가'라는 문구가 적... 120
도판 26. 여자 목소리가 녹음된 오디오 테이프 121
도판 27. 사진 슬라이드 121
도판 27-1. 백인 가족사진이 영사되고 있던 사진 슬... 121
도판 28. 마사 로슬러, 〈대규모 차고판매〉, 1973, 차고세일을 위한 홍보 전단지 122
도판 29. 마사 로슬러, 〈대규모 차고판매〉, 더블린, 2004, 전시 관람자 122
도판 30. 마사 로슬러, 〈공정무역 차고판매〉, 아트바젤, 2010, 전시 관람자 123
도판 31. 마사 로슬러, 〈메타-대규모 차고판매〉, 뉴욕... 123
도판 32. 마사 로슬러, 〈메타-대규모 차고판매〉, 뉴욕 MoMA, 2012, 전시홍보 페이스북 페이지 이미지 124
도판 33. 마사 로슬러, 〈메타-대규모 차고판매〉, 뉴욕 MoMA, 2012, 중고물품에 붙어 있는 다양한 문구들 125
도판 34. 〈메타-대규모 차고판매〉, 뉴욕 MoMA, 2012, 전시당시 로슬러의 모습 125
도판 34-1. 〈메타-대규모 차고판매〉, 뉴욕 MoMA,... 126
도판 35. 〈메타-대규모 차고판매〉, 2012,... 127
도판 36. 〈메타-대규모 차고판매〉, 2012, 전시 홈페이지의 "행복한 구... 127
도판 37. 《차고세일표준》 전자 신문 128
도판 38. 《차고세일표준》 전자신문에 포함된 삽화 128
본 논문은 마사 로슬러(Martha Rosler, 1943~)의 《Garage Sale》 프로젝트(1973~2012)에 대한 연구이다. 《Garage Sale》 프로젝트는 로슬러가 미국의 차고세일(Garage Sale) 문화를 주제로 1973년부터 2012년까지 총 14회 제작 발표한 작업이다. 차고세일은 가정의 차고나 앞마당에서 마을 주민 혹은 낯선 이웃에게 중고 물품을 내놓고 저렴한 가격에 판매하는 개방적인 특성을 지니며 교외지역의 이웃들 간의 사회적 교류를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로슬러는 이러한 차고세일의 중고장터 구조를 그대로 미술 작품으로 제시하면서 삶과 예술, 개인과 사회, 고급과 저급 등과 같은 이중적 요소들을 결합하고 그 의미가 교차하는 형식을 보여준다. 이러한 《Garage Sale》 프로젝트는 미국의 평범한 가정의 일상에 내재된 자본주의 사회의 이데올로기에 주목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 미술 제도와 관례적인 생산과 유통 시스템, 그리고 관람자의 지위와 같은 문제들을 비평적으로 제시한다.
《Garage Sale》 프로젝트는 퍼포먼스 설치 작품이라는 공통된 형식을 지니지만, 각 전시들은 장기간에 걸쳐 시간의 간격을 두고 발표된 만큼 작품의 형식과 전략은 점차 구체화되며 발전하는 양상을 보인다. 로슬러는 중고장터라는 상황을 창출하여 관람자와 가격 흥정을 통해 중고물품을 판매했으며 관람자는 기부와 구입을 통해 전시에 참여할 수 있었다. 작품 형식의 근간이 되는 1970년대의 초기 전시들의 경우 로슬러가 중고 오브제의 배치와 히피 페르소나 역할 수행, 그리고 다양한 시청각 장치들의 설치를 통해 작품의 구성을 견고히 하는 과정이었다. 이러한 작품 구성의 주축을 이루는 예술적 전략으로써 로슬러는 브레히트(Bertolt Brecht)의 서사극과 생소화 효과의 영향을 반영하고 있다. 이를 통해 차고세일이라는 익숙한 상황을 재현하면서도 관람자의 작품 경험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을 전략적으로 삽입하였다. 이 요소들은 전시에서 재현된 중고장터의 상황을 관람자가 미술작품의 한 부분으로 인식하도록 하는 역할이었으며, 관람자가 작품과 거리를 두고 능동적으로 상품의 교환가치와 상품 물신주의에 대한 메시지를 재고하도록 한다. 로슬러는 이러한 구성으로 차고세일이라는 일상의 소재와 예술의 효과적인 결합을 시도하며 관람자의 적극적인 작품 관람과 참여를 지향한다.
한편 《Garage Sale》 프로젝트의 1970년대 전시들은 미국의 교외지역이라는 한정된 지역 공동체의 참여를 촉구했다면, 1999년부터 전시들은 순회 회고전 특징이 부각되면서 전시공간의 물리적 이동을 통한 보다 넓은 공동체의 전시 참여를 요청하고 있다. 이러한 1990년대 이후에 전시 장소를 이동하는 유목적 특성과 함께, 중고장터를 매개로 관람자와 관계를 맺고 소통하는 작품의 배경은 부리요(Nicolas Bourriaud)의 관계미학(relational aesthetics)을 연상시킨다. 그러나 전시에서 로슬러는 단순히 관람자가 참여할 수 있는 중고장터의 유희적 상황 연출만을 목표로 한 것은 아니라 볼 수 있다.
로슬러는 《Garage Sale》 프로젝트에서 중고장터를 통해 전시공간을 시장화하고, 미술관이 감추고 있었던 상업성을 드러내면서 제도화된 공간이 갖는 이데올로기적 관행들을 비판적으로 재고하게 만든다. 전시에서 중고물품 거래는 소비의 메커니즘 안에 있지만 자본주의 사회의 시장경제 체제에서 대안적이라 할 수 있는 유통방식들을 제시한다. 예를 들어 전시에서 관람자와 중고물품의 가격 흥정을 통한 상품 거래는 선물 교환체제이자 부등가 교환체제이며, 전시 수익금의 기부행위, 그리고 소비재인 중고물품의 사용가치가 재순환 되는 과정은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 저항하는 시도를 보여준다. 이와 함께 로슬러는 미술관 안에 내재된 관람자 구성원의 계층 구분과 계급 분리를 회의적으로 바라보며 중고장터를 매개로 다양한 전시 관람 주체의 직접적인 참여를 독려한다. 로슬러는 미술관 관람자 층의 대다수를 자치하는 일반 대중과 고급문화로부터 배제된 계층을 비롯하여 다양한 전시관람 주체를 미술관으로 수용하기 위해 모색하며, 관람자를 능동적인 전시 참여자로 유도하기 위한 방안을 실천한다. 예를 들어 전시에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한 관람 루트와 전시 프로그램 일환이었던 대담형식의 토론장, 그리고 전자신문 발간은 관람자의 관심과 참여를 촉구할 뿐만 아니라 중고장터의 소비경험을 넘어서는 다층적인 전시 경험을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로슬러의 《Garage Sale》 프로젝트에서 중고장터를 재현하기 위한 예술적 전략과 함께 작품과 관람자 간의 관계, 그리고 미술가가 어떠한 의미를 구축하는지 살펴보았다. 로슬러는 미술관에서 중고장터라는 시장의 상황을 재현함으로써 일상과 미술의 결합을 시도하고 자본주의 사회의 상품 교환체제와 시장경제에 대안적인 가치들을 제시하며 효과적으로 사회적 논제를 다루고 있다. 이러한 전시의 형식적, 내용적 특성은 관람자를 적극적인 참여자로 부각시키며 수동적인 전시 관람자에서 능동적인 전시 참여 주체로의 전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전시장에서 관람자 계층과 미술관 구성원이라는 구분을 와해시키는 시도와 함께 다층적인 관람 주체가 전시에 참여 할 수 있도록 중고장터를 미술 작품으로 제시했다고 할 수 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