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I. 서론 9

II. 본론 14

1. 이론적 배경 14

1) 염색 14

2) 섬유의 염착 메커니즘 14

3) 염료의 분류 16

4) 매염제 18

2. 재료 및 방법 19

1) 염료의 종류 및 특성 19

2) 염색 시료 준비 23

3) UV-vis Spectrophotometer 24

4) 염료 반응 실험 24

5) 색차계를 통한 색상 변화 측정 25

III. 실험결과 27

1. UV-vis Spectrophotometer 결과 27

2. 염료 반응 실험 결과 31

1) Alizarin 32

2) Purpurin 36

3) Carthamin 40

4) Curcumin 43

5) Indigo 46

IV. 고찰 및 결론 49

참고문헌 57

국문초록 60

Abstract 62

List of Tables

Table 1. Color representation according to color difference value 26

Table 2. Sample display method 31

List of Figures

Fig 1. Bonding of a natural dye to cellulose by means of a mordant... 16

Fig 2. Structure of Alizarin 19

Fig 3. Structure of Purpurin 20

Fig 4. Structure of Carthamin 21

Fig 5. Structure of Curcumin 21

Fig 6. Structure of Indigo 22

Fig 7. UV-vis spectrophotometer results of Alizarin and... 28

Fig 8. UV-vis spectrophotometer results of Purpurin and... 29

Fig 9. UV-vis spectrophotometer results of Carthamin and... 29

Fig 10. UV-vis spectrophotometer results of Curcumin and... 30

Fig 11. UV-vis spectrophotometer results of Indigo and... 30

Fig 12. Results of acid / base reaction of linen samples dyed with... 34

Fig 13. Results of acid / base reaction of silk samples dyed with... 35

Fig 14. Results of acid / base reaction of linen samples dyed with... 38

Fig 15. Results of acid / base reaction of silk samples dyed with... 39

Fig 16. Results of acid / base reaction of linen samples dyed with... 41

Fig 17. Results of acid / base reaction of silk samples dyed with... 42

Fig 18. Results of acid / base reaction of linen samples dyed with... 44

Fig 19. Results of acid / base reaction of silk samples dyed with... 45

Fig 20. Results of acid / base reaction of linen samples dyed with... 47

Fig 21. Results of acid / base reaction of silk samples dyed with... 48

Fig 22. Example of conjugated double bond(E-carotene) 51

Fig 23. Mechanism of fixation of natural dyes through mordants 52

Fig 24. Oxidation(a)-reduction(b) reaction of alizarin 54

Fig 25. (a) Lewis structure of ethoxide... 55

초록보기

 염색된 직물은 시간의 흐름, 환경적 요인 등에 따라 색상이 변화할 수 있다. 지금까지 일광 견뢰도, 세탁 견뢰도 등에 대한 연구는 진행되었지만, 색상 변화에 중요 요인이 될 수 있는 산, 염기에 따른 색상 변화에 대한 연구를 비교 분석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외/가시선 분광광도법(UV-Vis Spectrophotometer)을 이용하여 염료와 매염제의 첨가에 따른 변화를 확인하고, 섬유 종류와 매염법에 따른 염착 색상의 차이 및 산성, 염기성 상태에 따른 화학적 변화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염료 주성분인 합성 화합물을 이용하여 염색을 실시하여 표준시료를 제작하였다. 분석결과 염료의 매염제 첨가 여부에 따른 색상 변화가 존재했으며, 염착 되어도 유사한 색상으로 염색 되었다. 그러나 알리자린의 경우 염액에서의 색상과 섬유에 염착 후 색상이 확연히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염료로 염색시킨 시료의 산, 염기 실험에서는 염료별로 색상 변화 양상이 다양함을 확인 가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