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제1장 서론 10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0
제2절 연구방법 13
제3절 논문의 구성 14
제2장 이론적 배경 16
제1절 완벽주의(Perfectionism) 16
1. 완벽주의의 개념과 정의 16
2. Frost등의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FMPS) 19
3. Hewitt & Flett의 다차원적 완벽주의(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HMPS) 21
4. 부적응적/적응적 완벽주의 25
제2절 자존감(Self-esteem)과 조직기반자존감(OBSE) 34
1. 자존감의 개념 및 정의 34
2. 조직기반자존감(Organization Based Self-Esteem: OBSE) 38
3. 자존감의 원천 39
4. 자존감의 수준 41
5. 자존감의 안정성 44
6. 자존감과 자기효능감의 차이 46
제3절 팀워크(Teamwork)와 팀성과(Team Performance) 47
1. 팀의 개념과 정의 47
2. 팀의 특징 48
3. 팀워크의 개념과 정의 52
4. 팀워크의 구성요인 55
5. 팀성과 59
제3장 변수간 선행연구와 가설 61
제1절 완벽주의와 조직기반자존감간 관계 61
제2절 조직기반자존감과 팀워크간 관계 64
제3절 팀워크와 팀성과간 관계 66
제4절 완벽주의, 조직기반자존감, 팀워크 및 팀성과간 관계 67
제4장 연구방법 70
제1절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70
제2절 표본의 특성 70
제3절 측정도구 71
1. 완벽주의의 측정 72
2. 조직기반자존감의 측정 73
3. 지각된 팀워크 및 팀성과의 측정 74
제5장 연구결과 78
제1절 측정도구의 신뢰성 분석 78
제2절 측정도구의 타당성 분석 79
제3절 변수간 상관관계 분석 83
제4절 연구가설의 검증 83
1. 완벽주의가 조직기반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84
2. 조직기반자존감이 지각된 팀워크 및 팀성과에 미치는 영향 86
3. 팀성과에 대한 지각된 팀워크의 영향 87
4. 연구개발 인력의 완벽주의와 팀성과간 관계에서 직렬다중매개효과 87
제5절 연구변수의 집단수준 추가분석 97
1. 집단수준 분석의 선행조건 검토 97
2. 집단수준 변수간 상관관계 101
3. 집단수준의 완벽주의가 조직기반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102
4. 지각된 팀워크에 대한 완벽주의 및 조직기반자존감의 영향: 집단수준 분석 103
5. 집단수준 팀성과에 대한 지각된 팀워크의 영향 104
6. 연구개발 인력의 완벽주의와 팀성과간 직렬다중매개효과: 집단수준 분석 104
제6장 결론 111
제1절 연구결과의 논의 111
제2절 연구의 한계점 115
제3절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 117
제4절 향후 연구방향 120
참고문헌 123
ABSTRACT 157
부록 160
〈그림 3-1〉 연구모형 69
〈그림 5-1〉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팀성과 간 직렬다중매개 완전모형 90
〈그림 5-2〉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팀성과 간 직렬다중매개 완전모형 91
〈그림 5-3〉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팀성과간 직렬다중매개... 106
〈그림 5-4〉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팀성과 간 직렬다중매개... 107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