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논문개요

목차

I. 서론 13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3

2. 연구문제 18

3. 용어의 정의 19

가. 세시풍속 19

나. 유아전통문화교육 19

II. 이론적 배경 20

1. 유아전통문화교육 20

가. 유아전통문화교육의 중요성 20

나. 유아전통문화교육의 내용 및 방법 25

2. 세시풍속 30

가. 세시풍속의 개념 30

나. 세시풍속의 형성과 특징 32

다. 세시풍속의 내용 35

라. 세시풍속의 유아교육적 가치 57

3. 세시풍속과 유아전통문화 교사교육 62

가. 세시풍속과 유아전통문화교육 62

나. 세시풍속 중심의 유아전통문화 교사교육 65

III. 유아전통문화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70

1. 분석단계 72

가. 문헌분석 72

나. 요구분석 78

2. 설계단계 97

가.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교육 목표 선정 98

나.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교육 내용 선정 98

다.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방법 선정 108

라.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교육 평가 방법 선정 108

마.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방법 선정 109

바. 교사교육 프로그램 1차 시안 110

3. 개발단계 113

가. 프로그램 시안 전문가 내용타당도 검증 113

나. 프로그램 예비 연구 118

4. 실행단계 132

가. 프로그램 실행 연구대상 133

나. 프로그램 실행 연구자 134

다. 프로그램 실행 절차 134

라. 자료수집 과정 136

마. 세시풍속 중심의 유아전통문화 교사교육 프로그램 시안 실행적용 과정 137

5. 평가단계 150

가. 평가절차 151

나. 평가 결과 152

IV. 유아전통문화 교사교육 프로그램 구성 163

1.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교육목표 163

2.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교육내용 164

3.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교수-학습방법 165

4.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교육평가 166

5.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운영방법 166

V. 논의 및 결론 171

1. 논의 171

2. 결론 및 제언 174

참고문헌 178

부록 8

〈부록 1〉 설문지 188

〈부록 2〉 유아전통문화 교사교육 프로그램에 적용 가능한 '절기'의 풍속 내용 194

〈부록 3〉 유아전통문화 교사교육 프로그램에 적용 가능한 '명절'의 풍속 내용 207

〈부록 4〉 '절기' 세시풍속의 유아전통문화교육 구체적 현장 적용 방안 내용 222

〈부록 5〉 '명절' 세시풍속의 유아전통문화교육 구체적 현장 적용 방안 내용 241

〈부록 6〉 세시풍속 중심의 유아전통문화 교사교육 프로그램 교육활동의 예 261

〈부록 7〉 프로그램 만족도 평가서 273

ABSTRACT 274

표목차

〈표 III-1〉 프로그램 시안의 교육목표 추출을 위한 문헌 분석 결과 73

〈표 III-2〉 유아교육 현장에서 전통문화교육으로 실행되는 세시풍속의... 75

〈표 III-3〉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방법 유형 76

〈표 III-4〉 심층면담 대상의 일반적 배경 78

〈표 III-5〉 전문가 심층면담 문항 79

〈표 III-6〉 요구조사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배경 85

〈표 III-7〉 세시풍속 중심의 유아전통문화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요구... 86

〈표 III-8〉 세시풍속 중심의 유아전통문화교육의 필요성 88

〈표 III-9〉 세시풍속 중심의 유아전통문화교육이 필요한 이유 89

〈표 III-10〉 세시풍속 중심의 유아전통문화교육의 실시 정도 90

〈표 III-11〉 세시풍속 중심의 유아전통문화교육을 지도하기 힘든 이유 90

〈표 III-12〉 세시풍속 중심의 유아전통문화교육 지도 방법 및 교육 자원 91

〈표 III-13〉 교육 실행을 위해 교사가 갖추어야 할 요건 92

〈표 III-14〉 세시풍속 중심의 유아전통문화 교사교육 참여 유무 93

〈표 III-15〉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도움 정도 93

〈표 III-16〉 세시풍속 중심의 유아전통문화 교사교육의 필요성 인식도 94

〈표 III-17〉 교사교육 프로그램 운영 방식에 대한 요구도 95

〈표 III-18〉 세시풍속 중심의 유아전통문화 교사교육 내용 분류 체계 99

〈표 III-19〉 유아전통문화 교사교육 프로그램에 적용 가능한 '절기'... 100

〈표 III-20〉 유아전통문화 교사교육 프로그램에 적용 가능한 '명절' 풍속... 101

〈표 III-21〉 '절기' 세시풍속의 유아전통문화교육 구체적 현장 적용... 103

〈표 III-22〉 '명절' 세시풍속의 유아전통문화교육 구체적 현장 적용... 105

〈표 III-23〉 세시풍속 중심의 유아전통문화 교사교육 프로그램 1차 시안 110

〈표 III-24〉 세시풍속 중심의 유아전통문화 교사교육 프로그램 회차별... 111

〈표 III-25〉 세시풍속 중심의 유아전통문화 교사교육 프로그램 시안... 114

〈표 III-26〉 세시풍속 중심의 유아전통문화 교사교육 프로그램 시안 전문가... 115

〈표 III-27〉 교사교육 프로그램 예비연구 참여 교사의 일반적 배경 119

〈표 III-28〉 프로그램 만족도 조사 결과 121

〈표 III-29〉 세시풍속 중심의 유아전통문화 교사교육 프로그램 수정의 구성 129

〈표 III-30〉 세시풍속 중심의 유아전통문화 교사교육 프로그램 수정의 조직 130

〈표 III-31〉 프로그램 참여자의 일반적 배경 133

〈표 III-32〉 세시풍속 중심의 유아전통문화 교사교육 프로그램 교육활동의 예 135

〈표 III-33〉 연구 참여 교사의 교사교육 프로그램 적용 전 세시풍속을... 139

〈표 III-34〉 연구 참여 교사의 교사교육 프로그램 적용 후 세시풍속을... 144

〈표 III-35〉 프로그램 만족도 평가 설문지 문항 구성 151

〈표 III-36〉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교육 목표 회기별 만족도 평가 결과 153

〈표 III-37〉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교육 내용 회기별 만족도 평가 결과 155

〈표 III-38〉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방법 회기별 만족도 평가 결과 158

〈표 IV-1〉 세시풍속 중심의 유아전통문화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최종안 167

〈표 IV-2〉 세시풍속 중심의 유아전통문화 교사교육 프로그램 최종 활동안 168

그림목차

[그림 III-1] 세시풍속 중심의 유아전통문화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절차 71

[그림 III-2] 교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조사 심층면담 분석 결과 81

[그림 III-3] 프로그램 교육 목표의 수정 전후 116

[그림 III-4] 프로그램 교육 내용의 수정 전후 117

[그림 III-5] 프로그램 교수-학습 방법의 수정 전후 117

[그림 III-6] 교사교육 후 통합적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교육계획안 작성 예시 147

초록보기

 본 연구는 세계화 시대를 살아가는 유아들에게 주체적 의식이 바탕이 된 문화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관점에서 시작하였다. 문화는 한 사회의 생활양식이자 상징체계로 사회 구성원으로서 교육을 통해 습득하고 따르는 삶의 방식이다. 이때 중요한 것은 개인 혹은 국가의 존재 가치를 결정할 수 있는 문화 주체성과 정체성을 내부의 문화에서 찾아 나가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 문화는 일제강점기 동안 후세대로의 전달과정에서 단절이 있었고 해방 이후 무비판적 서구 문물 수용으로 전달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유아교육계에서는 세계화 시대에 맞는 한국문화정체성교육 및 한국전통문화교육과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자성과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유아들의 우리 문화에 대한 교육적 경험에 영향을 주는 유아교사들은 전통문화교육에 대한 필요성은 인식하나 현장에서 유아를 대상으로 교육 할 수 있는 지식과 교육적 방법에 대해 스스로 부족함을 느끼고 있다. 특히 생활주제 중심으로 일상생활에서 지속적인 연결 교육을 진행하는데 있어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그러나 현재 선행된 연구에서는 전통하위문화를 중심으로 전통문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유아들에게 적용한 연구가 대부분이고, 교사들을 위한 전통문화교육은 인식과 실태를 조사한 것이 있을 뿐 유아교사들을 위한 전통문화 교사교육 프로그램은 부족한 실정이다.

세시풍속은 주제중심의 유아교육 및 다학문적 통합교육을 강조하는 유아교육에 매우 적합한 주제이며, 현 국가수준 누리과정 지도서의 맥락과 한국전통문화를 연계하는 교육 실천의 효율성 있는 구체적인 접근 방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활주제 및 일상생활과 연결하여 교육할 수 있는 전통문화교육의 방안으로 한 해를 중심으로 계절의 반복에 따라 문화적 총체의 집약인 세시풍속을 중심으로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실행할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세시풍속 중심의 유아전통문화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과정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세시풍속 중심의 유아전통문화 교사교육 프로그램 구성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1. 세시풍속 중심의 유아전통문화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교육 목표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2. 세시풍속 중심의 유아전통문화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교육 내용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3. 세시풍속 중심의 유아전통문화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방법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4. 세시풍속 중심의 유아전통문화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평가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ADDIE 교수설계 모형을 사용하였고, 이 절차에 따라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 단계를 거처 세시풍속 중심의 유아전통문화 교사교육 프로그램 최종안을 확정하였다.

연구 결과 프로그램 목표는 유아교사들이 유아전통문화교육에 대해 이해하고 유아교육 현장에서 실제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 전통문화교육의 가치와 중요성을 인식하여 이를 계승 발전시키고자 노력하며, 유아의 국가 정체성 형성을 돕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문화에 대한 자긍심과 긍정적인 태도를 갖추어 전통문화를 현대 사회에 맞게 재창조하며, 일생생활 속에서 즐기고, 실제 유아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계획할 수 있는 것을 목표로 선정하였다.

프로그램 교육 내용은 유아전통문화교육의 특성, 교육적 가치, 전통유아교육사상, 전통하위 문화의 이해를 바탕으로 세시풍속이 중심이 된 유아전통문화교육 내용을 선정하였다. 나아가 유아교육 현정에 연간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실제 교육과정을 계획, 적용, 평가할 수 있는 교사가 양성되는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 교수-학습 방법으로는 강의, 토의, 사례발표, 시청각 교육, 워크숍, 견학, 실습이 사용되었고, 프로그램 평가를 위해서는 교사교육 참여교사의 프로그램 만족도 설문지, 녹음자료, 활동 결과 분석, 저널 분석, 교사협의, 교사 심층 면담을 사용하였다.

프로그램의 운영 방식은 유아전통문화교육에 관심이 있는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소집단 집합 연수 방식으로 구성하였고, 연 1회 12주 프로그램으로 운영하였으며, 1회 교육은 평균 2시간 내외로 실행하는 것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세시풍속의 계절성과 시기성을 바탕으로 유아교육현장 적용의 가치를 높게 평가하여 유아전통문화교육을 구현할 수 있는 통합적 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접근 방법으로 선정하였다. 이에 세시풍속과 관련하여 세시 본연의 의미를 되살릴 수 있는 유아교육적 관점이 반영된 통합적인 정보를 구축하는 연구를 실천하였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