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초록 11
Abstract 13
Nomenclatures 16
제1장 서론 19
1.1. 연구 배경 19
1.2. 연구 동향 22
1.3. 연구 내용 및 구성 26
제2장 진공흡입식 배관 청소로봇 시스템 27
2.1. 배관 청소로봇 시스템 개요 27
2.2. 배관 청소로봇 구성 29
2.2.1. 세척부 31
2.2.2. 주행부 37
2.2.3. 로터리 조인트 41
2.2.4. 유니버설 조인트 41
2.2.5. 진공 흡입부 42
2.2.6. 외부 연결부 43
2.2.7. 보조 캐리어 44
2.2.8. 배관 청소로봇 설계사양 45
2.3. 외부 지원시스템 46
2.3.1. 워터제트 장치 46
2.3.2. 진공 지원 장치 47
2.3.3. 공기 압축기 49
제3장 구조해석 및 유동해석 50
3.1. 개요 50
3.2. 로봇 구조해석 51
3.2.1. 선형 구조 및 유한요소 이론 51
3.2.2. 구조해석 55
3.2.3. 구조해석 및 고찰 60
3.3. 지원 장치 유동해석 62
3.3.1. 유동해석 62
3.3.2. 유동해석 및 고찰 63
제4장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 64
4.1. 통합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 64
4.2. 데이터 수집 및 신호처리 시스템 69
4.2.1. 압력측정 장치 70
4.2.2. 영상취득 장치 75
4.2.3. 전원공급 장치 81
4.2.4. 장치 구성 82
4.3. GUI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 83
4.3.1. 장치 구성 85
제5장 실험 및 실험 결과 87
5.1. 실험 환경 87
5.2. 주행 시뮬레이션 89
5.3. 실험 및 고찰 90
5.3.1. 로봇 성능 실험 90
5.3.2. 주행 속도 실험 93
5.3.3. 세척 속도 실험 94
5.3.4. 워터제트 분사 실험 94
5.3.5. 통합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 실험 95
5.3.6. 성능 실험 및 고찰 102
제6장 결론 103
참고 문헌 105
Fig. 1.1. Flow rate reduction rate due to pipe aging 20
Fig. 1.2. Configuration of robo series 23
Fig. 1.3. Configuration of MRINSPECT series 24
Fig. 1.4. Conventional pipe cleaning method with the scrapping tools 25
Fig. 1.5. Configuration of the water-jet cleaning robot for WARECO 25
Fig. 2.1. Layout of the pipe cleaning procedure 28
Fig. 2.2. Configuration of the cleaning robot 29
Fig. 2.3. Principle of the vacuum suction and discharge for the scale 30
Fig. 2.4. Various spray patterns of the nozzle orifice 33
Fig. 2.5. Theoretical spray range from the nozzle orifice 34
Fig. 2.6. Configuration of the injection nozzles and the scrapping tools 36
Fig. 2.7. Angle of the injection nozzle and spray 36
Fig. 2.8. Configuration of the screw driving wheel units 37
Fig. 2.9.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wheel set 38
Fig. 2.10. Stroke of air cylinder for the screw driving unit 39
Fig. 2.11. Stroke of air cylinder for the auxiliary wheel set 39
Fig. 2.12. Configuration of the rotary joint 41
Fig. 2.13. Configuration of the universal joint 42
Fig. 2.14. Configuration of the vacuum suction part 42
Fig. 2.15. Principle of the vacuum pressure control 43
Fig. 2.16. Structure of the external connection devices 44
Fig. 2.17. Configuration of the auxiliary carrier 44
Fig. 2.18. Prototype of the pipe cleaning robot 45
Fig. 2.19. Flow diagram of the water-jet system 47
Fig. 2.20. Vacuum suction principle in the pipe 48
Fig. 2.21. Configuration of the vacuum support system 48
Fig. 3.1. Structural analysis procedure 50
Fig. 3.2. Structural analysis for the major components 55
Fig. 3.3. 3D modeling of the driving unit 56
Fig. 3.4. 3D modeling of the universal joint 57
Fig. 3.5. 3D modeling of the small ball joint 58
Fig. 3.6. 3D modeling of the large ball joint 59
Fig. 3.7. Equivalent stress of the major parts 61
Fig. 3.8. Cone angles of the cyclone 62
Fig. 3.9. Streamlines at particle tracking 63
Fig. 4.1. Diagram of the integrated control system 64
Fig. 4.2. Flowchart of the integrated control system 65
Fig. 4.3. P & ID of the integrated control system 66
Fig. 4.4. Concept of the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68
Fig. 4.5. Configuration of the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69
Fig. 4.6. Data rate and cable length of RS-485 71
Fig. 4.7. Concept of the pressure measuring equipment 73
Fig. 4.8. PCB design of the DAQ module 73
Fig. 4.9. Schematic of the DAQ module 74
Fig. 4.10. Configuration of the image acquisition device 76
Fig. 4.11. Power supply system of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81
Fig. 4.12. Prototype of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82
Fig. 4.13. Prototype of the video frame grabber and receiving device 83
Fig. 4.14. GUI-based monitoring program 84
Fig. 4.15. Source code of the GUI-based monitoring program 85
Fig. 4.16. Prototype console of the integrated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86
Fig. 4.17. Prototype of the DAQ module 86
Fig. 5.1. Major test equipments of the pipe cleaning robot system 87
Fig. 5.2. Dimension of test bench for the pipe cleaning robot 88
Fig. 5.3. Configuration of test bench for the pipe cleaning robot 88
Fig. 5.4. Configuration of the vacuum suction type pipe cleaning robot 89
Fig. 5.5. Movement in the elbow (Max. 45˚) 89
Fig. 5.6. Layout of performance test for the pipe cleaning robot 91
Fig. 5.7. Dimension of the observation pipe (300A) 91
Fig. 5.8. Observation pipes in the test bench 92
Fig. 5.9. Configuration of the performance tests 92
Fig. 5.10. Driving speed test of the pipe cleaning robot 93
Fig. 5.11. Cleaning speed test of the pipe cleaning robot 94
Fig. 5.12. Injection pressure test of the water-jet unit 95
Fig. 5.13. Water-jet injection test of the pipe cleaning robot 95
Fig. 5.14. SPI Communication waveform of the DAQ module 96
Fig. 5.15. SPI Communication expanded waveform of the DAQ module 97
Fig. 5.16. SPI Communication requests waveform of the DAQ module 97
Fig. 5.17. SPI Communication response waveform of the DAQ module 98
Fig. 5.18. RS-485 Communication to transmit pressure data waveform 99
Fig. 5.19. RS-485 Communication to transmit pressure data expanded waveform 99
Fig. 5.20. GUI-based integrated management monitoring 100
Fig. 5.21. Pneumatic pressures of the air motor - forward direction 101
Fig. 5.22. Pneumatic pressures of the air motor - backward direction 101
Fig. 5.23. Internal state of pipe after cleaning by pipe cleaning robot 102
산업현장에 적용되고 있는 배관시스템으로는 상수도관, 하수도관, 송유관, 가스관, 선박의 배관 등이 있으며, 각각의 사용 목적에 따라 직간접적으로 매우 다양하게 우리 생활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중에 상수도관은 우리 실생활에 직접적으로 관계하는 주요 사회기반시설로 양질의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노후화를 예방하고 최적의 상태로 보수 유지하여야 한다.
전 세계 수많은 국가에서 상수도 배관의 노화화란 문제에 직면하고 있어서 보다 효율적으로 상수도 배관을 유지보수하기 위한 청소로봇기술 개발에 상당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정부 차원에서 '배관 청소로봇에 대한 국산화 개발' 을 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으로 선정하여 적극 지원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상수도 배관내부의 청소공정과 세척공정을 단일화하고, 배관을 정량적으로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배관청소와 동시에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신개념의 진공흡입식 배관 청소로봇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진공흡입 및 배출기술은 기존의 다른 배관청소 로봇 연구에서는 제시되지 않은 새로운 방식이며, 본 진공흡입 및 배출기술에 대한 보다 지속적이고 심도 있는 연구를 진행하여 최대 45° 곡관에서의 주행성능, 세척성능 및 배출성능에 대한 성능개량이 이루어 질 경우 실제 상수도 유지보수 현장에서 능률적인 갱생작업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한 배관 청소로봇 및 관련 지원 장치들의 작동 및 청소작업 상태 등을 통합적으로 제어 및 감시할 수 있으며, 향후 다른 로봇 시스템으로도 확장 적용이 가능한 'GUI 기반의 통합 제어 및 모니터링시스템' 을 개발하였다.
최대 45° 곡관이 있는 상수도관내에서 배관 청소로봇의 주요 부품 상호간의 간섭도 및 작동 상태 확인하기 위하여 시제품 제작 전에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결과를 설계에 반영하였다. 또한 실제 시제품을 제작하여 매설 상수도관과 같은 조건의 테스트벤치에서 아래 주요 성능실험을 수행한 결과, 초기 연구 목표를 만족함을 확인하였다.
- 상수도 배관 내 주행 성능
- 청소 성능
- 슬러지 배출 성능
- 통합 제어 및 감시시스템 성능
본 연구의 진공흡입 배출기술을 통하여 상수도관 갱생작업 공정 단축 및 효율적인 배관 청소작업이 가능할 것으로 확인하였으며, 향후 진공흡입기술에 대한 보다 많은 연구를 수행할 경우 2000A 이상의 대형배관 청소로봇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