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제1장 서론 11

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1

1.1. 연구의 배경 11

1.2. 연구의 목적 및 의의 22

2절 연구의 범위 25

2.1. 공간적 범위 25

2.2. 내용적 범위 26

3절 선행연구 검토 27

3.1. 본 연구와 관련한 선행연구 검토 27

3.2. 선행연구와 본 연구의 차별성 33

4절 연구의 방법 34

4.1. 연구의 방법 34

4.2. 연구의 진행과정 36

제2장 이론적 고찰 및 분석의 틀 개발 37

1절 정원박람회와 정원공모전의 개념 정리 37

1.1. 정원박람회의 개념 및 유형 37

1.2. 정원공모전의 개념 및 유형 42

2절 분석의 틀 개발 45

2.1. 기존 정원공모전 연구의 실태분석과 문제 제기 45

2.2. 비전문가 부문 정원공모전의 총체적 평가를 위한 분석 방법 개발 47

2.3. 비전문가 부문 정원공모전 분석 및 평가의 틀 개발 54

제3장 연구대상 선정 및 현황 분석 65

1절 연구대상 선정 65

1.1. 연구대상 선정 기준 65

1.2. 연구대상 개요 67

2절 정원공모전 현황 분석 71

2.1. 게릴라 가드닝 공모전 71

2.2. 국립수목원 생활정원 공모전 75

2.3. 대한민국 한평정원 페스티벌 공모전 79

2.4. 서울정원박람회 포미터 가든 공모전 83

제4장 국내 비전문가 부문 정원공모전 운영의 평가 87

1절 게릴라 가드닝 공모전 87

2절 국립수목원 생활정원 공모전 89

3절 대한민국 한평정원 페스티벌 공모전 91

4절 서울정원박람회 포미터 가든 공모전 94

5절 공모전 평가 내용의 분석 97

6절 정원공모전 평가 내용의 해석 115

제5장 결론 124

1절 연구의 종합 124

2절 연구의 시사점 및 향후과제 127

참고문헌 128

Abstract 133

표목차

[표 1-1] 정원공모전 주최 측에 따른 대상지 범위 25

[표 1-2] 정원박람회 및 공모전에 관한 선행연구 정리 29

[표 1-3] 정원 문화 및 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보고서 선행연구 정리 31

[표 1-4] 정원의 경제적 산업 효과 관련 선행연구 정리 32

[표 1-5] 연구방법의 목적 및 구체적인 항목 35

[표 2-1] '박람회'의 사전적 정의 38

[표 2-2] 2017년 기준 국내 비전문가 부문 정원공모전의 종류와 유형 구분 44

[표 2-3] 전문가 부문 정원공모전 선행 연구 목록 45

[표 2-4] 평가 틀 개발을 위해 참고한 평가 방법론 50

[표 2-5] 비전문가 부문 정원공모전 현황 분석의 틀 54

[표 2-6] 비전문가 부문 정원공모전 운영의 평가 틀 62

[표 2-7] 비전문가 부문 정원공모전 현황분석 및 운영 평가의 해석기준 64

[표 3-1] 게릴라 가드닝 공모전 현황 분석의 틀 71

[표 3-2] 국립수목원 생활정원 공모전 현황 분석의 틀 75

[표 3-3] 대한민국 한평정원 페스티벌 공모전 현황 분석의 틀 79

[표 3-4] 서울정원박람회 포미터 가든 공모전 현황 분석의 틀 83

[표 4-1] 게릴라 가드닝 공모전 운영 평가 틀 87

[표 4-2] 국립수목원 생활정원공모전 운영 평가 틀 89

[표 4-3] 한평정원 페스티벌 공모전 운영 평가 틀 91

[표 4-4] 포미터 가든 공모전 운영 평가 틀 94

[표 4-5] 각 정원공모전 목적 요약 97

[표 4-6] 타 정원공모전과 포미터 가든 공모전의 응모제출물 도안 106

[표 4-7] 각 정원공모전의 조성 규모 및 조성 지원비 비교 110

[표 4-8] 각 정원공모전 조성기간 중 관리인원 비율 113

그림목차

[그림 1-1] 세계 정원 산업 현황 11

[그림 1-2] '정원'을 키워드로 한 검색 빈도 빅데이터 (2004-2017) 13

[그림 1-3] 언론매체에 정원관련 보도 현황 14

[그림 1-4] 국내 정원문화 여건 배경 15

[그림 1-5] 1990 일본 오사카 꽃 박람회에 대한 국내의 관심 기사 16

[그림 1-6] 일반부·학생부 공모전 개최 목적 18

[그림 1-7] 연구의 흐름도 36

[그림 2-1] 정원·화훼 전시회, 정원 박람회, 정원 공모전의 개념 구분도 및 예시 41

[그림 2-2] 분석평가 연구방법의 흐름도 48

[그림 2-3] 위계적 총체성에 따른 분석의 틀 항목의 관계도 51

[그림 2-4] 분석의 틀 평가항목 선정을 위한 참고자료 53

[그림 3-1] 게릴라가드닝 공모전 모집 공고(2016년, 2017년) 67

[그림 3-2] 생활정원 공모전 정원조성 대상지 배치도(녹화기념탑 광장 앞) 68

[그림 3-3] 대한민국 한평정원 페스티벌 정원 조성 대상지 배치도 69

[그림 3-4] 서울정원박람회 포미터 가든 공모전 정원 조성 대상지 배치도 70

[그림 3-5] 농림축산식품부 주최 게릴라 가드닝 공모전의... 72

[그림 3-6] 농림축산식품부 주최 게릴라 가드닝 공모전의... 73

[그림 3-7] 국립수목원 생활정원공모전의... 78

[그림 4-1] 각 공모전 심사기준의 공통 항목 107

[그림 4-2] 국립수목원 생활정원 공모전 출품작의 정원 이전 모습 112

[그림 4-3] 정원공모전 목표와 방법론의 상충현상 설명 다이어그램 116

[그림 4-4] 정원공모전 운영성과 도출을 위한 요소 122

초록보기

 본 연구는 국내 비전문가 부문 정원공모전의 실제 운영 방법론이 공모전 주최 측 목표인 '정원문화 대중화 장려'와 '생활녹지공간의 새로운 패러다임 제시'에 어떻게 상응하고 있고, 이를 수행하기 위해 어떠한 방법론을 취하고 있는지를 사회 관계망에 의거하여 총체적이고 정성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정원공모전 평가연구이다.

본 연구는 국내 정원공모전 중 비전문가 부문 공모전의 분석 및 평가를 실시하기 위해 '현황 분석 틀'과 '운영의 평가 틀'을 독자적으로 개발했으며, 이 틀을 토대로 분석 및 평가한 내용을 구조주의적인 시각으로 독자 개발 한'현황 분석 및 운영평가의 해석 기준 틀'에 대입하여, 정량적으로 분석되지 않는 요소인 사회, 문화와 정원공모전의 관계를 정성적으로 분석했다.

평가 틀의 주요 골자는 '국제박람회 종합 평가모형'과 '프로그램 평가법', '환경체험학습 평가법', '평가의 위계적 총제성 평가법'을 참고 했으며, 평가 항목 선정은 정원박람회 출판물 및 요강, 정원박람회 관련 설문조사, 정원공모전에 실제 참가하여 파악한 경험을 토대로 작성 했다. 분석 및 평가 기준은 정원 공모전의 사회적 연결망을 총체적으로 판단하기 위한 운영가치, 운영 방식, 운영 성과의 세 가지 항목에 따라 설정했다.

표면적 분석에 따르면 정원공모전의 전시 기간과 심사 시기는 짧고 빠를수록 성공적인 공모전 진행에 참가자와 주최 측 모두 유리하다. 하지만 심층적 해석 결과, 짧은 전시기간과 빠른 심사는 장기적 관점에서 볼 때 비전문가인 대중에게 올바른 정원과 정원문화의 가치관을 심어주기에 무리가 있고, 이는 정원공모전이 지향하는 목표와 일치하지 않음을 확인했다. 짧은 전시기간, 정원 조성 후 빠른 심사, 임시 정원 조성 후 철거는 정원을 구성하는 식재와 정원의 본질을 도구적 가치로만 판단하게 만드는 위험성이 존재하고, 이는 아직 활착하지 않은 국내의 정원문화를 물화(物化)의 관점으로 왜곡 시킬 위험이 있다.

공모전의 파급효과는 공모전을 경험한 대중이 일상 속에서 정원행위를 지속하는가를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따라서 각 비전문가부문 정원공모전은 참가자들이 정원공모전을 통해 단순한 흥미 이외에 정원문화를 실천 할 수 있는 지식과 경험을 체험하도록 유도해야 한다. 그리고 이를 가능케 하기 위해서는 박람회 전시품목을 선별하는 것과 유사한 현재의 심사기준에서 정원의 실현가능성과 지속성을 논하기 위한 심사기준을 강화해야 한다.

현재 국내의 비전문가 부문정원공모전은 개최 누적 회차가 적어 아직 과도기적 단계에 머물러 있는 상태이며 정원공모전 개최 이유와 목표의 본질에 대한 고찰이 부족한 채, 현실적인 방법론 위주로 정원공모전이 발전되고 있는 추세가 다소 관찰되고 있다. 따라서 각 정원공모전의 주최 측은 정원공모전이 단순한 지자체의 경제성 있는 행사로 전락되거나, 아직 정원문화가 활착되지 않은 대중에게 왜곡된 정원의 가치관을 형성하는 것에 대해 경각심을 가져야 하고, '생활정원문화 확산'이라는 본래의 목적에 걸 맞는 운영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그리고 이는 각 정원공모전 운영제도 대한 총체적인 평가방식을 전제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