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0
1. 연구배경 및 목적 10
2. 연구방법 및 범위 12
II. 눈(目)의 이미지 표현의 배경 14
1. 눈(目)이 지닌 상징적 의미 14
2. 눈의 형상과 닥종이를 매개로 한 공간 19
III. 표본작가 연구 24
1. 함섭(한지예술가, 1942~) 26
1-1. 전통재료와 현대기법의 조합 26
1-2. 함의(含意)적 바탕 론에 입각한 심미적 공간 30
2. 나오미 고바야시(Naomi Kobayashi, 섬유예술가, 일본, 1945~) 34
2-1. 비움과 채움의 다원화된 공간 34
2-2. 빛과 그림자에 의한 환영(幻影) 37
IV. 연구자 작품분석 41
1. 닥종이에 내재(內在)된 정서적 의미 42
2. 닥종이와 와이어의 결합에 실루엣의 변화 47
3. 빛과 그림자를 통한 이중적 공간효과 53
V. 결론 61
참고문헌 65
Abstract 68
박사학위 작품집 71
[도판1] 함섭, 〈한낮의 꿈 952 Day Dream 952〉 27
[도판2] 함섭, 〈한낮의 꿈 Day Dream〉 28
[도판3] 함섭, 〈한낮의 꿈 9027 Day Dream 9027〉 28
[도판4] 함섭, 〈한낮의 꿈 9057 Day Dream 9057〉 29
[도판5] 함섭, 〈한낮의 꿈 11014 Day Dream 11014〉 29
[도판6] 함섭, 〈한낮의 꿈 11041 Day Dream 11041〉 31
[도판7] 함섭, 〈한낮의 꿈 11040 Day Dream 11040〉 31
[도판8] 나오미고바야시 〈Cubic Harmony1〉 34
[도판9] 나오미고바야시 〈Now Then'95〉, 1995 35
[도판10] 나오미고바야시 〈Cube White & Red〉 35
[도판11] 나오미고바야시 〈Cosmic Ring '95〉 39
[도판12] 나오미고바야시 〈'Cosmos' 95'〉. 1995 39
[도판13] 이해연, 〈pupil〉 44
[도판14] 이해연, 〈pupil〉. detail. 44
[도판15] 이해연, 〈pupil〉, 45
[도판16] 이해연, 〈pupil〉, detail. 45
[도판17] 이해연, 〈The free view〉 47
[도판18] 이해연, 〈freedom1〉 50
[도판19] 이해연, 〈freedom1〉 97. detail. 50
[도판20] 이해연, 〈freedom2〉 51
[도판21] 이해연 〈freedom2〉. detail. 51
[도판22] 이해연, 〈heart〉 54
[도판23] 이해연, 〈heart〉, detail. 54
[도판24] 이해연, 〈pupil2〉 57
[도판25] 이해연, 〈pupil2〉. detail 57
[도판26] 이해연, 〈look〉 58
[도판27] 이해연 '박사학위 청구전, 〈The free view〉,' 홍익대 현대미술관 전시장면 59
본 연구의 목적은 눈의 상징성에 대한 고찰과 연구자의 정신적 배경에 내재된 함의를 바탕으로 작품을 분석하고 정신성과 물성의 결합으로 표현의 확장성을 제안하는 것이다. 눈을 통해 본다는 행위는 보이는 그대로를 무의식적으로 바라보는 것이 아닌 관찰자의 지적능력에 따라 그 표본이 달라짐을 시대별 역사적 고찰을 통해 알게 되었다. 아울러 표현매체인 닥종이의 물리적 특성과 정서적 의미, 와이어와의 유기적 결합으로 인한 표현의 확장성으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첫 째, 연구자의 삶에 내재된 정서를 바탕으로 한 눈의 이미지 표현 배경인 눈이 지니는 상징적 의미와 눈 형태의 이중적 공간을 살펴보았다. 닥종이는 한민족의 역사, 문화 속에서 우리의 삶이 고스란히 스며있는 시간의 투영이자 그 자체로 살아있는 유물로서의 가치를 알 수 있었다.
둘 째, 표본작가 연구로 종이를 재료로 새로운 조형장르를 개척하고 그 작품성을 인정받고 있는 한지작가 함 섭, 섬유예술가로 널리 알려진 나오미 고바야시의 작품들을 연구하였다.
한지작가 함섭(1942~)은 닥종이를 통해 전통재료와 현대기법의 조합으로 새로운 조형장르 개척의 선도적 의미를 알게 되었고, 그만의 철학적 사고인 한국의 얼을 바탕으로 한 심미적 공간의 배경을 파악하였다. 함섭이 전통의 닥종이를 사용하듯, 일본의 전통 종이를 사용하여 다원화된 입체공간을 창출해 내는 나오미 고바야시의 작품관인 비움과 채움의 미학, 빛과 그림자에 의한 환영에 대해 살펴보았다.
셋 째, 조형의 근간인 이론적 배경과 표본작가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연구자의 작품을 분석하고 닥종이와 와이어를 이용한 표현방법 및 이질적 두요소의 연관성을 설명하였다. 닥종이에 내재된 정신성을 통해 내면세계와의 소통과 인간의 순수이성 회복과 자연 친화적인 요소로서의 합일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은 눈의 상징적 의미에 대한 역사적 고찰과 전통의 닥종이를 사용한 함섭과 일본 전통종이를 사용한 나오미 고바야시의 작품에 대한 연구 및 연구자 작품분석 등의 과정을 통해 닥종이가 지니는 동양의 신비성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표현의 확장적 재료로서의 무궁무진함을 확인하였다. 일련의 연구과정은 연구자의 작품제작 과정에 배경이 되어졌으며 기법의 확장성에 대한 탐구이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