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ABSTRACT 8

제1장 서론 10

1. 연구의 필요성 10

2. 연구의 목적 16

제2장 이론적 배경 17

1. 조현병 환자의 특성 17

2. 조현병 환자의 의사소통 19

3. 조현병 환자의 대인관계 21

4. 비폭력 대화 23

제3장 연구 방법 26

1. 연구 참가자 26

가.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6

나. 프로그램 지도자 및 관찰자 27

2. 연구 도구 28

가. 비폭력대화 의사소통훈련 프로그램 28

나. 실험 설계 33

다. 자료 분석 34

제4장 연구 결과 35

1.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검사 동질성 검증 35

2. 비폭력대화 의사소통훈련 프로그램의 사후 효과 35

3. 비폭력대화 의사소통훈련 프로그램의 지속 효과 37

4. 비폭력 대화 의사소통훈련 사전, 사후, 추후평가에 대한 추이 39

제5장 논의 41

참고문헌 46

부록 52

부록 1. 비폭력 대화 의사소통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52

부록 2. 의사소통기술 척도-참석자 보고용 53

부록 3. 의사소통기술 척도-관찰자 보고용 55

부록 4. 대인관계 변화척도 57

부록 5. 대인관계 기능척도 58

부록 6. 프로그램 구성 내용 59

표목차

〈표-1〉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인구통계학적 변인 27

〈표-2〉 의사소통기술 척도의 하위 요인 32

〈표-3〉 대인관계변화 척도 하위 요인 33

〈표-4〉 실험집단과 통제 집단의 사전검사 비교 35

〈표-5〉 집단 간의 사후 자가 평정 효과 36

〈표-6〉 집단 간의 사후 관찰자 평정 효과 37

〈표-7〉 집단 간의 추후 자가 평정 효과 38

〈표-8〉 집단 간의 추후 관찰자 평정 효과 39

그림목차

〔그림 1〕 의사소통기술척도 변화 40

〔그림 2〕 대인관계변화 (대인관계기능) 척도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