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논문개요

목차

제1장 서론 1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1

제1항 연구의 배경 11

제2항 연구의 목적 13

제2절 연구의 방법 14

제3절 연구의 구성 14

제2장 이론적 배경 16

제1절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의 이론적 고찰 16

제1항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의 개념 16

제2항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의 구성요소 18

제3항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의 선행연구 21

제2절 조직유효성의 이론적 고찰 22

제1항 조직유효성의 개념 22

제2항 조직유효성의 구성요소 24

제3항 조직유효성의 선행연구 29

제3절 신뢰의 이론적 고찰 30

제1항 신뢰의 개념 30

제2항 신뢰의 구성요소 34

제3항 신뢰의 선행연구 36

제3장 연구방법 39

제1절 연구모형 및 가설의 설정 39

제1항 연구모형 39

제2항 가설의 설정 40

제2절 연구조사방법 46

제1항 연구 설계 46

제2항 변수의 조작적 정의 47

제3항 설문지의 구성 51

제4장 실증분석 53

제1절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53

제2절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 55

제1항 신뢰성 분석 55

제2항 타당성 분석 60

제3절 상관관계 분석 66

제4절 가설 검정 69

제1항 가설1의 검증: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조직유효성의 관계 69

제2항 가설2의 검증: 신뢰의 조절효과 73

제3항 가설검증결과 요약 87

제5장 결론 91

제1절 연구결과 요약 91

제2절 시사점 92

제3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 94

참고문헌 96

부록: 설문지 106

ABSTRACT 118

표목차

〈표 2-1〉 근대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정의 17

〈표 2-2〉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의 구성요소 18

〈표 2-3〉 Campbell의 조직유효성의 지표 23

〈표 2-4〉 Dalton의 조직유효성의 지표 23

〈표 2-5〉 조직몰입에 대한 정의 25

〈표 2-6〉 신뢰의 관점 및 정의 31

〈표 2-7〉 신뢰의 구성요소 36

〈표 3-1〉 조사대상 및 내용 46

〈표 3-2〉 분석방법 47

〈표 3-3〉 조직유효성 변수별 측정 항목 50

〈표 3-4〉 설문지의 구성 51

〈표 4-1〉 표본의 일반적 특성 54

〈표 4-2〉 중국호텔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의 신뢰성 분석 56

〈표 4-3〉 신뢰에 대한 신뢰성 분석 58

〈표 4-4〉 조직유효성의 신뢰성 분석 59

〈표 4-5〉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의 요인분석 61

〈표 4-6〉 신뢰의 요인분석 63

〈표 4-7〉 조직유효성의 요인분석 65

〈표 4-8〉 상관관계분석 67

〈표 4-9〉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조직유효성 간의 관계 검증 71

〈표 4-10〉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조직유효성 중에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76

〈표 4-11〉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조직유효성 중에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77

〈표 4-12〉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조직유효성 중에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79

〈표 4-13〉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조직유효성 중에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서... 80

〈표 4-14〉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조직유효성 중에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82

〈표 4-15〉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조직유효성 중에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83

〈표 4-16〉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조직유효성 중에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85

〈표 4-17〉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조직유효성 중에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서... 86

〈표 4-18〉 가설검증결과 요약 88

그림목차

[그림 1-1] 연구의 흐름 15

[그림 2-1]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분류 20

[그림 3-1] 연구모형 40

초록보기

 오늘날 국제표준화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OS)에서 사회적 책임활동국제표준(ISO26000) 필수과제가 되며 사회전반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활동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기존에 선행연구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기업성과에 관련을 가지고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기업의 성장과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신뢰, 조직유효성간의 관계를 탐색하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조직유효성의 관계에서 신뢰의 조절효과가 있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의 내용적 범위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신뢰와 조직유효성의 이론적 개념을 정립하고, 이론연구를 바탕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여 연구모형에서 제시된 가설을 검증하고 시사점과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2017년08월18일부터 2017년09월21일까지 약 30일으로 하고 공간적 범위는 중국호텔에 근무하고 있는 종사원을 대상으로 하고자 한다. 총 350부를 배포하고 이중 311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지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18개 문항, 신뢰는 15개 문항, 조직유효성 20개 문항, 인구통계학적특성 10개 문항 총 63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더불어 실증분석을 하기 위해 무작위 표본추출방법을 이용하고, 선정한 표본과 설문지를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또는 분석방법은 사회과학분야에서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SPSS 통계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SPSS for Windows 22.0을 이용하였다. 가설의 검증을 하기 위해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다중 회귀분석, 조절 회귀분석 등의 통계처리기법을 이용하였다. 실증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선행연구에 따르면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신뢰, 조직유효성 등의 개념은 제고하여,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요인분석을 통해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의 세부질문 문항들을 "법적 책임, 윤리적 책임, 자선적 책임"등의 세 가지 요인으로 분류하였고, 신뢰의 세부질문 문항들을"조직에 대한 신뢰, 상사에 대한 신뢰"등의 두 가지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조직유효성의 세부질문 문항들을" 조직몰입, 직무만족, 이직의도, 직무스트레스" 등의 네 가지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조직유효성의 분석결과로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법적 책임, 윤리적 책임과 자선적 책임" 요인들이 조직유효성의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관계가 나타났으며, 또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법적 책임, 윤리적 책임과 자선적 책임"요인들이 조직유효성의"이직의도와 직무스트레스"에 유의한 부(-)의 영향관계가 나타났다. 이에 따라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인식은 종사원들에게 적극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셋째, 신뢰에 따른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조직유효성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는 조직의 대한 신뢰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조직유효성의 관계에서 부분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사에 대한 신뢰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조직유효성의 관계에서 부분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였다. 이에 따라서 신뢰정도에 따라 종사원들의 인식이 달라지며, 조직과 리더에 대한 믿음은 기업에 발전에서 중요한 역할이다.

이에 향후 연구에서는 본 논문을 바탕으로 하여 중국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관한 연구에 활용 될 수 있으며, 좀 더 구체적으로 연구를 파약하기 위해서 본 연구의 부족한 점을 극복하여 더 나은 방향으로 나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