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I. 서론 8

1. 연구의 필요성 8

2. 연구의 목적 11

3. 연구의 문제 11

4. 연구의 제한점 11

5. 용어의 정의 12

1) 무도스포츠 12

2) 대생(對生)지식 12

3) 종합적 사고 12

4) 분석적 사고 12

II. 이론적 배경 13

1. 문화의 개념 13

2. 문화의 변동 15

3. 문화접변 16

4. 문화접변의 과정 17

1) 부분적 해체의 개시 18

2) 외래문화의 유입 18

3) 저항 19

4) 문화요소의 재해석 20

5) 재구성 21

6) 심리적 작용 21

5. 무도와 스포츠의 차이 22

1) 무도 22

2) 스포츠 23

3) 무도와 스포츠의 차이 25

III. 연구대상 및 방법 28

1. 연구대상 28

2. 연구방법 28

1) 무도스포츠의 형성과정 28

2) 무도스포츠의 구조적 특성 분석 30

IV. 동양무도의 문화접변 33

1. 태권도의 문화접변 34

1) 한국무예의 부분적 해체 34

2) 외래문화의 유입 38

3) 저항 42

4) 태권도의 재해석 및 재구성 45

2. 우슈의 문화접변 46

1) 중국무술의 부분적 해체 46

2) 외래문화의 유입 47

3) 저항 48

4) 중국무술의 재해석 및 재구성 50

3. 태권도와 우슈의 심리적 작용 55

V. 무도스포츠의 특성 57

1. 심층 57

1) 이념, 훈(訓), 수련목표 57

2) 무도스포츠의 심층구조 신(信), 의(義) 65

2. 중층 71

1) 제정형(制定形) 71

2) 경기규칙 75

3) 수련과 트레이닝 77

4) 시범, 공연 80

3. 표층 84

1) 경기장 및 보호장구 84

2) 도복과 경기복 86

4. 구조영역별 상호작용 90

VI. 결론 및 제언 91

1. 결론 91

2. 제언 96

참고문헌 97

초록 104

Abstract 107

표 1. 무도스포츠의 문화접변과정 30

표 2. 문화구조 관련 연구물 31

표 3. 무도스포츠의 층차구조 31

표 4. 각원선사의 소림계율 10계 59

표 5. 통선상인 계율 10개조 61

그림 1. 히라노 켄이치로의 문화접변 과정 29

그림 2. 유숙(劉淑)의 대쾌도(大快圖) 37

그림 3. 1950년대 말 송덕기선생과 박철희사범 44

그림 4. 제2회 국술국고 중의 산수시합 53

그림 5. 무도스포츠의 심층구조 71

그림 6. 이집트, 이란, 스페인의 도복 하의 88

그림 7. 우슈 투로, 산타 경기복 88

그림 8. 오리너구리의 계통수에 따른 분류 94

그림 9. 무도스포츠의 원형분류 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