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7
I. 서론 9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9
2. 연구 문제 12
3. 연구 방법 12
II. 문헌연구 13
1. 해리성 정체성장애의 정의와 진단 13
2. 로널드 페어베언의 이론 19
1) 페어베언의 분열성 19
2) 나는 나쁜 아이 24
3) 심리내적 구조 28
3. 도날드 위니캇의 이론 32
1) 환경의 중요성 32
2) 부모의 역할 35
3) 통합을 향하여 38
4. 윌프레드 비온의 이론 40
1) 담는 것↔담기는 것 40
III. 소설 '빌리 밀리건' 분석 43
1. 소설 '빌리 밀리건' 줄거리 43
2. 소설 '빌리 밀리건'을 중심으로 한 소설 분석 47
1) 빌리의 해리성 정체성장애 진단 47
2) 초기 대상관계 50
3) 성장 환경 51
4) 양육과정에서의 외상 57
5) 치료과정에 대한 분석 59
IV. 해리성 정체성장애의 정신분석적 치료적 함의 64
1. 해리성 정체성장애의 형성 원인 64
2. 해리성 정체성장애의 치료적 접근 65
3. 해리성 정체성장애의 치료 시 전이와 역전이 68
4. 치료자의 역할 69
V. 결론 및 제언 72
참고문헌 75
Abstract 80
본 논문에서는 소설 '빌리 밀리건'의 주인공 빌리에 대해 정신분석적으로 접근하여 해리성 정체성장애의 형성원인과 치료적 접근방법, 치료자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소설은 실제 주인공 빌리의 인터뷰 내용 및 관련 인물들에게서 자료를 구하였으며, 진료시간은 녹화된 자료를 바탕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인공 빌리는 24개의 인격을 가진 해리성 정체성장애 환자로 대학가에서 벌어진 성폭행 및 강도 사건에 의해 체포된다. 그에게서 이상함을 느낀 관선 변호사가 심리검사를 의뢰하게 되고, 빌리의 해리성 정체성장애는 세상에 드러나게 된다.
연구자가 제시한 연구문제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해리성 정체성장애의 형성원인을 알아보고자 주인공 빌리의 성장환경을 초기 대상관계. 성장 환경, 양육과정에서의 외상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았다. 빌리는 초기부터 내적 대상이 존재하지 않았으며, 어머니로부터 돌봄과 환경 제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래서 빌리는 자신의 생존을 위해 해리를 방어기제로 사용했던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초기에 경험한 결핍은 빌리에게 외상으로 남게 되었으며, 아동기에 경험한 계부 챌머의 성폭행과 학대가 초기에 경험한 외상을 재경험하게 하여 빌리의 증상을 심각한 수준에 이르게 하였다.
둘째, 빌리가 병원에서 받은 치료 장면들을 분석하여 해리성 정체성장애의 치료적 접근을 알아보았다. 해리성 정체성장애의 치료는 치료자와 환자 간의 신뢰를 바탕으로 하여 환자 안에 억압되어 있던 공포에서 풀려날 수 있도록 도와 치료자로 하여금 재처리하여 돌려줄 수 있도록 한다. 해리성 정체성장애만의 특징적 치료방법은 면담식 치료에만 국한 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예술치료를 병행하여 환자가 언어화하지 못하는 내용들을 표현할 수 있게 도와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 주인공이 자신의 치료 상황이 녹화된 영상을 직접 보고 해리성 정체성장애를 몸으로 느낄 수 있게 되었고, 이와 동시에 통합된 인격인 '선생'이 등장하였다. 이와 같이 해리성 정체성장애의 환자는 치료 상황을 녹화하여 보여주는 것을 통해 자신의 증상을 눈으로 직접 이해시키고, 치료의 필요성을 느낄 수 있게 도와주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여긴다.
셋째, 빌리가 만난 인물들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해리성 정체성장애 환자에게서 나타날 수 있는 전이와 역전이에 대해 알아보고, 치료자가 가져야 하는 자세에 대해 알아보았다. 초기 단계부터 부모와의 관계가 결핍되어있던 주인공은 치료자들에게서 부모를 찾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주인공의 소망은 치료자들에게 역전이 되어 치료자들로 하여금 좋은 부모의 역할을 하도록 이끌었고, 주인공은 그들을 통해서 좋은 부모를 다시 경험하게 되었다. 치료자들은 기꺼이 주인공의 공격성 속에서 살아남아주었고, 항상 그 자리에 함께 있어주었으며, 그가 힘들 때 마다 안아주었다. 이와 같이 치료자는 해리성 정체성장애 환자에게 좋은 부모가 되어줄 필요가 있다고 본다. 하지만 환자가 공포를 느끼지 않도록 경계를 지켜주는 것이 기본이 되어야 한다. 해리성 정체성장애의 치료는 오랜 시간이 걸린다. 그러므로 치료자는 인내와 끈기를 가지고 책임감 있게 환자와 함께 하여야 한다.
해리는 특별한 증상이 아니라 누구든지 방어기제로 사용할 수 있고, 경험할 수 있는 증상이다. 본 논문을 통해 많은 치료자들이 치료 상황에서 만날 수 있는 해리 증상을 수월하게 다룰 수 있는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끝으로, 본 논문은 소설 속 주인공을 사례로 하여 심각한 수준의 해리성 정체성장애에 대해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후속 연구로 실제 임상 사례를 통해 해리성 정체성장애의 정도에 따라 수준별로 적용할 수 있는 연구를 제안한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