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1
I. 서론 13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3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4
II. 이론적 배경 16
1. 시각적 의사소통의 이해 16
2. 공공미술의 이해 20
1) 공공미술의 개념 20
2) 공공미술의 역사 21
3) 공공미술의 유형 26
III. 2015 개정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 분석 43
1. 고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의 이해 43
2.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의 공공미술 분석 48
IV. 공공미술을 활용한 미술수업지도 방안 77
1. 공공미술의 교육적 의의 77
2. 공공미술을 활용한 미술수업 프로그램 79
1) 단원 선정 이유 및 목표 79
2) 학습 목표 80
3) 지도상 유의점 80
4) 차시별 교수·학습 지도 계획 81
5) 교수학습 지도안 84
6) 평가 계획 102
V. 결론 105
참고문헌 107
ABSTRACT 111
〈그림 1〉 알렉산더 칼더, 전속력으로, 1974, 미국 25
〈그림 2〉 〈빅토리아 여왕 동상〉, 버킹엄 궁전, 1897, 런던 30
〈그림 3〉 김영원, 〈세종대왕 동상〉, 2009, 서울 30
〈그림 4〉 이순신 동상, 1968, 서울 30
〈그림 5〉 김중엽, 세계 평화의 문, 1988, 서울 31
〈그림 6〉 서울특별시, 〈3.1 독립선언기념탑〉, 1980, 서울 31
〈그림 7〉 조나단 브로프스키, 〈망치질하는 사람〉, 2002, 서울 33
〈그림 8〉 클래스 올덴버그, 〈하늘을 나는 핀〉, 2000, 에인트호번 33
〈그림 9〉 루이스 부르주아, 〈엄마〉, 1999, 서울 34
〈그림 10〉 라데팡스 개발위원회, 〈라데팡스〉, 1958-1990, 파리 36
〈그림 11〉 안토니오 가우디, 〈구엘공원〉, 1900-1914, 바르셀로나 36
〈그림 12〉 우치다, 〈님께 드릴 건 사랑밖에 없어요〉, 2004, 도쿄 롯본기 힐즈 37
〈그림 13〉 요시요카, 비가 오면 사라지는 의자 ,2004 37
〈그림 14〉 나나, 서울풍경, 2012 37
〈그림 15〉 시간의 벽-십장생, 2009 37
〈그림 16〉 수잔 레이시, 〈크리스털 퀄트〉, 1985-1987, 미국 39
〈그림 17〉 다문화 다리 프로젝트, 2013, 서울 41
〈그림 18〉 집으로 가는 길, 강익중, 2016 41
〈그림 19〉 수화,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말, 2007, 배영환, 서울농학교 42
〈그림 20〉 비비드 시드니, 2016 51
〈그림 21〉 집으로 가는 길,강의중, 1960~ 52
〈그림 22〉 팽이의자, 헤더윅, 1970~ 52
〈그림 23〉 씨앗 대성당, 헤더윅, 2010 53
〈그림 24〉 무제(건물사진), 토룬, 2014 53
〈그림 25〉 아니마리스 페르치페에레, 얀센, 2006 54
〈그림 26〉 만찬회, 시카고, 1974~1979 54
〈그림 27〉 무르 아일랜드, 아콘치, 2004 55
〈그림 28〉 과일나무, 최정화, 2015 55
〈그림 29〉 틈새 집, 서도호, 2010 56
〈그림 30〉 위대한 반고흐, 카탈라노, 2013 57
〈그림 31〉 비, 눈, 그림자 퍼포먼스, 골즈워디, 1984~1985 57
〈그림 32〉 PSSS+레오파드247, 하기기안, 2013 58
〈그림 33〉 얀버밍(유칼립투스 나무에 설치), 더네이어 58
〈그림 34〉 떠다니는 화원, 팀랩, 2015 59
〈그림 35〉 르코르뷔지에 센터, 르코르뷔지에, 1967 60
〈그림 36〉 20110302-01 공중놀이, 리웨이, 2011 60
〈그림 37〉 페르난도 보테로 포스터, 2015 61
〈그림 38〉 기둥을 뒤덮은 구명조끼, 아이웨이웨이, 2016 62
〈그림 39〉 임신한 앨리슨 래퍼, 퀸, 2005 62
〈그림 40〉 애버로드 위의 스누피 일행 횡단보도, 일본 63
〈그림 41〉 구겐하임 미술관, 게리, 2008 63
〈그림 42〉 누워있는 대형 인물, 무어, 1984 65
〈그림 43〉 상하이 엑스포 한국관, 조민석, 2010 65
〈그림 44〉 스퀘어 M 커뮤니케이션, 유영호 66
〈그림 45〉 1600판다+의 세계여행, 2015 66
〈그림 46〉 프라사 칸탕 프로젝트, 파벨라 페인팅 재단, 2010 67
〈그림 47〉 블루마우 온천마을, 훈데르트 바서, 1993~97 67
〈그림 48〉 1.26, 에힐만, 2012~13 68
〈그림 49〉 유기견 입양 캠페인, H사 공익 광고 대행 단체, 케어, 2013 68
〈그림 50〉 문들, 크리스토&클로드, 2005 69
〈그림 51〉 녹아내리는 사람들, 아제베도, 2014 69
〈그림 52〉 총알같이 달려가겠습니다(ㅇㅇ 경찰청 옥외광고), 이제석, 2015 70
〈그림 53〉 거대한 노란 토끼, 호프만, 2011 71
〈그림 54〉 온고지신, 강용연, 2003 71
〈그림 55〉 소비된 풍경, 모린, 2011 72
〈그림 56〉 항공의 마술, 2014 73
〈그림 57〉 빌라 베르디 하우징 프로젝트, 아라베나, 2010 73
〈그림 58〉 러버덕, 호프만, 2013 74
〈그림 59〉 호프만, 〈스위트 스완〉, 2017,서울 85
〈그림 60〉 클래스 올덴버그, 〈스 프링〉, 2006, 서울 85
〈그림 61〉 우치다, 〈님께 드릴 건 사랑밖에 없어요〉, 2004, 도쿄 86
〈그림 62〉 캔디 챙, 〈죽기 전에 나는〉, 2011, 미국 86
빠르게 변하는 정보화 사회에서 미디어의 발달이 현대인의 소통에도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과거 정보전달이 주된 목적이던 전통 미디어 와는 달리 오늘날은 영상과 시각 이미지만으로도 관계를 맺고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되면서, 어느 누구와도 손쉽게 소통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호간의 갈등과 의견 극화 등 여러 가지 문제 상황에 직면하게 될 것임을 예견할 수 있다. 따라서 현대의 삶을 살아가는데 있어 원만한 대인관계 유지와 사회적 협력을 위해 소통이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시각문화 속에서의 미술은 시각 이미지를 매개로 소통하여 타인의 감정과 사고를 이해하고 공감함으로써 인성을 함양할 수 있는 통로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특히 공공미술은 지역 공동체의 관심이나 목표, 공공의 가치 등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며 소통한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미술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일상생활 속에서 시각문화요소에 즐거움을 느끼고 이로 인해 시각적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미술 수업지도방안을 구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Ⅱ장에서는 시각적 의사소통과 공공미술의 이해를 위하여 시각문화에서 시각적 의사소통능력의 의미와 공공미술의 개념과 역사, 공공미술의 유형에 대해 알아보았다. Ⅲ장에서는 본 지도안의 수업 대상이 되는 고등학생을 이해하기 위하여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과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특징을 알아보았다. 그 후 고등학교 현행 미술교과서 6종의 공공미술 단원을 비교 분석하여 교과서에서의 공공미술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6종 교과서인 천재교과서, 금성출판사, 미진사, 비상교육, 씨마스, 미래엔의 교과서가 제시하는 시각문화 속 공공미술이차지하는 페이지 수와 도판을 분석하고 이를 표로 정리하였다. Ⅳ장에서는 공공미술을 활용한 미술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먼저 공공미술이 지니는 교육적 의의를 도출한 뒤 수업의 설계에서는 단원 선정의 이유 및 목표, 학습지도 계획, 교수학습지도안을 나누어 분석했다. 마지막으로 결론에서는 연구의 결론 및 기대효과와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본 연구에 제시되어 있는 수업지도안은 우리 삶속의 시각적 환경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공공미술을 활용한 활동을 통해 소통하고자 하는 시각적 소통 능력을 기를 수 있다. 이는 범람하는 정보 속에서 유연하게 정보를 습득하고 주도적인 학습을 목표로 하는 미술교육에 기여할 것이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