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0
I. 서론 12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2. 연구 문제 18
II. 이론적 배경 19
1. 공감 변인에 대한 선행 연구 19
2. 공감 척도에 대한 선행연구 21
III. 연구방법 26
1. 연구대상 26
2. 연구 절차 27
3. 측정도구 28
1) 한국판 인지적·정서적 공감 척도(Korea version of Questionnaire of Cognitive and Affective Empathy scale) 28
2) 대인관계반응지수(Interpersonal Reaction Index) 29
3) 공감지수(Empathy Quotient) 30
4. 자료처리 및 분석 31
IV. 연구 결과 33
1. 한국판 인지적·정서적 공감 척도(K_QCAE)의 타당도 33
1) 자료 처리 및 문항 분석 33
2) 탐색적 요인분석의 결과 36
3)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41
4) 공인 타당도 검증 결과 46
2. 한국판 인지적·정서적 공감척도(K-QCAE)의 신뢰도 48
V. 논의 50
1. 논의 및 결론 50
2. 제언 52
참고문헌 54
부록 9
부록1. 연구 참여자용 설문지 64
부록2. 연구 참여자의 인구학적 정보 65
부록3. 한국판 인지적·정서적 공감 척도 질문지 66
부록4. 대인관계반응지수 68
부록5. 공감지수 71
ABSTRACT 73
그림 1.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44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생을 대상으로 다차원적 공감을 평가하기 위해 Renate와 Richard 등(2011)이 개발한 QCAE(Questionnaire of cognitive and affective empathy: QCAE)를 한국의 실정에 맞게 번안하여 재구성한 후,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원척도를 역번역 절차에 따라 번안하고 검토 및 수정하여 문항을 확정하였다. 확정된 문항은 서울 및 경기지역에 소재한 휴학생 및 재학생을 대상으로 예비조사 150명 본조사 202명, 총 352명이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측정 도구로는 인지적·정서적 공감척도(K-QCAE), 대인관계 반응지수(IRI), 공감지수(EQ)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과 AMOS 23.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인지적·정서적 공감척도(K-QCAE)의 구성 확인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다른 표본 집단에서의 적용을 확인하였다. 그 외에도 공인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상관 분석을 실시했으며 하위 척도별 내적 합치도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적·정서적 공감척도(K-QCAE)의 타당도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조망 수용', '온라인 시뮬레이션', '정서 전염', '주변 반응성', '근접 반응성'의 5가지 하위요인을 지닌 26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본 연구모형은 TLI = .92, CFI = .93로 좋은 적합도 수준을 충족하였고, RMSEA도 .05로 좋은 적합도지수를 보였다.
셋째, 인지적·정서적 공감척도(K-QCAE)의 하위요인들은 대인관계반응지수(IRI)와 공감지수(EQ)와 정적 상관관계로 분석되어 공인타당도가 양호하였다.
마지막으로, 인지적·정서적 공감척도(K-QCAE)의 전체 내적 합치도는 α=.86으로 나타났으며, '조망수용'은 α=.89, '온라인 시뮬레이션'은 α=.84, '정서전염'은 α=.82, '주변 반응성'은 α=.71, '근접 반응성'은 α=.87로 양호한 신뢰도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인지적·정서적 공감척도(K-QCAE)는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라 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공감을 단일차원이 아닌 다차원적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임상적으로는 개개인의 공감능력을 평가하고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에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기여할 것이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