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제1장 서론 8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8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연구의 구성 9

1. 연구의 방법 9

2. 연구의 구성 10

제2장 이론적 배경 12

제1절 성역할 12

1. 성역할의 개념 12

2. 성역할에 관한 이론 13

3. 선행연구 16

제2절 직무모티베이션 (Work Motivation) 17

1. 직무모티베이션의 개념 17

2. 직무모티베이션에 관한 이론 18

3. 선행연구 22

제3절 조직시민행동 23

1. 조직시민행동의 개념 23

2. 선행연구 25

제4절 긍정심리자본 26

1. 긍정심리자본의 개념 26

2. 긍정심리자본의 구성요소 27

3. 선행연구 28

제5절 직무스트레스(work stress) 29

1. 직무스트레스의 개념 29

2. 선행연구 32

제3장 연구의 설계와 연구방법 35

제1절 연구모형 35

제2절 연구가설의 설정 36

제3절 조사도구 38

1. 성역할 38

2. 직무모티베이션 39

3. 조직시민행동 39

4. 긍정심리자본 40

5. 직무스트레스 40

제4절 표본의 구성 및 분석방법 40

1. 표본의 구성 40

2. 자료의 분석방법 41

제4장 실증분석 42

제1절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분석 42

제2절 측정도구의 신뢰성 검증 44

제3절 측정도구의 타당성 분석 45

제4절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47

제5절 가설에 대한 검증 및 해석 50

1. 성역할과 긍정심리자본 간의 관계 50

2. 성역할과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 51

3. 성역할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 52

4. 성역할과 직무모티베이션 간의 관계 53

5. 매개효과 검증 54

6. 연구가설 검증결과의 종합 57

제5장 결론 59

제1절 연구결과 요약 59

제2절 연구결과의 시사점 60

제3절 연구의 한계점 61

참고문헌 62

ABSTRACT 72

부록 74

설문지 74

問卷調査 81

표목차

〈표 2-1〉 성역할의 개념 정리 14

〈표 2-2〉 성취동기 상관 개념 20

〈표 2-3〉 OCB 상관 개념 24

〈표 2-4〉 긍정심리자본 선행연구 28

〈표 4-1〉 응답자의 지역 환경 42

〈표 4-2〉 인구통계학적 분석결과 43

〈표 4-3〉 측정도구의 신뢰도 분석 45

〈표 4-4〉 확인적 요인분석의 모델 적합도 46

〈표 4-5〉 측정도구의 확인적 요인분석의 결과 46

〈표 4-6〉 기술통계 및 변수 간의 상관관계 분석 49

〈표 4-7〉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종속변인: 긍정심리자본) 50

〈표 4-8〉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종속변인: 직무스트레스) 51

〈표 4-9〉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종속변인: 조직시민행동) 52

〈표 4-10〉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종속변인: 직무모티베이션) 53

〈표 4-11〉 성역할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55

〈표 4-12〉 성역할과 직무모티베이션 간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55

〈표 4-13〉 성역할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56

〈표 4-14〉 성역할과 직무모티베이션 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57

〈표 4-15〉 연구가설 검증결과 57

그림목차

[그림 1-1] 연구의 구성 11

[그림 2-1] 중앙치분리법 16

[그림 3-1] 연구모형 35

초록보기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gender role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and job motivation, and mediating role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job stres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gender role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and job motivation.

To collect data, a survey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250 Chinese employee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mpared to femininity, masculinity has a stronger effect on an individual's level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econdly, Compared to masculinity, femininity has a stronger effect on an individual's level of job stress. Third, masculinity has a stronger effect on an individual's level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an femininity. fourth masculinity has a stronger effect on an individual's level of job motivation than femininity. And finally,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job st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