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9

I. 서론 1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1

2. 연구문제 15

3. 용어정의 15

1) 보육교사 16

2) 보육교사의 자기효능감 16

3)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16

4) 만다라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17

II. 이론적 배경 18

1. 보육교사의 특성 18

1) 보육교사의 정의 및 자격 기준 18

2) 보육교사의 직무환경 19

2. 보육교사의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 20

1) 보육교사의 자기효능감 20

2)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23

3) 보육교사의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 25

3. 만다라와 미술치료 27

1) 만다라의 치료적 역할 27

2) 만다라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29

3) 만다라에 나타나는 색상과 상징 해석 32

4. 선행연구 36

III. 연구방법 40

1. 연구대상 40

1) 연구대상 선정 40

2) 연구대상 특성 40

2. 연구설계 및 절차 42

3. 측정도구 43

1) 자기효능감 척도 43

2)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 척도 44

4. 만다라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45

1) 만다라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의 구성 45

2) 만다라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의 진행방법 46

3) 만다라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47

5. 자료분석 51

IV. 연구결과 52

1. 자기효능감의 변화 52

1)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기효능감 동질성 검증 52

2)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기효능감 척도 사전·사후 변화분석 53

2.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의 변화 54

1)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 동질성 검증 54

2)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 척도 사전·사후 변화분석 55

V. 논의 및 결론 58

1. 논의 58

1) 보육교사의 자기효능감의 변화 58

2)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의 변화 60

2. 결론 및 제언 62

참고문헌 64

부록 71

부록1. 회기별 활동 및 평가 72

부록2. 연구 설명서 98

부록3. 과정기록 동의서 99

부록4. 기록활용 동의서 100

부록5. 설문지 101

부록6. 자기효능감 척도 102

부록7.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 척도 104

ABSTRACT 106

표목차

표 II-1. 보육교사 자격기준 18

표 II-2. 만다라의 색 상징 33

표 II-3. 만다라의 색의 위치와 사용정도 35

표 II-4. 보육교사의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선행연구 36

표 II-5. 만다라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에 대한 선행연구 37

표 II-6.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의 상관관계에 대한 선행연구 38

표 III-1. 실험집단의 특성 41

표 III-2. 통제집단의 특성 41

표 III-3. 연구설계 42

표 III-4. 자기효능감 척도에 관한 신뢰도 분석 43

표 III-5.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 척도에 대한 신뢰도 분석 44

표 III-6. 단계별 프로그램의 목표 46

표 III-7. 프로그램 진행 과정 47

표 III-8. 만다라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47

표 IV-1. 실험·통제집단 간의 자기효능감 동질성 검증 52

표 IV-2. 실험·통제집단의 자기효능감 사전·사후 비교 검증 53

표 IV-3. 실험·통제집단 간의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 동질성 검증 55

표 IV-4. 실험·통제집단의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 사전·사후 비교 검증 55

그림목차

그림 II-1. 보육교사의 일과 20

그림 II-2.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의 상관관계 27

그림 IV-1. 자기효능감 하위요인 사전·사후 결과 비교 54

그림 IV-2.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사전·사후 결과 비교 57

초록보기

 본 연구에서는 만다라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보육교사의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다라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보육교사의 자기효능감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가? 두 번째, 만다라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가?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S시와 A시에 소재한 민간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12명으로, 자발적 참여자들로서 실험 참가 동의서를 제출한 12명 중 실험집단 6명, 통제집단 6명을 무선배치하여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기간은 2017년 8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제외한 12회기를 주 1회, 매회기 각 70분씩 진행하였다.

자기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도구로는 Sherer, Maddux 및 Jacobs와 Roger 등이 개발한 자기효능감 척도(Self-Efficacy Scale; SES)를 1995년 홍혜영이 번안, 보완한 것을 선정하여 재구성하여 측정하였다. 직무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한 검사도구로는 C. L. Clark가 개발하고 R. V. D'Arienzo가 만든 '수정된 교사 직무스트레스요인' 질문지(Modified Teacher Occupational stress Factor Questionnaire)와 기존 선행연구들(권기태, 1990; 김남희, 1992; 김영선, 1999; 김지현, 1994; 성영혜, 1994; 조성연, 2004; 이병해, 2015)에서 사용한 질문지를 참고로 선행연구자 이병해(2015)가 사용한 척도를 선정하여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만다라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는 보육교사의 자기효능감척도 하위영역인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자기효능감의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둘째, 만다라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는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 하위영역인 근무환경 스트레스, 업무스트레스, 원아스트레스의 감소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만다라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보육교사의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정서 건강을 위한 예방적 차원의 중재프로그램으로써 의의가 있으며 보육교사의 자기효능감 향상과 직무스트레스의 감소를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