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제1장 서론 12
제1절 연구의 필요성 12
제2절 범위와 내용 13
제2장 이론적 배경 15
제1절 한국의 다문화사회와 제노포비아(Xenophobia) 15
1. 한국의 다문화사회 현황 15
2. 제노포비아(Xenophobia) 41
3. 한국의 제노포비아 현상 48
제2절 각 국의 제노포비아에 대한 현상 50
1. 미국의 제노포비아 현상 50
2. 프랑스의 제노포비아 현상 56
3. 독일의 제노포비아 현상 61
제3절 제노포비아에 관한 선행연구 65
제3장 연구방법 69
제1절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69
1. 자료수집 69
2. 분석방법 및 분석틀 69
제2절 연구대상 71
제4장 분석결과 72
제1절 연구대상자의 특성 72
1. 인구통계학적 및 일반적 특성 72
제2절 이주외국인에 대한 인식분석 74
제3절 이주외국인 지원정책에 대한 분석 106
제4절 외국인증가에 따른 부작용 분석 115
1. 이주외국인 증가 115
2. 이주외국인에 대한 개인적 인식 125
제5절 외국인 인식 및 증가가 외국인 혐오에 미치는 영향 154
1. 요인분석 154
2. 상관관계 분석 161
3. 회귀분석 162
제5장 결론 164
제1절 분석결과 164
제2절 정책적 시사점 167
제3절 연구의 한계점 169
참고문헌 170
부록 177
국문초록 187
Abstract 189
〈그림2-1〉 체류외국인 연령별 분포도 17
〈그림2-2〉 연도별 외국인 범죄 발생현황 33
〈그림2-3〉 외국인정책위원회 구조 35
〈그림2-4〉 연도별 조기적응프로그램 참여자수 38
〈그림2-5〉 연도별 사회통합프로그램 참여자 수 39
〈그림3-1〉 연구의 흐름도 70
최근 우리사회는 산업화와 고도화로 이주민의 수가 급격히 늘어나면서 여러 가지 부작용을 낳고 있다. 사회내 갈등 가능성이 커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단일 민족의 동질성에 기초한 정체성의 파편화를 초래함으로써 사회통합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고 있다. 2018년 3월 현재 외국인들의 국내체류는 220만명을 넘어서고 있다. 산업현장에서 값싼 노동력을 필요로하며 "산업연수생"이라는 이름아래 외국인노동자를 입국시켰으며, 농촌총각들의 장가보내기 프로젝트는 동남아 여성결혼 이민자의 급격한 증세를 불러왔다. 초기 불법 결혼중개업소의 부문별한 행태로 사회적 질타가 많이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농촌총각과 동남아시아 여성들은 서로의 필요에 의한 선택으로 결혼을 하여 입국하였다. 과거 우리 선배들이 외화를 벌기위해 독일로 이주한 경험이 있었다. 오늘날에는 빠른 이주에도 불구하고 출신국의 문화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정보통신사회의 네트워크를 활용해 경제적, 사회적, 정치적 활동까지 같이 할 수 있는 시대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 프랑스, 독일의 외국인 혐오에 대한 현상을 이해하고 우리나라의 외국인혐오에 대한 현상을 정리하였다. 설문지 분석은 외국인에 대한 일반적 인식으로 거부감, 개방인식, 문화인식, 정착반대인식에 대한 요인분석을 통해 지역 거주자들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었다. 외국인 증가에 대한 인식조사와 대중매체 보도를 통한 외국인거주자의 실태에 대한 인식조사도 함께 이루어졌다. 결혼이민자와 이주노동자에 대한 인식조사를 통해 향후 주변 외국인주민들에 대한 선입견에 대한 다문화사회의 구성원으로 서로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첫째, 분석대상을 인천시 지역 거주자에 한정하였기에 타 지역의 인식으로 확대 해석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었고, 둘째, 설문대상자가 전문적인 집단이 아니라 평범한 시민들에 대한 인식조사라서 직접적인 이주외국인들에 대한 접촉도가 상대적으로 약하였다. 따라서 후속연구에는 실제 이주외국인과 직접적인 접촉 경험이 있는 대상자를 선정하여 분석범위를 폭넓게 설정하고 현황조사를 통한 자료수집을 통해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겠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