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ABSTRACT 9

제1장 서론 11

제1절 연구목적 및 의의 11

제2절 연구방법 및 범위 14

제2장 이론적 고찰 16

제1절 부착 패션 장식에 관한 고찰 16

1. 장식의 정의와 의미 16

2. 패션 장식에 관한 고찰 20

3. 부착 장식의 개념과 유형 28

제2절 파리 오트쿠튀르 컬렉션에 대한 고찰 40

1. 오트쿠튀르 컬렉션의 개념 및 특성 40

2. 파리 오트쿠튀르 컬렉션의 역사 및 동향 42

제3장 오트쿠튀르 컬렉션의 부착 장식 분석 48

제1절 연구 대상 선정 및 분석방법 48

1. 분석자료 선정 배경 48

2. 분석 방법 48

제2절 부착 장식 유형 빈도 분석 50

1. 트리밍 부착 장식 51

2. 혼합 부착 장식 53

3. 원단 부착 장식 54

제3절 부착 장식 유형별 특성 56

1. 윈단 부착 장식 56

2. 트리밍장식 69

3. 혼합형 장식 92

제4절 종합적 논의 107

제4장 요약 및 결론 111

참고문헌 113

국문초록 118

표목차

〈표 1〉 2018년도 Sping, Fall 오트쿠튀르 컬렉션 14

〈표 2〉 근대 이전의 상류계층 의복의 장식적 특성 20

〈표 3〉 선행연구에 나타난 패션 장식의 유형 분류 26

〈표 4〉 주름장식의 특성 59

〈표 5〉 리본의 특성 62

〈표 6〉 패치워크의 특성 63

〈표 7〉 아플리케 장식의 특성 68

〈표 8〉 자수 장식의 특성 71

〈표 9〉 스팽글 장식의 특성 76

〈표 10〉 테이프 장식의 특성 79

〈표 11〉 파이핑/바인딩 장식의 특성 80

〈표 12〉 스터드 장식의 특성 82

〈표 13〉 단추 장식의 특성 84

〈표 14〉 모피/깃털 장식의 특성 87

〈표 15〉 지퍼 장식의 특성 88

〈표 16〉 버클 장식의 특성 89

〈표 17〉 프린지/태슬 장식의 특성 91

〈표 18〉 비즈 혼합장식의 특성 95

〈표 19〉 자수혼합장식의 특성 97

〈표 20〉 깃털혼합장식의 특성 100

〈표 21〉 비즈혼합장식의 특성 105

그림목차

〈그림 1〉 부착 장식의 유형과 종류 29

〈그림 2〉 2018년 부착 장식의 유형 50

〈그림 3〉 2018년 트리밍 부착 장식 유형 52

〈그림 4〉 2018년 혼합 부착 장식 유형 54

〈그림 5〉 2018년 원단 부착 장식 55

〈그림 6〉 네크라인, 카라에 부착된 주름장식... 57

〈그림 7〉 네크라인, 소매, 오프 숄더에 부착된 주름장식... 57

〈그림 8〉 어깨선에 장식된 주름장식... 58

〈그림 9〉 연속적, 반복적 주름장식... 58

〈그림 10〉 네크라인에 부착한 다양한 크기의 리본 장식... 60

〈그림 11〉 바스트라인에 위치한 리본 장식... 60

〈그림 12〉 두 세개의 리본 장식... 61

〈그림 13〉 앙가장트식의 리본 장식과 반복 리본 장식... 61

〈그림 14〉 패치워크 부착 장식... 63

〈그림 15〉 장식적 아플리케의 레이스효과... 65

〈그림 16〉 조각 아플리케 장식... 66

〈그림 17〉 코사주 아플리케 장식... 67

〈그림 18〉 부분적 코사주 장식... 67

〈그림 19〉 회화적 아플리케 장식... 68

〈그림 20〉 회화형 자수 장식... 70

〈그림 21〉 부분적 특정 모티브 자수... 70

〈그림 22〉 입체적 레터링 자수... 71

〈그림 23〉 전면형의 비즈장식... 72

〈그림 24〉 전면형의 일정반복형 비즈장식... 73

〈그림 25〉 위치적 강조의 부분별 장식... 73

〈그림 26〉 모티브 비즈장식... 74

〈그림 27〉 텍스쳐 스팽글 장식... 75

〈그림 28〉 특정부분 강조 스팽글 장식... 76

〈그림 29〉 장식 테이프... 77

〈그림 30〉 리본 테이프... 77

〈그림 31〉 벨벳 테이프... 78

〈그림 32〉 레이스 테이프... 78

〈그림 33〉 브레이드 장식... 78

〈그림 34〉 파이핑 장식... 80

〈그림 35〉 바인딩 장식... 80

〈그림 36〉 텍스쳐 스터드... 81

〈그림 37〉 부분형 스터드... 81

〈그림 38〉 비즈단추 장식... 82

〈그림 39〉 싸개단추 장식... 83

〈그림 40〉 금속, 플라스틱 단추... 83

〈그림 41〉 특이한 장식 단추... 84

〈그림 42〉 텍스쳐 깃털 장식... 85

〈그림 43〉 곧은 형태의 부분적 깃털장식... 85

〈그림 44〉 부드러운 형태의 부분적 깃털장식... 86

〈그림 45〉 다양한 깃털 양상... 86

〈그림 46〉 모피 장식... 86

〈그림 47〉 지퍼 장식... 88

〈그림 48〉 버클 장식... 89

〈그림 49〉 프린지/태슬 장식... 90

〈그림 50〉 선을 이용한 프린지 장식... 90

〈그림 51〉 회화적 프린지 장식... 91

〈그림 52〉 비즈+스팽글 장식... 93

〈그림 53〉 비즈+아플리케 장식... 93

〈그림 54〉 비즈+원단 장식... 94

〈그림 55〉 비즈+프린지 장식... 94

〈그림 56〉 자수+스팽글 혼합 장식... 96

〈그림 57〉 자수+비즈 혼합 장식... 96

〈그림 58〉 자수+아플리케 혼합 장식... 97

〈그림 59〉 전위적 이미지의 깃털+비즈의 혼합... 98

〈그림 60〉 여성스러운 깃털+비즈의 혼합... 99

〈그림 61〉 깃털+아플리케 혼합... 99

〈그림 62〉 깃털+이질재료의 혼합... 99

〈그림 63〉 깃털+리본의 혼합... 100

〈그림 64〉 비즈+아플리케+자수 혼합... 103

〈그림 65〉 비즈+아플리케+스팽글 혼합... 103

〈그림 66〉 비즈+스팽글+자수 혼합... 104

〈그림 67〉 비즈+아플리케+패치워크 혼합... 104

〈그림 68〉 네가지 이상의 혼합... 105

초록보기

 오트쿠튀르는 수공예적 예술 가치를 갖는 궁극의 장식을 보여주는 복식 중 하나로서 이러한 복식의 표면에 부착되어진 장식은 회화적 아트워크를 보여주기도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장식의 개념과 유형, 사회· 문화적 의미를 고찰하고 오트쿠튀르 복식에서 사용되어 지는 부착 장식의 유형 및 특성을 분석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복식에서 부착 장식의 유형을 고찰한 결과, 원단부착 장식, 트리밍 부착 장식, 혼합 부착 장식 세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2018 Spring, Fall 오트쿠튀르에 나타난 부착 장식에 대해 사례 분석한 결과 연구대상이 된 2018년 오트쿠튀르 컬렉션의 27명의 디자이너 의상 총 1972벌중 217벌을 제외한 1755착장이 부착 장식 스타일로 나타남으로써, 쿠튀르 장식에 있어 부착 장식의 비중이 높음을 재 확인하였다.

세 유형에 대해 빈도 분석을 해 보았을 때, 트리밍 장식이 가장 높은 결과로 나타났다. 트리밍 장식이 가장 높게 나온 이유는 트리밍 종류가 다양하고 그 중 비즈의 부착 장식이 가장 많이 두드러졌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 다음으로는 혼합형 장식이 많이 나타났는데, 이는 두 가지 뿐만 아니라, 세 가지 종류 이상의 부착 장식의 혼합이며, 세 가지의 혼합 역시 비즈를 중심으로 하고 스팽글, 자수, 아플리케, 패치워크 등이 조합되는 방식이었다.

본 연구는 오트쿠튀르 컬렉션에 나타난 수공예적 속성을 잘 보여주는 부착 장식에 대해 연구하고, 이를 통해 장식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를 둔다. 또한 이를 통해 최근 레디 투 웨어 컬렉션에 있어서도 고급스럽고 독특함을 추구하기 위해, 쿠튀르적 속성을 반영한 패션 장식의 다양한 유형이 등장하고 있는데, 본 연구를 통해 그러한 기성복 디자인 개발에 영감을 주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