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ABSTRACT 14
제1장 서론 16
제1절 연구의 목적 및 의의 16
제2절 연구의 방법과 범위 18
제2장 이론적 배경 20
제1절 레이스의 정의 20
제2절 레이스의 기원 및 역사 21
제3절 레이스의 종류와 특성 29
1. 수공 레이스 30
2. 기계 레이스 36
제3장 현대 패션에 나타난 레이스 사례 분석 43
제1절 레이스 스타일 사례고찰 43
1. 엘레강스(Elegance) 44
2. 걸리쉬(Girlish) 59
3. 팜므파탈 (Femme-fatal) 65
4. 모던(Modern) 70
5. 히스토리컬(Historical) 75
6. 에스닉(Ethnic) 79
7. 캐주얼(Casual) 84
제2절 종합적 논의 93
제4장 요약 및 결론 96
참고문헌 100
부록 102
국문초록 106
[표 1] 연구의 전개도 19
[표 2] 니들 포인트 레이스(Needle point lace) 종류 32
[표 3] 보빈레이스(Bobbin lace) 종류 34
[표 4] 레이스의 종류 42
[표 5] 레이스 스타일의 착장 도표 43
[표 6] 로맨틱 엘레강스 스타일의 조형적 특성 49
[표 7] 클래식 엘레강스 스타일의 조형적 특성 53
[표 8] 고저스 엘레강스 스타일의 조형적 특성 58
[표 9] 걸리쉬 스타일의 조형적 특성 64
[표 10] 팜므파탈 스타일의 조형적 특성 69
[표 11] 모던 스타일의 조형적 특성 조형 74
[표 12] 히스토리컬 스타일의 조형적 특성 78
[표 13] 에스닉 스타일의 조형적 특성 83
[표 14] 캐주얼 믹스 엔 매치 스타일의 조형적 특성 88
[표 15] 캐주얼 스포티즘 스타일의 조형적 특성 92
[그림1] 16세기 사치스럽게 사용된 러프 칼라의 레이스 23
[그림1-1] peake, Robert, the Elder Procession portrait of Elizabeth I of England 23
[그림1-2] 16세기 러프칼라 23
[그림2] 레티첼라 의복 24
[그림3] 레티첼라(Reticella) 24
[그림4] 푼토 인 아리아(Punto in aria) 24
[그림5] 그로 포앙(Gros point) 25
[그림6] 포앙 드 프랑스(Point de France) 25
[그림7] 포앙 드 네쥬(Point de neige) 25
[그림8] 포앙 프라(Point plat) 25
[그림9] 17세기 바로크 남성복식에 나타난 레이스 26
[그림9-1] 17세기 남성레이스 26
[그림9-2] 폴링밴드 26
[그림9-3] 바로크시대 의복 26
[그림10] 18세기 로코코양식 27
[그림11] 19세기 28
[그림12] 기계와 수공이 결합된 레이스 28
[그림12-1] 브리쉘 아플리케 레이스 28
[그림12-2] 포앙 드 가즈 28
[그림13] 니들 포인트 레이스 30
[그림14] 스티치 기법 30
[그림14-1] 버튼홀 스티치 30
[그림14-2] 레이스의 스티치 기법 31
[그림15] 보빈레이스 33
[그림15-1] 보빈레이스 33
[그림15-2] 보비레이스 서적 33
[그림16] 오픈워크 레이스 직물 35
[그림17] 오픈워크 소매 35
[그림18] 드론워크 직물 35
[그림19] 컷워크 후 자수 36
[그림20] 기계제 튈 위에 자수 36
[그림21] 드론워크 후 자수 36
[그림22] 아일릿워크 37
[그림23] 아일릿 레이스 37
[그림24] 초창기 머신 38
[그림25] 리버 레이스 머신 38
[그림26] 리버 레이스 디테일 38
[그림27] 리버 레이스 38
[그림28] 라셀레이스 39
[그림29] Drawing of an old Raschel machine 39
[그림30] 케미컬 레이스 40
[그림31] 토션레이스 41
[그림32] Spooling on a Nottingham lace curtain machine 1918 41
[그림33] 커튼 레이스 41
[그림34] Luisa Beccaria 17f/w 45
[그림35] Marchesa 17f/w 45
[그림36] Zimmermann17f/w 45
[그림37] Ermanno Scervino 17f/w 45
[그림38] Giambattista Valli 16s/s 45
[그림39] Ermanno Scervino 17f/w 45
[그림40] Fausto Puglisi 18s/s 45
[그림41] Etro 17s/s 45
[그림42] Zimmermann 17f/w 46
[그림43] Rodarte 17f/w 46
[그림44] Giamnavattista valli 17f/w 46
[그림45] Philosophy 17f/w 46
[그림46] 레이스와 직물, 그리고 바디컬러의 믹스 46
[그림47] 플라워 패턴과 레이스 믹스 47
[그림48] 실크와 레이스 믹스 47
[그림49] 꽃무늬 레이스 소재 47
[그림50] 단정한 웨이브 헤어 48
[그림51] 곡선적 묶음머리 48
[그림52] 로맨틱 엘레강스 슈즈 스타일 48
[그림53] No.21 17f/w 50
[그림54] Tome 16 f/w 50
[그림55] Escada s/s18 50
[그림56] Sharon Wauchob 17f/w 50
[그림57] 클래식한 칼라 51
[그림58] 아우터 재킷과 매치 51
[그림59] 블랙컬러의 클래식 엘레강스 룩 51
[그림60] 저채도의 컬러 51
[그림61] 같은 컬러의 이너를 착용한 레이스 52
[그림62] 다른소재와 함께 쓰인 레이스 52
[그림63] 단정한 가르마와 누디한 메이크업 52
[그림64] 스트레이트 헤어 52
[그림65] 고져스 엘레강스 슈즈 스타일 52
[그림66] Jonathan Simkhai 17f/w 54
[그림67] Valentin Yudaskin 17f/w 54
[그림68] Christian Siriano 17f/w 54
[그림69] Jonathan Simkhai 17f/w 54
[그림70] 좌우가 대칭적인 레이스 디자인 55
[그림71] 고저스 엘레강스 룩의 컬러 56
[그림72] 고저스 엘레강스 레이스 56
[그림73] 고저스 엘레강스 헤어와 메이크업 57
[그림74] 슈즈 57
[그림75] Anna Sui 17s/s 59
[그림76] Marc Jacobs 17s/s 59
[그림77] Zimmermann 17f/w 59
[그림78] Anna Sui 17s/s 59
[그림79] Simone Rocha 17s/s 60
[그림80] Preen by Thornton 16s/s 60
[그림81] Simone Rocha 17s/s 60
[그림82] Brock Collection s/s18 60
[그림83] 피터팬 레이스 칼라와 리본 60
[그림84] Ryan Lo 18s/s 61
[그림85] Zimmermann 17f/w 61
[그림86] Mary Katxantzou 18s/s 61
[그림87] Anna sui 17s/s 61
[그림88] 튤지위에 도트무늬 디자인의 레이스 61
[그림89] 아일릿 레이스 61
[그림90] Simone Rocha 17s/s 62
[그림91] Philosophy 17f/w 62
[그림92] Rodarte 17s/s 62
[그림93] Brock Collection 18s/s 62
[그림94] 플로럴 or 하트 패턴과 믹스+부분적인 띠로 표현되는 레이스 62
[그림95] 뱅헤어 63
[그림96] 땋은머리 63
[그림97] 모자 63
[그림98] 메이크업 63
[그림99] 걸리쉬룩 소품 63
[그림100] 장갑 63
[그림101] 걸리쉬한 스타킹과 슈즈 스타일 63
[그림102] Alexander McQueen 18s/s 65
[그림103] Alexander wang 16f/w 65
[그림104] Chanel 16f/w 65
[그림105] Alexander wang 16f/w 65
[그림106] 가슴을 강조한 레이스의 사용 66
[그림107] 살색과 대조되는 블랙 레이스 66
[그림108] 비대칭 레이스 구조 66
[그림109] 팜므파탈의 헤어와 메이크업 67
[그림110] 레이스 팜므파탈 룩의 슈즈 67
[그림111] 쵸커 67
[그림112] 팜므파탈적 이미지 67
[그림113] 스팽클 백 67
[그림114] 팜므파탈의 요소를 가진 고스 룩 68
[그림115] 3.1 Phillip Lim 18s/s 70
[그림116] Creatures of the wind 16f/w 70
[그림117] Jason wu 17f/w 70
[그림118] Jason wu 16f/w 70
[그림119] 오버핏 재킷 및 코트 71
[그림120] 블랙엔 화이트 모노톤의 모던룩 71
[그림121] 부드러운 패턴의 모던 레이스 72
[그림122] 레이스의 부분적인 사용 72
[그림123] 레이스의 모던함에 어울리게 한 헤어와 메이크업 73
[그림124] 그레이 백 73
[그림125] 블랙 벨트 73
[그림126] 레이스 모던 룩의 슈즈 73
[그림127] Burberry 16f/w 75
[그림128] Miu Miu 16f/w 75
[그림129] Emilia Wickstead 17f/w 75
[그림130] Marc jacobs 16f/w 75
[그림131] 레이스의 히스토리컬 룩 76
[그림132] 레이스 카라 76
[그림133] 허리를 강조한 벨트 76
[그림134] 히스토리컬 레이스 77
[그림135] 레이스의 히스토리컬 룩 헤어 메이크업 77
[그림136] 프린팅 도트백 77
[그림137] 히스토리컬 스타일에 나타난 슈즈 77
[그림138] Peter pilotto 17s/s 79
[그림139] Roberto cavalli 17s/s 79
[그림140] Alberta Ferretti 16s/s 79
[그림141] Marchesa 17f/w 79
[그림142] Zimmermann 16f/w 79
[그림143] 동양적인 에스닉 드레스 80
[그림144] 차이나 카라 치파오 80
[그림145] 동양적인 에스닉 드레스 81
[그림146] 레이스 에스닉 룩의 소재 81
[그림147] 에스닉 풍 목걸이 82
[그림148] 깃털과 태슬 82
[그림149] 레이스의 에스닉 스타일의 헤어와 메이크업 82
[그림150] 에스닉 스타일의 슈즈 82
[그림151] 믹스 앤 매치 룩 85
[그림152] 캐주얼의 믹스앤 매치 86
[그림153] 믹스 매치 레이스에 나타난 레이스 소재 86
[그림154] 믹스 매치 레이스에 나타난 레이스 소재 87
[그림155] 가방 87
[그림156] 믹스 매치 레이스에 나타난 레이스 소재 87
[그림157] 스포티즘 룩 89
[그림158] 스포티즘 룩 90
[그림159] 스포티즘 소재 91
[그림160] 스포티즘 헤어와 메이크업 91
[그림161] 스포티즘 슈즈 91
현대의 패션은 형태와 소재의 다양성으로 여러 모습으로 재해석 되며 새로운 감각이 나타남을 볼 수 있다. 과거 소수의 계층에서 한정적으로 사용되어지던 소재인 레이스는 이러한 기술의 발전에 따라 쉽게 접할 수 있는 소재가 되었다. 본 연구는 보다 대중적인 소재가 된 레이스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현대 패션디자인에 나타난 레이스 스타일을 분석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레이스에 관련된 문헌과 논문들을 참고하여 역사적 변화, 특성과 종류를 살펴보았으며, 2016 S/S ~ 2018 S/S 3년간 4대 컬렉션의 레디 투 웨어에 나타난 레이스 룩과 그에 따른 스타일링을 분석하였다.
레이스는 실을 바늘이나 보빈기구를 이용하여 성글게 얽거나 뜨기, 맺기, 잘라내기와 감치기 등의 방법으로 다양한 문양으로 뜬 편물 또는 직물을 뜻한다. 이러한 레이스는 16세기부터 19세기까지 꽃 피우며 많은 발전을 이룩하였다. 18세기 말 기계 레이스의 등장으로 기계제 레이스가 나타났고 귀족들의 전유물이었던 레이스는 점차 대중적인 소재가 되었다. 기계 레이스가 나타나며 레이스는 크게 수공레이스와 기계레이스로 분류할 수 있다.
연구결과 현대 패션 디자인의 레이스를 사용한 룩은 2016 S/S ~ 2018 S/S까지 1298개로 나타났다. 이를 분석한 결과 레이스 스타일은 7가지 룩 즉, 엘레강스, 걸리쉬, 팜므 파탈, 모던, 히스토리컬, 에스닉, 캐주얼 룩으로 분류될 수 있었다. 레이스는 여성적 소재 특성으로 인해 엘레강스, 걸리쉬, 팜므파탈 룩과 같은 여성의 미를 표현하는 룩에서 가장 많이 표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와 더불어 이러한 소재 특성을 활용하면서 현대적인 룩으로 재해석한 다양한 스타일로 표현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본 논문은 과거시대 상류사회에서만 누릴 수 있는 고급 직물이었던 레이스가 현대에 대중적인 소재로 다양한 스타일로 표현되고 스타일링 되는 모습을 고찰함으로 레이스 소재의 사용방식과 스타일링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기를 기대한다. 또한 레이스를 활용하여 디자인을 전개하거나 표현하는데 도움이 되고 활용되기를 바란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