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제1장 서론 8

제1절 연구배경과 목적 8

제2절 선행연구 검토 13

제3절 연구방법 및 범위 16

제2장 기록학 패러다임의 변화와 기록으로서의 디자인 19

제1절 기록학 패러다임의 변화와 기록 개념의 확장 19

제2절 디자인과 기호학 23

제3절 디자인 기록의 정의 29

제3장 디자인 기록의 의미작용과 가치 31

제1절 디자인 효과 31

제2절 디자인 기록의 의미작용 35

제3절 디자인 기록의 가치 39

1. 시대상의 상징물로서 역사적 가치 40

2. 디자인의 의미작용과 다원화 43

3. 디자인 기록의 증거적·정보적 가치 46

제4장 디자인 아카이브의 필요성 및 특수성 48

제1절 디자인 아카이브의 필요성 48

1. 당대 디자인 성과 및 문화 보존 48

2. 디자인 정체성 고취 50

3. 디자인 교육 지원 51

4. 디자인 실무 및 연구를 위한 원천자료 52

5. 디자인 관련 기관의 설명책임성 충족 52

제2절 디자인 아카이브의 특수성 54

1. 디자인 기록 획득(Capture)의 문제 54

2. 디자인 기록 수집 범위 및 기록화 방향 56

3. 디자인 아카이브 분류의 입체성 60

4. 디자인 아카이브 전시의 특성 61

제5장 국내외 사례 및 디자인 아카이브 발전방향 68

제1절 국내 디자인 아카이브 사례 69

1. 근현대디자인박물관: 디자인 아카이브의 '태동기'를 중심으로 69

2. 국립한글박물관의 한글디자인 아카이브 사례 73

3. Documentation : Design studio loci 10년의 작업기록 78

제2절 해외 디자인 아카이브 사례 85

1. 2x4 그래픽디자인 아카이브 사례 85

2. 스와로브스키 아카이브의 디자이너 협업 사례 88

제3절 디자인 아카이브 발전방향 제언 92

1. 디자인 기록의 다의성 기록화 92

2. 시각기호를 통한 디자인 기록의 활용 93

3. 아카이브 콘텐츠의 지속적인 기록화 94

4. 정보자원으로서 디자인 아카이브 95

5. 유관기관과 연계·협력 96

제6장 결론 98

참고문헌 102

Abstracts 107

표목차

[표 1] 기표, 기의, 기호의 관계 22

[표 2] 롤랑 바르트 기호이론 26

[표 3] 디자인의 4개념 구분 30

[표 4] 디자인 기록의 유형 57

[표 5] 근현대디자인박물관 상설전시 섹션 71

그림목차

[그림 1] 돼지 사진 25

[그림 2] 배달의민족 광고 27

[그림 3] 언어적 메시지 29

[그림 4] 쁠렌느(poulaine) 33

[그림 5] 헤닌(hennin) 33

[그림 6] 정면관의 초상사진을 사용한 선거 포스터 41

[그림 7] 제7대, 제14대 대통령 후보... 42

[그림 8] 제13대, 제19대 대통령... 43

[그림 9] 레코드 컨티뉴엄 도해 62

[그림 10] 문화유산 컨티뉴엄 65

[그림 11] 근현대디자인박물관 69

[그림 12] 근현대디자인박물관 상설전시 1,2관 72

[그림 13] 국립한글박물관 73

[그림 14] 디지털한글박물관 및 구술 기록 서비스 77

[그림 15] 도면 및 준공사진 82

[그림 16] 기본설계 및 현장조사 83

[그림 17] 현황도 및 건축모형 84

[그림 18] 디자이너 지원 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