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1
2. 이론적 배경 15
1) 자기애의 웅대성과 취약성 15
2) 거절민감성 18
3) 사회불안장애 21
4) 내현적 자기애, 거절민감성, 사회불안 24
5) 마음챙김 27
연구 1. 내현적 자기애, 거절민감성,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조절효과 31
1. 연구방법 32
1) 연구대상 32
2) 측정도구 32
3) 자료 분석 방법 36
2. 연구결과 37
1)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 37
2) 주요 변인들의 상관분석 결과 38
3) 연구모형의 매개효과 검증 39
4) 연구모형의 조절효과 검증 41
5) 연구모형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43
3. 논의 46
연구 2. 거절민감성, 사회불안과 마음챙김의 관계 : 실험적 검증 48
1. 연구방법 50
1) 연구대상 50
2) 연구절차 51
3) 집단에 따른 처치 52
4) 자료 분석 방법 57
2. 연구결과 58
1) 사전 동질성 검증 58
2) 프로그램의 효과분석 59
3. 논의 68
종합논의 70
1. 연구결과의 요약 및 의의 70
2. 제한점과 향후 연구방향 71
참고문헌 74
부록 81
부록 I-1. 병리적 자기애 척도(PNI) 82
부록 I-2. 거절민감성 척도(RSQ) 84
부록 I-3.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척도(SIAS) 89
부록 I-4. 한국판 5요인 마음챙김 척도(FFMQ) 90
부록 II-1. 마음챙김에 기반한 인지치료 프로그램 소개 93
부록 II-2. 주의분산 프로그램 소개 94
부록 II-3. 연구 동의서 95
부록 II-4. 기반 이론교육 96
부록 II-5. 기반 이론교육 99
부록 II-6. 거절경험에 대한 감정 기록지(마음챙김) 101
부록 II-7. 거절경험에 대한 감정기록지(주의분산) 102
부록 II-8. 마음챙김 지시문 103
부록 II-9. 주의분산 지시문 105
Abstract 108
그림 1. 간략한 거절민감성 모델 19
그림 2. 연구 1의 연구모형 31
그림 3. 내현적 자기애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거절민감성 매개모형의 비표준화 계수 40
그림 4. 마음챙김의 조절모형의 비표준화 계수 *** p 〈 .001. (이미지참조) 42
그림 5. 마음챙김 수준의 조절효과 43
그림 6. 조절된 매개모형 44
그림 7. 연구절차 51
그림 8. 집단에 따른 마음챙김 수준의 변화 59
그림 9. 집단에 따른 거절민감성 수준의 변화 62
그림 10. 집단에 따른 사회불안 수준의 변화 65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